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선교하는 공동체로서의 기독교
2. 기독교 선교의 문제점으로서의 문화 우월주의
3. 복음과 문화와의 새로운 선교적 관계
4. 베드로의 찾아 나섬과 성령을 통한 감격함의 선교
5. 사도행전 10장 - 고넬료의 선교①, ②
2. 기독교 선교의 문제점으로서의 문화 우월주의
3. 복음과 문화와의 새로운 선교적 관계
4. 베드로의 찾아 나섬과 성령을 통한 감격함의 선교
5. 사도행전 10장 - 고넬료의 선교①, ②
본문내용
컸다. 따라서 이곳에서의 복음의 역사는 복음의 이방인을 향한 확장에 좋은 전기가 될 수 있었다. 그리고 이곳에는 약 천 명에 달하는 ‘이달리야대’ 라고 하는 특별 부대가 주둔하고 있었는데, 고넬료는 바로 그 중 100명 정도를 지휘하는 군대 장교인 백부장이었다. 바로 이 고넬료와 그의 가솔들이 복음화 됨으로써 가이사랴는 비유대인 교회가 세워진 최초의 도시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고넬료는 개인적으로 예수에 대한 믿음을 가졌다는데서 더 나아가 그리스도교 역사에 있어서 이방인에게 본격적인 복음 전파의 시발점이 되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는 것이다. 특히 그는 지금은 가이사랴에 있지만 언젠가는 로마로 돌아갈 사람이었다. 아마 고넬료의 회심은 로마 제국의 수도인 로마에 복음이 전파됨에 있어서도 하나의 디딤돌이 되었을 것이다.
⑦ 아프간 선교를 중심으로 비판적 결론
100여 년 전 한국은 피선교국이었지만 지금은 15000여명의 선교사를 파송할 만큼 선교대국이 되었다. 선교사 파송규모는 미국에 이어 두 번째이지만 선교현지의 문화와 관습을 무시한 채 이루어지는 일방적인 기독교 복음의 전파는 제국주의 시절의 서구문화와 다를 것이 없다. 선교기관 간의 무분별한 경쟁은 많은 문제들을 야기한다. 이슬람은 기독교와 같이 성서를 뿌리로 두고 있지만 서구기독교와는 대립되는 현실의 역사를 이어가고 있다.
선교지의 문화를 배려하지 않은 채 일방적 선교활동이 무분별하게 이루어진 결과 중동언론들은 피랍자들을 ‘한국인 기독교인’, ‘한국인 선교사’로 이해할 만큼 한국인은 기독교 선교사로 인식될 정도로 반감의 대상이었다.
그리고 분당샘물교회의 활동은 기독교 신앙보다 ‘봉사’를 주된 것으로 하였지만 그들의 활동은 ‘선교’와 ‘봉사’의 차이를 구분하지 않았다.
사도행전에 나오는 베드로에게 나타난 환상의 명령에 대한 그의 거절은 하나님 앞에서도 철저히 유대인의 입장을 고집하는 태도를 보여준다. “하나님께서 깨끗케 하신 것을 네가 속되다 하지 말라”는 음성은 베드로가 자기중심적인 세계를 보여주는 동시에 하나님은 인간들의 중심적인 세계를 뛰어넘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유대인의 사명의식은 철저하게 유대주의의 세계 안에 머물러 있는 한계를 드러냈다. 마찬가지로 분당샘물교회 봉사그룹 또한 한국교회의 일부로서 봉사를 명분으로 한 비겁한 선교의 한계를 드러냈다. 하지만 진정한 선교는 예수 그리스도가 보여주었듯이 하나님께서 완전한 인간이 되심으로 인간의 자리로 내려와 그 뜻을 인간의 문화 가운데 함께 하시며 보여주시고, 전하시고, 이루신 것처럼 우리 그리스도인은 우리의 뜻(경험, 체험)과 하나님의 복음을 전하고자 할 때 전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자리에서 함께 하며 그들의 문화 가운데 계시적인 요소를 찾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서적※
『신학과 세계』 2003년 가을 호 p.118-134
『트리니티 성경대전-사도행전 25권』1998 p.272-303
『기독교사상』1980 12월 p.139-147
『옥스퍼드 원어성경대전 사도행전』
『신약성서 어떻게 읽을 것인가?』콘첼만//린데만
⑦ 아프간 선교를 중심으로 비판적 결론
100여 년 전 한국은 피선교국이었지만 지금은 15000여명의 선교사를 파송할 만큼 선교대국이 되었다. 선교사 파송규모는 미국에 이어 두 번째이지만 선교현지의 문화와 관습을 무시한 채 이루어지는 일방적인 기독교 복음의 전파는 제국주의 시절의 서구문화와 다를 것이 없다. 선교기관 간의 무분별한 경쟁은 많은 문제들을 야기한다. 이슬람은 기독교와 같이 성서를 뿌리로 두고 있지만 서구기독교와는 대립되는 현실의 역사를 이어가고 있다.
선교지의 문화를 배려하지 않은 채 일방적 선교활동이 무분별하게 이루어진 결과 중동언론들은 피랍자들을 ‘한국인 기독교인’, ‘한국인 선교사’로 이해할 만큼 한국인은 기독교 선교사로 인식될 정도로 반감의 대상이었다.
그리고 분당샘물교회의 활동은 기독교 신앙보다 ‘봉사’를 주된 것으로 하였지만 그들의 활동은 ‘선교’와 ‘봉사’의 차이를 구분하지 않았다.
사도행전에 나오는 베드로에게 나타난 환상의 명령에 대한 그의 거절은 하나님 앞에서도 철저히 유대인의 입장을 고집하는 태도를 보여준다. “하나님께서 깨끗케 하신 것을 네가 속되다 하지 말라”는 음성은 베드로가 자기중심적인 세계를 보여주는 동시에 하나님은 인간들의 중심적인 세계를 뛰어넘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유대인의 사명의식은 철저하게 유대주의의 세계 안에 머물러 있는 한계를 드러냈다. 마찬가지로 분당샘물교회 봉사그룹 또한 한국교회의 일부로서 봉사를 명분으로 한 비겁한 선교의 한계를 드러냈다. 하지만 진정한 선교는 예수 그리스도가 보여주었듯이 하나님께서 완전한 인간이 되심으로 인간의 자리로 내려와 그 뜻을 인간의 문화 가운데 함께 하시며 보여주시고, 전하시고, 이루신 것처럼 우리 그리스도인은 우리의 뜻(경험, 체험)과 하나님의 복음을 전하고자 할 때 전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자리에서 함께 하며 그들의 문화 가운데 계시적인 요소를 찾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서적※
『신학과 세계』 2003년 가을 호 p.118-134
『트리니티 성경대전-사도행전 25권』1998 p.272-303
『기독교사상』1980 12월 p.139-147
『옥스퍼드 원어성경대전 사도행전』
『신약성서 어떻게 읽을 것인가?』콘첼만//린데만
키워드
추천자료
국어교육의 목표와 성격
[창의적 국어 사용 능력]창의적 국어 사용 능력 향상 방안(창의적인 국어 사용 능력 향상 방...
국어교사의 임무와 내가 지향하는 교사상 - 국어교사, 임무, 교사상, 지향
국어교육의 이해 요약정리
고등학교 국어과(국어교육)의 성격, 고등학교 국어과(국어교육)의 목표, 고등학교 국어과(국...
중학교(중등) 국어교육(국어과) 내용구성, 중학교(중등) 국어교육(국어과) 수준별교육과정 편...
『학교문법론』7장 문장론과 『한국어의 탐구와 이해』6장 문장론비교
국어과수업(국어교육)의 의미, 국어과수업(국어교육)의 특징, 국어과수업(국어교육)의 영역, ...
[학습평가][교육평가][수학][국어][과학][도덕][실과][음악][체육]수학교육 학습평가, 국어교...
[교육평가][국어과교육][수학과교육][사회과교육][과학과교육][도덕과교육][체육과교육]국어...
국어 지식 영역의 교수 학습에 있어서 평가 방법에 대한 연구
초등학교 국어과 교수 학습 과정안 3학년 4단원 차근차근 하나씩
어휘 능력과 학교 교육과정 (어휘 능력의 중요성, 학교 교육과정에서의 어휘 능력 및 어휘 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