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기기 분석] PBL 프로젝트 - 집중 호우 시, 중랑천 집단어류폐사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고 해결책을 제시한다.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환경 기기 분석] PBL 프로젝트 - 집중 호우 시, 중랑천 집단어류폐사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고 해결책을 제시한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 PBL 문제 제기
2. 가설 설정 및 예비 계획서
3. 이미 알고 있는 사실들
3.1 중랑천과 인공구조물
3.2 집중 호우 시 중랑천의 수질
3.3 인공구조물과 어류 폐사
3.4 인공구조물로 인한 안양천의 피해 사례
4. 더 학습해야 할 사항들
4.1 인공구조물의 종류와 특성
4.2 인공구조물에 의한 수질의 영향
4.3 어류폐사에 영향을 미치는 독성물질과 인공구조물의 관계
4.4 중랑천 외 인공구조물로 인한 피해 및 대책 사례
5. 문제 해결안
5.1 낙차공의 어도 설치
5.2 저류조
6. 문제 해결안에 대한 정당성 설명
7. 참고 문헌
8. 기기분석 보고서

본문내용

-차용어(借用語, loanword)
: 외국의 말을 빌려 쓰는 어휘로서, 사용 정도에 따라 귀화어, 외래어, 외국어 등으로 나뉨.
▣ 탐구 - 신어
♣ 다음의 신어들은 어떤 의미로 사용되는지 확인해 보자.
→ 교통정리-교통의 흐름이 정체되거나 혼란을 일으키지 않도록 정리하는 일
군살빼기-영양 과잉이나 운동 부족 따위로 말미암아 찐 군더더기 살을 빼는 일
떡값- 1.회사 등에서 명절 때 직원들에게 주는 약간씩의 특별 수당을 속되게 이르는 말 2.공사 입찰 등에서 입찰자끼리 담합하였을 때, 낙찰된 업자가 다른 업자들에게 나누어 주는 약간씩의 돈 3.주로 업자들이 명절 때 정치인이나 공무원이나 관리에게 뇌물조로 바치는 돈을 속되게 이르는 말
텃밭- 집터에 딸리거나 집 가까이 있는 밭, 특정 정치인의 표를 지지해 주는 유권자가 많은 곳을 이르기도 함
깃털- 새의 깃과 짐승의 털
몸통- 가슴배등으로 이루어진 몸의 중심 부분, 동부
♣ 다음에 예로 든 신어들의 조어 방식을 다음의 보기를 참조하여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 분석해 보자.
[보기]- 의미의 확장, 형태상의 혼성, 축약, 파생, 대치
° 갈비촌, 배꼽티, 재택근무, 실버주택, 몰래카메라, 돈세탁, 표밭, 동정표, 눈도장, 빌딩숲, 정보바다 → 형태상의 혼성
° 휴게(실+호)텔, 아나(운서+프로)듀서, 컴(퓨터+원)시인, 컴(퓨터+문)맹 → 형태상의 혼성
° 명(예)퇴(직), 종(합)생(활기록)부, 모(인사)람, 알(찬)로(후를생각하는)모(임) → 축약
° 세불리기, 흠집내기, 가다서기, 터파기, 깜빡이, 도우미, 알리미, 눈높이, 표몰이, 헛스윙 → 파생
° 아베크족, 나홀로족, 폭주족, 오렌지족, 채팅족 → 의미의 확장
° 노래방, 대화방, 멀티방 → 파생
° 공주병, 왕자병, 백마병 → 의미의 확장
° 가격파괴, 서열파괴, 직종파괴 → 의미의 확장
° 외인부대, 오빠부대, 아저씨부대 → 의미의 확장
° 문지기, 마당지기, 환경지기 → 의미의 확장
▣ 탐구 - 신어의 유형
♣ 다음 1-4의 단어들은 모두 해방 이후에 생긴 새말들이다. 각각의 유형별로 특징을 조사해 밝혀 보자.
° 쌕쌕이, 똑딱선, 통통배, 오빠, 차려, 쉬어, 대한민국, 한국, 3.8선, 이남, 이북, 남한, 북한, 1.4후퇴, 4.19혁명, 새마을 운동 →전적으로 새로운 어형을 창조하는 경우
° 한글, 어린이날, 도시락, 단팥죽, 덮밥, 건널목, 덧셈, 뺄셈, 모눈종이, 지름, 반지름, 흰피톨, 붉은피톨, 넘보라살, 갓길, 제곱, 세제곱 →계획조어로 만들어진 고유어의 경우
° ㄱ: 유엔, 프락치, 엠원소총, 카빈소총, 바주카포, 에프86, 미그15, 쏘련, 로스케, 콜레라, 게릴라, 텔레비전, 라디오, 컴퓨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ㄴ: 민주주의, 공산주의 자본주의, 냉장고, 원자탄, 유도탄, 대륙간탄도탄, 비행기, 철도, 기선, 마력, 밀월, 입력, 출력, 전자계산기
→ ㄱ,ㄴ은 모두 외래어를 차용해 들어오는 경우이며, 그 가운데 ㄴ은 직접 번역을 수용한 경우이다.
° ㄱ: 통조림, 불고기, 꼬치안주, 통조림, 가락국수, 손톱깍기, 소매치기, 꼬치, 병따개, 낱말, 홀소리, 닿소리
ㄴ: 과도정부, 임시정부, 국민대회, 통행금지, 신탁통치, 수도 경찰청, 참모총장, 민주진영, 공산진영, 남북통일, 전시연합대학, 휴전회담, 중립국 감시위원단
→ 기존 단어들을 복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이다. 특히 ㄴ은 해방 이후 정치적인 변화에 따라 새로 생겨난 말들이다.
♣ 다음은 의미가 예전과 달라진 단어들이다. 의미가 어떻게 달라졌는지 조사해 보고, 이 단어들이 새말이라고 할 수 있겠는지 자신의 견해를 세워보자.
° 아저씨, 아주머니, 영감, 귀찮다, 점잖다, 선생님, 방송, 도서, 발명, 발표, 산업, 사회, 생산, 식품, 신인(新人), 실내, 자연, 중심, 창업
→ 이 단어들은 기존의 형태는 그대로 두고 의미만을 바꾸어 사용하는 경우의 새말이라고 할 수 있다. 아저씨, 아주머니는 원래 5촌 관계에 있는 친척을 이르는 말이었으나 오늘날에는 일반적인 성인 남녀를 이르는 뜻으로 쓰인다. 영감은 원래 조선시대 종2품 정3품의 당상관을 부르는 호칭이었으나, 오늘날에는 남자 노인을 일컫는 말로 사용되고 있다. 선생님은 원래는 ‘교사’라는 특정 직업을 일컫는 말이었으나, 오늘날에는 사람을 높여 부르는 말로 ‘□□□선생님’이라고 부르는 경향이 있다. 이렇듯 형태는 변하지 않아도 의미가 달라진 단어들은 이미 그 쓰임에서 확연히 다르기 때문에 기존에 있던 단어라고 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단어는 형태로만 이루어진 것이 아니기 때문에 형태가 그대로라고 해서 의미의 변화 여부는 상관하지 않고 새말이라고 할 수 없다고 하는 것은 단어의 본질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다음과 같은 단어들의 성격과 특징을 조사해 보라. 이러한 성격의 단어들이 국어의 전체 어휘부에 미치는 작용은 어떠하겠는가? 또 개인의 어휘량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겠는가?
° 명예퇴직(명퇴), 황당한 퇴직(황태), 실업기금, 구제금융, 빅딜정책, 구조조정, 정리해고, 퇴출 →경제 불황으로 등장한 사회 문제를 이르는 어휘
° 네티즌, 벤처산업, 소호(SOHO)족, 온라인 비즈니스, 할인매장, 가격파괴 →인터넷 산업의 발달과 함께 새로 생긴 어휘
° 엘니뇨(El nino)현상, 라니냐(La nina)현상, 배타적 경제 수역(EEZ), 영해기선 →환경 문제와 관련하여 생긴 어휘
→ 이러한 성격의 단어들은 국어 전체 어휘부에는 어휘수를 증가시키는 영향을 미칠 것이다. 또 개인의 어휘량 또한 늘어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어휘들은 사회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한 결과로 등장한 어휘이기 때문에 뒤에 어떻게 또 변화될지 모르는 일이다. 따라서 이들을 국어 전체 어휘부에 포함시켜야 할지는 미지수이다. 하지만 이러한 생산적인 새말 만들기는 개인의 언어능력에 있어서 상당한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3.2. 사어(死語) - 어휘의 소멸
- 국어의 사어화 방향
- 고유어 자체 내에서의 변천
예) 거웃>수염, 큰>똥, 천>돈, 이바디>잔치
- 한자어 유입으로 인하여 고유어가 사어화 된 경우
예) 맛비>장마비, 가
  • 가격4,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2.06.10
  • 저작시기201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30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