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국어의 특질
1.1. 국어의 유형론적 특질
1.2. 국어의 계통론적 특질
2. 국어의 역사
2.1. 국어 역사의 시대 구분
2.2. 음운 변화
2.3. 문법 변화
2.4. 의미 변화
2.5. 어휘 변화
3. 국어의 문자
3.1. 언어와 문자
3.2. 한자를 빌려 쓰던 시대
3.3. 훈민정음의 창제
3.4. 훈민정음 이후의 문자 생활
4. 국어 탐구과 국어 사랑
4.1. 국어 탐구의 흐름
4.2. 국어 탐구가 나아갈 방향
4.3. 국어 사랑의 길
1.1. 국어의 유형론적 특질
1.2. 국어의 계통론적 특질
2. 국어의 역사
2.1. 국어 역사의 시대 구분
2.2. 음운 변화
2.3. 문법 변화
2.4. 의미 변화
2.5. 어휘 변화
3. 국어의 문자
3.1. 언어와 문자
3.2. 한자를 빌려 쓰던 시대
3.3. 훈민정음의 창제
3.4. 훈민정음 이후의 문자 생활
4. 국어 탐구과 국어 사랑
4.1. 국어 탐구의 흐름
4.2. 국어 탐구가 나아갈 방향
4.3. 국어 사랑의 길
본문내용
제 6장 국어와 민족 문화
1. 국어의 특질
언어는 크게 유형분류 기준과 계통분류라는 두 가지 기준으로 분류해 볼 수 있다.
1.1 국어의 유형론적 특질
1) 음운 특질
국어에는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가 셋씩 짝을 이루어 분화되어 있다. 또한 음절끝 위치에서 자음들이 모두 파열되지 않는다. 다른 언어에서 쓰이지만 국어에서는 쓰이지 않는 음운도 있다. 자음이나 몽므 뿐 아니라 말소리나 길이도 있다. 환경에 따라서 말소리가 바뀐다. 음절의 첫소리나 끝소리에서 두 개 이상의 자음이 발음되지 않는다. 두음법칙도 중요한 특징 중 하나다.
♣탐구 (360쪽)
-국어는 예사소리(평음), 된소리(경음), 거센소리(격음)의 세 갈래의 대립을 통해서 서로 다른 음소를 형성하는 삼중 체계를 이루는 언어체계이다. 반면 인도, 유럽어는 울린소리와 안울림소리로 나뉘는 이중체계를 가지고 있어서, 국어와 달리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가 변별적이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언어를 모어로 하는 외국인들은 국어의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를 제대로 변별하여 발음하기 어렵다.
2) 어휘 특질
가. 고유어
감각어와 상징어가 있고 의성어와 의태어의 발달이 두드러진다. 또한 친족 관계를 나타내는 어휘도 발달되어 있다.
나. 외래어
한자어는 아주 오래전부터 중국에서 들어온 것으로 비중이 크다. 어휘의 빈자리를 대신해주는 측면도 있지만 이미 존재하는 고유어를 위축시켰다는 단점도 있다. 이외에도 몽골어, 여진어, 만주어, 일본어 등이 있다.
♣탐구♣
○ 빨갛다: deep-red,
1. 국어의 특질
언어는 크게 유형분류 기준과 계통분류라는 두 가지 기준으로 분류해 볼 수 있다.
1.1 국어의 유형론적 특질
1) 음운 특질
국어에는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가 셋씩 짝을 이루어 분화되어 있다. 또한 음절끝 위치에서 자음들이 모두 파열되지 않는다. 다른 언어에서 쓰이지만 국어에서는 쓰이지 않는 음운도 있다. 자음이나 몽므 뿐 아니라 말소리나 길이도 있다. 환경에 따라서 말소리가 바뀐다. 음절의 첫소리나 끝소리에서 두 개 이상의 자음이 발음되지 않는다. 두음법칙도 중요한 특징 중 하나다.
♣탐구 (360쪽)
-국어는 예사소리(평음), 된소리(경음), 거센소리(격음)의 세 갈래의 대립을 통해서 서로 다른 음소를 형성하는 삼중 체계를 이루는 언어체계이다. 반면 인도, 유럽어는 울린소리와 안울림소리로 나뉘는 이중체계를 가지고 있어서, 국어와 달리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가 변별적이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언어를 모어로 하는 외국인들은 국어의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를 제대로 변별하여 발음하기 어렵다.
2) 어휘 특질
가. 고유어
감각어와 상징어가 있고 의성어와 의태어의 발달이 두드러진다. 또한 친족 관계를 나타내는 어휘도 발달되어 있다.
나. 외래어
한자어는 아주 오래전부터 중국에서 들어온 것으로 비중이 크다. 어휘의 빈자리를 대신해주는 측면도 있지만 이미 존재하는 고유어를 위축시켰다는 단점도 있다. 이외에도 몽골어, 여진어, 만주어, 일본어 등이 있다.
♣탐구♣
○ 빨갛다: deep-red,
키워드
추천자료
교과교육으로서의 독서와 독서교육지도방안
제7차 초등국어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문제점과 대안)
수행 평가의 이론과 실제 -국어과 수행평가
현재 초등학교 문법교육의 문제점과초등 문법교육이 나아가야할 방향 모색
매체교육을 활용한 국어교육 수용방안 연구 (비교 중심)
[동사][품사][국어][힌디어][독일어][중국어][일본어]국어 품사 동사의 정의, 국어 품사 동사...
직접교수(직접교수법, DI)의 의의와 이론적 배경, 직접교수(직접교수법, DI)의 기본절차, 직...
[표준말][표준어]표준말(표준어)의 역사, 표준말(표준어)의 자연성, 표준말(표준어)의 기능, ...
국어논술연습_국어
요약과 주제 확정의 4원칙 분석 자료
지식교육의 실제 <국어과 교수.학습 과정안> 둘째마당 한걸음 더. 되돌아보기
문학 영역 &#8228; 문학 과목
[국어교육] 인쇄매체언어와 국어교육 _ 인쇄매체언어의 개념과 연구의 범주, 인쇄매체언어 특...
2016년 1학기 우리말의역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한국어의 계통 저서나 논문 요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