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목차
Ⅰ. 지방산
Ⅱ. Storage lipids
Ⅲ. Membrane lipids
Ⅳ. Steroids 및 기타 Lipids
Ⅴ. 막(Membranes)
Ⅱ. Storage lipids
Ⅲ. Membrane lipids
Ⅳ. Steroids 및 기타 Lipids
Ⅴ. 막(Membranes)
본문내용
BIOCHEMISTRY 1
Chapter 12 Lipids
▆ Fatty acids as Key Constituents of Lipids
▆ Common Types of Membrane Lipids
▆ General Properties of Membrane Proteins
지질 (Lipids)
┗━━━━━━━━━━─────────…
● 지질
– 비극성 용매에는 녹지만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생물 유래의 물질
● 생물학적 기능
1) 세포의 에너지 저장체
2) 생체막의 구조적 성분
3) 효소의 보조인자, 전자전달체, 호르몬 등
● 생체막 (Biological membrane)
1) 세포의 경계 막
2) 지질, 단백질 및 소량의 탄수화물로 구성되어 있다.
3) Fluid structure
4) 전기적으로 편극화되어 있다.
5) 단백질은 막의 선택적 투과성을 위한 통로 또는 수송 체로 작용한다.
Ⅰ. 지방산
┗━━━━━━━━━━─────────…
1. 지방산과 유도체
▪ 양친매성 화합물
▪ 자연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지방산은 짝수개의 탄소(14~24)를 가지며, 비분지 (unbranched) 사슬구조이다.
1) 포화지방산 (saturated fatty acid)
▪ 탄소-탄소 단일결합만을 가지고 있는 지방산
▪ 실온에서 고체상이다.
2) 불포화지방산 (unsaturated fatty acid)
a)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하나 이상 가지고 있는 지방산
▪ monounsaturated: 한 개의 이중결합 함유 eg) oleic acid : 18:1Δ9
▪ polyunsaturated: 2개 이상의 이중결합 함유 eg) linoleic acid : 18:2Δ9,12
b) cis 배열
c) 포화지방산보다 녹는 점이 낮으며, 실온에서 액체상이다.
▆ 필수지방산 (Essential fatty acids, EFA)
a) linoleic acid(18:2Δ9,12)
b) linolenic acid(18:3Δ9,12,15)
Chapter 12 Lipids
▆ Fatty acids as Key Constituents of Lipids
▆ Common Types of Membrane Lipids
▆ General Properties of Membrane Proteins
지질 (Lipids)
┗━━━━━━━━━━─────────…
● 지질
– 비극성 용매에는 녹지만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생물 유래의 물질
● 생물학적 기능
1) 세포의 에너지 저장체
2) 생체막의 구조적 성분
3) 효소의 보조인자, 전자전달체, 호르몬 등
● 생체막 (Biological membrane)
1) 세포의 경계 막
2) 지질, 단백질 및 소량의 탄수화물로 구성되어 있다.
3) Fluid structure
4) 전기적으로 편극화되어 있다.
5) 단백질은 막의 선택적 투과성을 위한 통로 또는 수송 체로 작용한다.
Ⅰ. 지방산
┗━━━━━━━━━━─────────…
1. 지방산과 유도체
▪ 양친매성 화합물
▪ 자연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지방산은 짝수개의 탄소(14~24)를 가지며, 비분지 (unbranched) 사슬구조이다.
1) 포화지방산 (saturated fatty acid)
▪ 탄소-탄소 단일결합만을 가지고 있는 지방산
▪ 실온에서 고체상이다.
2) 불포화지방산 (unsaturated fatty acid)
a)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하나 이상 가지고 있는 지방산
▪ monounsaturated: 한 개의 이중결합 함유 eg) oleic acid : 18:1Δ9
▪ polyunsaturated: 2개 이상의 이중결합 함유 eg) linoleic acid : 18:2Δ9,12
b) cis 배열
c) 포화지방산보다 녹는 점이 낮으며, 실온에서 액체상이다.
▆ 필수지방산 (Essential fatty acids, EFA)
a) linoleic acid(18:2Δ9,12)
b) linolenic acid(18:3Δ9,12,15)
추천자료
인체해부학.. 세포(cell) 정리....
소화기계의 구조와 기능
세포(cell)에 대하여
청각기관의 구조와 기능
바이러스의 배양
고양이의 일반적인 치과질환 (고양이 치아의 구조와 대표적 치아 질환 및 고양이 치아 관리 ...
DNA sample electrophoresis
지주막하 출혈(SAH) case study
Chronic otitis media ○만성중이염○ 케이스
세균,조류 요약정리
[신체 구조][맥관계 구조][뇌 구조][뼈 구조][관절 구조][눈 구조]신체 맥관계의 구조, 신체 ...
[생화학]생명의 기본단위와 생화학 반응의 환경 (생명체의 특징과 생화학, 세포, 생체 분자를...
[병태생리학] 병태생리(정상조직, 병리학과 질병, 조직손상과 적응반응, 염증반응, 감염반응,...
고위험 산모(조기파막)에 관한 사례연구<간호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