목차
제5장 국어의 어휘
1. 어휘와 어휘능력
1.1. 어휘 능력
1.2. 어휘
2. 국어 어휘의 양상
2.1. 방언
2.2. 은어
2.3. 대우 표현어
2.4. 속어
2.5. 완곡어와 금기어
2.6. 관용어
2.7. 속담
2.8. 고사성어
2.9. 전문어
2.10. 집단어
3. 어휘의 신생과 소멸
3.1. 신어(新語)
3.2. 사어(死語) - 어휘의 소멸
4. 국어 어휘의 체계
4.1. 어휘 분류와 어휘 체계
4.2.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4.3. 고유어와 한자어의 대응
5. 어휘의 가치
1. 어휘와 어휘능력
1.1. 어휘 능력
1.2. 어휘
2. 국어 어휘의 양상
2.1. 방언
2.2. 은어
2.3. 대우 표현어
2.4. 속어
2.5. 완곡어와 금기어
2.6. 관용어
2.7. 속담
2.8. 고사성어
2.9. 전문어
2.10. 집단어
3. 어휘의 신생과 소멸
3.1. 신어(新語)
3.2. 사어(死語) - 어휘의 소멸
4. 국어 어휘의 체계
4.1. 어휘 분류와 어휘 체계
4.2.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4.3. 고유어와 한자어의 대응
5. 어휘의 가치
본문내용
랄 만한 일을 하는 경우’를 이르는 말.
⇒ 등용문 : [잉어가 중국 황허 강 상류의 급류를 이룬 용문에 오르면 용이 된다는 뜻으로] ‘입신출세의 어려운 관문을 통과하여 크게 출세하게 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함흥차사 : [한번 가기만 하면 깜깜소식이라는 뜻으로] 심부름을 가서 아주 소식이 없거나 더디 올 때에 쓰는 말. [조선의 태조 이성계가 함흥에 가 있으면서 아들 태종이 보낸 사신들을 모두 돌려보내지 않았던 고사에서 유래]
⇒ 계란유골 : [달걀에도 뼈가 있다는 뜻으로] 늘 일이 잘 안 되는 사람이 모처럼 좋은 기회를 만났으나 역시 잘 안 될 때를 이르는 말.
⇒ 결초보은이나 연목구어 등은 한자의 의미만으로 어느 정도의 의미 짐작이 가능하지만 파경이나 함흥차사와 같은 단어들은 그 고사를 모르고 툭 던져지면 의미를 짐작하기 힘들다. 때문에 고사성어를 확실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중국 고사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
⇒ 이러한 고사성어들은 깊은 뜻을 함축하고 있기 때문에 적절한 상황에 잘 맞춰 사용하였을 경우 큰 효과를 낼 수 있다.
2.9 전문어
전문어는 특정 분야의 전문적인 작업을 위하여 필요한 전문 개념을 담고 있는 어휘이다. 전문어는 의미의 폭이 정밀하고 따라서 다의성이 적다는 특징을 가진다. 일반인들에 대하여 자신들만의 비밀을 유지하는 방편으로 사용한다는 점에서 은어와 유사하지만 은어는 은비성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반면, 전문어는 저절로 은비의 기능이 발휘된다.
▶ 전문어
⇒ 집을 만들 때, 차를 정비할 때, 농업 어업을 행하는 사람들은 일반사람들보다 자신에 일에 대한 더욱 상세한 정보가 필요하다. 그러한 요구에 따라 아래와 같은 전문어가 탄생하였다. 이들은 특정 분야의 전문적인 작업을 도와주는 구실을 한다.
⇒ 아래의 예에서 전통적인 직업에 비해 현대적인 직업에서 더 많은 한자어, 외래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때문에 국어순화를 위해 새로운 전문어가 필요할 때에는 고유어를 이용한 쉬운 표현들을 사용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2.10 집단어
집단어는 언중들이 공용어로 사용하는 일반적, 중립적인 단어들에 대하여, 일정한 사회 집단에서만 사용되는 언어이다. 집단어는 ‘아동어, 성인어, 여성어’등의 일반적이고 개방적인 집단어와 ‘전문어, 직업어’와 같이 특수하고 폐쇄적인 집단어로 나눌 수 있다.
▶ 집단어
⇒ 전제정치가 행해졌던 과거에 왕실의 존재는 매우 특별한 것이었다. 때문에 그 존재를 일반 사람들과 다른 존대의 표현을 사용함으로써 높여주려 했고, 그에 따라 그의 위대함을 나타내주는 특수한 단어들이 생겨나게 되었다. 그리고 궁궐 안의 뚜렷한 계급 관계를 드러내기 위해 무수리, 나인 등과 같은 계급어도 등장하게 되었다.
⇒ 임금 : 보통 임금에 관한 사물이나 행위에 붙이는 경칭인 御를 이용하여 어사, 어복, 어립, 어혜 등과 같은 단어를 만들었으며, 귀한 보물인 ‘옥’을 이용하여 옥안 등의 단어도 만들었다. 또한 예전에는 임금을 용에 비유하였기 때문에 곤룡포, 용안 등과 같이 ‘용’이라는 한자가 자주 사용되는 것을 볼 수 있다.
3. 어휘의 신생과 소멸
3.1 신어(新語)
사회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사물이나 개념이 등장했을 때 새로 등장하는 어휘, 혹은 이미 존재하는 어휘의 표현력이 감소되어 그것을 보강하거나 신선한 맛을 낼 필요가 있을 때 만들어내는 어휘를 신어라 한다.
신어는 자국의 조어방식에 따라 새로 만들어 쓰는 신조어와 외국의 말을 빌어쓰는 차용어로 나뉜다. 차용어는 사용되는 정도에 따라 귀화어, 외래어, 외국어 등으로 나눌 수 있다.
▶ 신어
⇒ 의미의 확장 - 갈비촌, 배꼽티, 재택근무, 실버주택, 몰래카메라, 돈세탁, 표밭, 동정표, 눈도장, 빌딩숲, 정보바다
형태상의 혼성 - 휴게(실+호)텔, 아나(운서+프로)듀서, 컴(퓨터+원)시인, 컴(퓨터+문)맹
축약 - 명(예)퇴(직), 종(합)생(활기록)부, 모(인사)람, 알(찬)로(후를생각하는)모(임)
파생 - 세불리기, 흠집내기, 가다서기, 터파기, 깜빡이, 도우미, 알리미, 눈높이, 표몰이, 헛스윙
대치 - 아베크족, 나홀로족, 폭주족, 오랜지족, 채팅족, 노래방, 대화방, 멀티방, 공주병, 왕자병, 백마병, 가격파괴, 서열파괴, 직종파괴, 외인부대, 외인부대, 오빠부대, 아저씨부대, 문지기, 마당지기, 환경지기
3.2 사어(死語) - 어휘의 소멸
사어는 소멸되어 사라진 어휘를 일컫는다. 역사적으로 볼 때 국어의 사어화는 고유어 자체 내에서의 변천, 한자어의 유입으로 인한 고유어의 사어화, 근대화로 인한 한자어의 사어화 이렇게 세 가지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사어는 현재 사용되고 있지 않지만 우리의 어휘자산이라는 점에서 교육적 가치가 있고 잠재적 어휘군이라는 점에서 정리와 교육에서 소홀히 할 수 없는 부분이다.
▶ 사어
⇒ 사어의 의미 찾아보기.
굿것[명사] <옛말>귀신. 도깨비.
샤옹[명사] <옛말>남편.
이바디[명사] <옛말>잔치.
덞다[자동사] <옛말>더러워지다. 물들다.
일벗다[타동사][ 불규칙 활용] <옛말>도둑질하다.
가비다[타동사] <옛말>비교하다. 견주다.
포[부사] <옛말>겹으로. 거듭. 거푸.
다[부사] <옛말>더불어.
아야로시[부사] <옛말>겨우.
공ː납(貢納)[명사][하다형 타동사] 지난날, 백성이 지방에서 나는 특산물을 현물로 조정에 바치던 일. 납공(納貢). (준말)공(貢).
관모(冠毛)[명사] 씨방의 맨 끝에 붙어 있는 솜털 같은 것. [꽃받침이 변해서 된 것으로, 민들레버들개지 따위에서 볼 수 있음.] 갓털.
관옥(冠玉)[명사] 1.관의 앞면을 꾸미는 옥. 면옥(面玉). 2.남자의 아름다운 얼굴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국내(局內)[궁―][명사] 1.묘(墓)의 구역 안. 2.관청이나 회사의 국(局)의 안.
궁노(弓弩)[명사] 활과 쇠뇌.
궁빈(宮嬪)[명사] ☞나인.
궤ː휼(詭譎)[명사][하다형 형용사] 간사스럽고 교묘함, 또는 교묘한 속임수.
근복(筋腹)[명사] 붉고 연하여 탄력성이 있는, 근육의 가운데 부분.
금종(擒縱)[명사][하다형 타동사] 사로잡음과 놓아줌.
⇒ 실려있지 않은 것들로는 맛비, 가
⇒ 등용문 : [잉어가 중국 황허 강 상류의 급류를 이룬 용문에 오르면 용이 된다는 뜻으로] ‘입신출세의 어려운 관문을 통과하여 크게 출세하게 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함흥차사 : [한번 가기만 하면 깜깜소식이라는 뜻으로] 심부름을 가서 아주 소식이 없거나 더디 올 때에 쓰는 말. [조선의 태조 이성계가 함흥에 가 있으면서 아들 태종이 보낸 사신들을 모두 돌려보내지 않았던 고사에서 유래]
⇒ 계란유골 : [달걀에도 뼈가 있다는 뜻으로] 늘 일이 잘 안 되는 사람이 모처럼 좋은 기회를 만났으나 역시 잘 안 될 때를 이르는 말.
⇒ 결초보은이나 연목구어 등은 한자의 의미만으로 어느 정도의 의미 짐작이 가능하지만 파경이나 함흥차사와 같은 단어들은 그 고사를 모르고 툭 던져지면 의미를 짐작하기 힘들다. 때문에 고사성어를 확실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중국 고사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
⇒ 이러한 고사성어들은 깊은 뜻을 함축하고 있기 때문에 적절한 상황에 잘 맞춰 사용하였을 경우 큰 효과를 낼 수 있다.
2.9 전문어
전문어는 특정 분야의 전문적인 작업을 위하여 필요한 전문 개념을 담고 있는 어휘이다. 전문어는 의미의 폭이 정밀하고 따라서 다의성이 적다는 특징을 가진다. 일반인들에 대하여 자신들만의 비밀을 유지하는 방편으로 사용한다는 점에서 은어와 유사하지만 은어는 은비성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반면, 전문어는 저절로 은비의 기능이 발휘된다.
▶ 전문어
⇒ 집을 만들 때, 차를 정비할 때, 농업 어업을 행하는 사람들은 일반사람들보다 자신에 일에 대한 더욱 상세한 정보가 필요하다. 그러한 요구에 따라 아래와 같은 전문어가 탄생하였다. 이들은 특정 분야의 전문적인 작업을 도와주는 구실을 한다.
⇒ 아래의 예에서 전통적인 직업에 비해 현대적인 직업에서 더 많은 한자어, 외래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때문에 국어순화를 위해 새로운 전문어가 필요할 때에는 고유어를 이용한 쉬운 표현들을 사용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2.10 집단어
집단어는 언중들이 공용어로 사용하는 일반적, 중립적인 단어들에 대하여, 일정한 사회 집단에서만 사용되는 언어이다. 집단어는 ‘아동어, 성인어, 여성어’등의 일반적이고 개방적인 집단어와 ‘전문어, 직업어’와 같이 특수하고 폐쇄적인 집단어로 나눌 수 있다.
▶ 집단어
⇒ 전제정치가 행해졌던 과거에 왕실의 존재는 매우 특별한 것이었다. 때문에 그 존재를 일반 사람들과 다른 존대의 표현을 사용함으로써 높여주려 했고, 그에 따라 그의 위대함을 나타내주는 특수한 단어들이 생겨나게 되었다. 그리고 궁궐 안의 뚜렷한 계급 관계를 드러내기 위해 무수리, 나인 등과 같은 계급어도 등장하게 되었다.
⇒ 임금 : 보통 임금에 관한 사물이나 행위에 붙이는 경칭인 御를 이용하여 어사, 어복, 어립, 어혜 등과 같은 단어를 만들었으며, 귀한 보물인 ‘옥’을 이용하여 옥안 등의 단어도 만들었다. 또한 예전에는 임금을 용에 비유하였기 때문에 곤룡포, 용안 등과 같이 ‘용’이라는 한자가 자주 사용되는 것을 볼 수 있다.
3. 어휘의 신생과 소멸
3.1 신어(新語)
사회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사물이나 개념이 등장했을 때 새로 등장하는 어휘, 혹은 이미 존재하는 어휘의 표현력이 감소되어 그것을 보강하거나 신선한 맛을 낼 필요가 있을 때 만들어내는 어휘를 신어라 한다.
신어는 자국의 조어방식에 따라 새로 만들어 쓰는 신조어와 외국의 말을 빌어쓰는 차용어로 나뉜다. 차용어는 사용되는 정도에 따라 귀화어, 외래어, 외국어 등으로 나눌 수 있다.
▶ 신어
⇒ 의미의 확장 - 갈비촌, 배꼽티, 재택근무, 실버주택, 몰래카메라, 돈세탁, 표밭, 동정표, 눈도장, 빌딩숲, 정보바다
형태상의 혼성 - 휴게(실+호)텔, 아나(운서+프로)듀서, 컴(퓨터+원)시인, 컴(퓨터+문)맹
축약 - 명(예)퇴(직), 종(합)생(활기록)부, 모(인사)람, 알(찬)로(후를생각하는)모(임)
파생 - 세불리기, 흠집내기, 가다서기, 터파기, 깜빡이, 도우미, 알리미, 눈높이, 표몰이, 헛스윙
대치 - 아베크족, 나홀로족, 폭주족, 오랜지족, 채팅족, 노래방, 대화방, 멀티방, 공주병, 왕자병, 백마병, 가격파괴, 서열파괴, 직종파괴, 외인부대, 외인부대, 오빠부대, 아저씨부대, 문지기, 마당지기, 환경지기
3.2 사어(死語) - 어휘의 소멸
사어는 소멸되어 사라진 어휘를 일컫는다. 역사적으로 볼 때 국어의 사어화는 고유어 자체 내에서의 변천, 한자어의 유입으로 인한 고유어의 사어화, 근대화로 인한 한자어의 사어화 이렇게 세 가지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사어는 현재 사용되고 있지 않지만 우리의 어휘자산이라는 점에서 교육적 가치가 있고 잠재적 어휘군이라는 점에서 정리와 교육에서 소홀히 할 수 없는 부분이다.
▶ 사어
⇒ 사어의 의미 찾아보기.
굿것[명사] <옛말>귀신. 도깨비.
샤옹[명사] <옛말>남편.
이바디[명사] <옛말>잔치.
덞다[자동사] <옛말>더러워지다. 물들다.
일벗다[타동사][ 불규칙 활용] <옛말>도둑질하다.
가비다[타동사] <옛말>비교하다. 견주다.
포[부사] <옛말>겹으로. 거듭. 거푸.
다[부사] <옛말>더불어.
아야로시[부사] <옛말>겨우.
공ː납(貢納)[명사][하다형 타동사] 지난날, 백성이 지방에서 나는 특산물을 현물로 조정에 바치던 일. 납공(納貢). (준말)공(貢).
관모(冠毛)[명사] 씨방의 맨 끝에 붙어 있는 솜털 같은 것. [꽃받침이 변해서 된 것으로, 민들레버들개지 따위에서 볼 수 있음.] 갓털.
관옥(冠玉)[명사] 1.관의 앞면을 꾸미는 옥. 면옥(面玉). 2.남자의 아름다운 얼굴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국내(局內)[궁―][명사] 1.묘(墓)의 구역 안. 2.관청이나 회사의 국(局)의 안.
궁노(弓弩)[명사] 활과 쇠뇌.
궁빈(宮嬪)[명사] ☞나인.
궤ː휼(詭譎)[명사][하다형 형용사] 간사스럽고 교묘함, 또는 교묘한 속임수.
근복(筋腹)[명사] 붉고 연하여 탄력성이 있는, 근육의 가운데 부분.
금종(擒縱)[명사][하다형 타동사] 사로잡음과 놓아줌.
⇒ 실려있지 않은 것들로는 맛비, 가
키워드
추천자료
제7차 교육과정기의 국어과 교수-학습 유형 7가지
7차교육과정 국어과 요약
국어교육의 목표와 성격
[교육평가][초등교육평가]초등학교1학년 국어교육평가, 초등학교2학년 국어교육평가, 초등학...
국어과(국어교육) 성격과 교수학습주안점, 중학교(중등) 국어과(국어교육) 학년별내용체계, ...
초등학교 6학년 교육목표와 수준별교육과정, 초등학교 6학년 국어과와 영어과 교육과정, 초등...
국어(국어과교육) 홀리스틱학습과 창의성계발학습, 국어(국어과교육) 가치탐구학습과 총체적...
국어과수업(국어교육)의 의미, 국어과수업(국어교육)의 특징, 국어과수업(국어교육)의 영역, ...
[학습평가][교육평가][수학][국어][과학][도덕][실과][음악][체육]수학교육 학습평가, 국어교...
[교육평가][국어과교육][수학과교육][사회과교육][과학과교육][도덕과교육][체육과교육]국어...
제5장 국어의 어휘
초등학교 국어과 교수 학습 과정안 3학년 4단원 차근차근 하나씩
어휘 능력과 학교 교육과정 (어휘 능력의 중요성, 학교 교육과정에서의 어휘 능력 및 어휘 교...
어휘 교육의 과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