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들어가며
Ⅱ. <계산서>는 ‘무엇을’ 이야기하고 있는가
Ⅲ.<계산서>는 ‘어떻게’ 이야기하고 있는가
Ⅳ.<계산서>의 ‘가치’는 어떠한가
Ⅴ. 참고문헌
Ⅱ. <계산서>는 ‘무엇을’ 이야기하고 있는가
Ⅲ.<계산서>는 ‘어떻게’ 이야기하고 있는가
Ⅳ.<계산서>의 ‘가치’는 어떠한가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어서 좋고 돼지가 죽은 아히 시체를 물고 뜯어 먹는다는 이야기가 있어서 좋고, 죽음같은 고독이 있어서 좋다’라고 한 대목에서 보면 이국적인 이미지를 풍기는 분위기에 보다 짙게 관심을 보이고 있는데, 위 문장은 호인 부락의 사실적 묘사라기보다 작가의 공상이 가미되어 있다고 보여진다. 이선희의 소설에는 엑조티시즘 적인 요소가 많은데 엑조티시즘이란 다른 나라의 낯선 풍물이나 일들에서 느껴지는 색다른 정취나 맛, 또는 그러한 것을 동경하는 일이다. 이선희는 ‘삼천리’에서 실제로 러시아와 시베리아 벌판, 스페인의 투우와 정열적인 여자들의 의복 빛깔등을 동경하였고, 끝없는 상상을 했다고 고백하고 있다. <계산서>에서는 산뎀이 같이 쌓인 옥수수와 감자, 허리를 두르고도 남을 조이삭, 베게통만큼한 감자를 먹는 돼지떼, 동아줄 같은 광선을 쏟는 대륙의 태양, 호인 부락, 호로마차등 시베리아 지역에 대한 이국정서에 대한 감수성을 드러내고 있다.
Ⅳ.<계산서>의 ‘가치’는 어떠한가
저널리스트로 문필활동을 시작한 이선희는 소설과 함께 수십 편에 이르는 수필, 기사, 앙케트 등을 여러 신문, 잡지에 남기고 있으나 그의 생애를 알려줄 만한 분명한 자료는 거의 없는 형편이다. 이선희의 소설들은 거의 알려지지도 않았고, 문학 연구자들의 적극적인 관심을 끌지 못한 채, 잊혀진 월북작가로 우리문학사의 접혀있었다. 그녀는 1934년부터 문단활동을 시작하여 1946년까지 짧은 작품활동을 한 작가이나 장편소설 1편, 중편소설 2편, 단편 소설10편, 꽁트3편과 40편의 수필을 남기고 있다. 1934년에 『중앙지』에 단편 <가등>을 발표함으로써 문단에 데뷔하고, 1936년 6월 『신가정』지에 <오후11시>를 발표하면서 이선희는 본격적인 작품활동을 시작한다. 1937년에는 <도장>, <계산서> 등의 단편 외에 12월부터 장편 <여인 명령>을 조선일보에 연재하기 시작, 이듬해 4월까지 84회에 걸쳐 게재한다. 또 1938년에는 단편 <매소부>, <연지>, <돌아가는 길>을 계속 발표하여 작가적 역량을 키운다. 1940년 단편 <탕자>와 함께 중편<처의 설계>를 썼으며 이듬해 <춘우>를 발표한다. 해방 후 중편 <창>을 『서울신문』에 연재한다.
이선희는 1911년 12월 17일 함남 함흥에서 출생, 원산 루씨 여고보를 거쳐(1928.3) 이화여전 문과에서 3년간 수업했다. 일곱 살에 어머니를 여의는데 폐를 앓던 어머니와 세 살 적부터 떨어져 지냈기
Ⅳ.<계산서>의 ‘가치’는 어떠한가
저널리스트로 문필활동을 시작한 이선희는 소설과 함께 수십 편에 이르는 수필, 기사, 앙케트 등을 여러 신문, 잡지에 남기고 있으나 그의 생애를 알려줄 만한 분명한 자료는 거의 없는 형편이다. 이선희의 소설들은 거의 알려지지도 않았고, 문학 연구자들의 적극적인 관심을 끌지 못한 채, 잊혀진 월북작가로 우리문학사의 접혀있었다. 그녀는 1934년부터 문단활동을 시작하여 1946년까지 짧은 작품활동을 한 작가이나 장편소설 1편, 중편소설 2편, 단편 소설10편, 꽁트3편과 40편의 수필을 남기고 있다. 1934년에 『중앙지』에 단편 <가등>을 발표함으로써 문단에 데뷔하고, 1936년 6월 『신가정』지에 <오후11시>를 발표하면서 이선희는 본격적인 작품활동을 시작한다. 1937년에는 <도장>, <계산서> 등의 단편 외에 12월부터 장편 <여인 명령>을 조선일보에 연재하기 시작, 이듬해 4월까지 84회에 걸쳐 게재한다. 또 1938년에는 단편 <매소부>, <연지>, <돌아가는 길>을 계속 발표하여 작가적 역량을 키운다. 1940년 단편 <탕자>와 함께 중편<처의 설계>를 썼으며 이듬해 <춘우>를 발표한다. 해방 후 중편 <창>을 『서울신문』에 연재한다.
이선희는 1911년 12월 17일 함남 함흥에서 출생, 원산 루씨 여고보를 거쳐(1928.3) 이화여전 문과에서 3년간 수업했다. 일곱 살에 어머니를 여의는데 폐를 앓던 어머니와 세 살 적부터 떨어져 지냈기
추천자료
소설속에 나타난 여성상 연구
일본문학교육론
김유정 작품 연구 -'소낙비'와 '동백꽃'을 중심으로
김유정 작품 연구
미국 소설의 주제적 특성 [A++]
김동리의 <실존무>에 대한 작품분석과 지도론
[중국][노신 소설][문학사적 의의][문학적 성취][노신][문학][소설]중국 노신 소설의 문학사...
동인지 문학의 등장과 근대문학의 지형변화 1
최인훈론
[북한문학][소설문학][애국주의][주체사상][소설 백두산]북한문학의 역사, 북한문학의 이론, ...
중학교 국어교과서의 소설교육 양상 - 현대소설교육연습 기존 논의를 바탕으로 -
[이태준 소설 꽃나무는 심어 놓고]이태준 소설 꽃나무는 심어 놓고의 작가, 이태준 소설 꽃나...
조정래의 〈불놀이〉
김승옥 초기소설 연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