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 귀 건강문제를 가진 대상자의 건강사정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해당 자료는 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학] 귀 건강문제를 가진 대상자의 건강사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차 례 >

Ⅰ. 서론

Ⅱ. 본론
1. 귀의 건강문제
1) 외이도염
2) 삼출성 중이염
3) 급성 중이염
4) 진주종성 중이염
5) 이경화증
6) 메니에르병

2. 건강력
1) 난청 구분
2) 이통
3) 귀 분비물
4) 이명
5) 현훈

3. 검진방법
1) 이개
2) 이도와 고막
3) 이도 시진
4) 청력
5) 공기전도와 골 전도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33~238
2. 송경애 외(2009), 건강사정, 엘스비어코리아(유), P. 196~197
▶국가고시 예상문제◀
1. 점막으로 구성된 중이강 내에 각질화 된 편평상피가 침입하여 각질이 축적되면서 주위의 골 조직을 파괴하는 질환은?
1) 삼출성 중이염 2) 급성 중이염 3) 진주종성 중이염 4) 이경화증 5) 메니에르병
답: ③
해설: 진주 종은 점막으로 구성된 중이강 내에 각질화 된 편평상피가 침입하여 각질이 축적되면서 주위의 골 조직을 파괴하는 질환으로서, 증상은 진행성 난청, 귀가 꽉 찬 느낌, 이명과 약간의 어지럼증이다.
2. 음차의 손잡이 부분을 두정부에 대고 대상자에게 소리가 양쪽으로 똑같이 들리는지 혹은 어느 한 쪽에서 더 잘 들리는지를 검사하는 검사법은?
1) weber검사 2) rinne 검사 3) 공기검사 4) 골 검사
답: ①
해설: 대상자에게 음이 어디에서 들리는지 물음 → 한쪽이나 양쪽에서 들림 → 정상적으로 음은 중앙에서 들리거나 양쪽 귀에서 동등하게 들림을 검사하고 이렇게 진행되는 검사는 weber 검사이다.
3. 이도와 고막을 보기 위하여 이경을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할 점으로 잘못된 것은?
1) 기구를 통해 편안하게 볼 수 있도록 대상자의 머리위치를 조절
2) 약간 굽어있는 이도를 직선이 되도록 하기 위해, 이개를 단단히 그러나 아프지 않게 잡고 상방향 으로 당김
3) 엄지와 집게손가락으로 이경의 손잡이를 잡고, 검진자의 손으로 대상자의 얼굴을 받침
4) 이경을 약간 아래로 안으로 이모를 거쳐 부드럽게 이도 안으로 삽입함
5) 만일 이통, 분비물, 혹은 염증이 있다면, 이개를 위와 아래로 움직여 보고, 이주와 유양돌기를 강하 게 눌러서 검사함
답: ②
해설: 이도와 고막을 보기위해 이경을 사용할 때는 약간 굽어있는 이도를 직선이 되도록 하기 위해, 이개를 단단히 그러나 아프지 않게 잡고 후상방으로 당긴다.
4. 김 아무개 환자는 다른 사람의 말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호소, 다른 사람들이 웅얼거린다고 불평하고 있다. 김 아무개에 대해 확인하여야 하는 것 중 잘못된 것은?
1) 다른 사람이 말하는 것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는지를 확인함
2) 시끄러운 곳에서 듣는 것이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함
3) 쓰러지거나 눈앞에 깜깜해지는 것처럼 불안정하지 않는지를 확인함
4) 청력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을 복용했는지, 과다한 소음에 노출된 과거력이 있는지 확인함
답: ③
해설: 쓰러지거나 눈앞에 깜깜해지는 것처럼 불안정하지 않는지, 방이 빙글빙글 도는 것처럼(진성현훈) 느끼지는 않는지를 확인하고, 땅이 꺼지는 듯 느끼거나 몸이 한쪽으로 쏠림이 있는 지, 어지럼증이 몸의 위치 변화와 상관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은 현훈환자를 대할 때 확인해야 할 사항이다.
5. 검진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청력 검진 시 대상자에게 한 손가락으로 귀를 스스로 막도록 하거나 가능하다면 간호사가 직접 막 는 것이 좋음
2) 청력 검진 시 대상자가 입술읽기를 할 수 있도록 검진자의 입 또는 대상자의 눈을 가리지 않음
3) 이도와 고막 검진 시 왼쪽 귀를 왼쪽 손으로 상방향으로 당기면서 이경을 잡고 있는 오른손으로 귀 뒤를 지지해줌
4) 이도와 고막 검진 시 엄지와 집게손가락으로 이경의 손잡이를 잡고, 검진자의 손으로 대상자의 얼 굴을 받침
답: ④
해설: 청력 검진 시 대상자에게 한 손가락으로 귀를 스스로 막도록 하거나 가능하다면 검진자가 직접 막는 것이 좋으며, 대상자가 입술읽기를 할 수 없도록 검진자의 입을 가리거나 또는 대상자의 눈을 가리도록 한다. 이도와 고막 검진 시 왼쪽 귀를 왼쪽 손으로 후상방으로 당기면서 이경을 잡고 있는 오른손으로 귀 뒤를 지지할 수 있다.
  • 가격1,200
  • 페이지수2페이지
  • 등록일2012.06.11
  • 저작시기201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32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