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오염개론 족보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기오염개론 족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장. 대기오염의 기초개념 및 현황
제 2장. 대기오염 물질의 배출원
제 3장. 입자상 오염물질
제 4장. 가스상 오염물
제 5장. 대기오염의 영향
제 6장. 대기오염과 기상
제 7장. 대기오염모델
제 8장. 광역대기오염
제 9장. 실내공기오염
제 10장. 자동차에 의한 대기오염
제 11장. 대기오염의 제어

본문내용

것을 차단시켜 포집한다. 따라서, 여과집진에 있어서 가장 크게 작용하는 힘은 차단력으로서 여과재 자체도 입자를 포집하지만 여과재 위에 쌓이는 먼지층이 지지체로 작용하여 입자를 포집한다. 미세입자의 경우에는 이 먼지층에 의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집진된다. 또한, 여과재의 올에 입자가 관성충돌을 하거나 미세입자가 확산력에 의한 충돌로 제거되기도 한다.
5. 전기집진장치에서의 전기비저항이 중요한 이유를 설명하라.
전기집진장치에 있어서 먼지가 지니고 있는 전기적인 특성은 코로나 방전에 영향을 주어 집진효율에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먼지의 전기적인 특성은 전기의 흐름에 저항하는 값인 전기비저항(電氣比抵抗)으로서 일반적으로 104~1014 Ωcm 범위의 값을 나타낸다. 전기비저항값은 온도와 습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전기집진장치에서 입자가 집진되면 집진판에 달라붙어서 전하를 잃게 된다. 이러한 전하의 전달현상은 전기회로를 구성하여 전류를 생성하고, 방전극과 집진판 사이의 전압강하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준다.
만일, 먼지의 전기비저항이 낮으면, 즉 전기가 잘 흐르는 상태가 되면 정전기 전하를 빠르게 잃게 되어 입자와 집진판 사이의 결합력을 떨어뜨림으로써 입자는 재비산하게 된다. 또한, 먼지의 전기비저항이 높으면, 즉 전기가 잘 통하지 않게 되면 전하는 집진판으로 쉽게 전달되지 않으므로 역코로나 현상이 발생되어 입자의 하전과 이동을 방해함으로써 입자가 집진판에 강하게 부착되어 털어내기가 어렵게 된다.
6. 집진장치의 선정시 고려해야 할 요소를 나열하라.
발생시설의 종류, 재료 및 연료의 종류, 연소방법, 배출먼지의 물리, 화학적 특성(함진농도, 입경분포, 전기저항, 부착성, 비중 등)
7. 흡수장치의 종류별 장단점을 비교하라.
장 단 점
종 류
장 점
단 점
충전탑
(充塡塔;packed tower)
구조가 간단하고, 가스의 압력손실이 적으며 경제적이다.
충전층의 공극이 막히기 쉽고 온도의 변화가 클 경우에는 적용하기가 어렵고 충전물이 비싸다.
분무탑
(噴霧塔;spray tower)
구조가 간단하고 압력손실이 적으며 충전탑에 비해 설치비나 유지비가 싸다.
분무노즐이 막히기 쉽고 물방울을 미세하게 만들려면 많은 동력이 필요하고, 물방울이 작아지면 분무탑을 비산해 나갈 우려가 생길 수 있다.
사이클론형 세정기
(cyclone scrubber)
많은 양의 가스를 처리할 수 있고 미스트의 발생량이 적고 비교적 구조가 간단하다.
분무노즐이 막히기 쉽고 높은 수압이 필요하며, 사이클론의 직경을 크게 하면 효율이 저하된다.
벤튜리형 세정기
(Venturi scrubber)
많은 양의 가스를 처리할 수 있고 효율이 높다.
가스의 압력손실이 크고 미스트의 발생이 많으며 동력비가 많이 들고, 접촉시간이 ㅛ다.
제트형 세정기
(jet scrubber)
가스의 저항이 적다.
동력비가 많이 든다.
원판회전식 세정기
압력손실이 적고 소형화할 수 있다.
동력비가 많이 들고, 설비비가 비싸게 든다.
기포탑
구조가 간단하고 흡수율이 높다.
많은 양의 가스를 처리할 수 없다.
8. 유해가스처리시 흡착제가 구비해야 할 조건을 서술하라.
기체의 흐름에 대한 압력손실이 적어야 하고, 강도와 경도가 어느 정도 있어야 하며, 흡착률이 우수해야 하고, 흡착제의 재생이 용이해야 하며, 흡착물질의 회수가 쉬어야 한다.
9. 흡착원리에서 물리적 흡착과 화학적 흡착에 대해 정의하라.
물리적 흡착은 주로 반데르발스힘(van der Waals force)에 의한 것으로 가스내 분자간의 상호인력보다도 고체 표면과의 인력이 크게 되는 때에 일어난다. 화학적 흡착은 화학적 결합에 의한 것으로 결합력은 물리적 흡착보다 크고 비가역적이다. 물리적 흡착은 탈착이 가능하고 가온 등을 통해 흡착제를 재생시킬 수 있다.
화화적 흡착은 피흡착물과의 화학반응을 통해 일어나며 분자간의 결합력이 강하여 흡착과정에서 발열량이 많다. 또한, 화학결합이 수반되므로 피흡착물이 화학적으로 흡착되면 재생물질을 회수할 수 없게 된다.
10. 황산화물의 처리방법의 개요를 설명하라.
황산화물은 SOx로 표기되며, 대부분 1차적 오염물질에 해당한다. 주로 석탄의 연소에서 많이 생성되며, 석유의 연소 및 원유의 정제를 위한 정유공정 등에서도 발생한다. 황산화물을 제어하는 방법에는 발생원에서의 조절법과 배출가스를 탈황(脫黃)시키는 방법이 있다. 발생원에서의 조절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연료의 저유황화가 필요하다. 황함량이 가장 많은 중유의 탈황이 황산화물 감소의 중심대책이 되고 있다. 배출가스의 탈황방법은 흡수법, 흡착법, 산화법 등으로 구분하며, 건식법에는 흡착법, 금속산화물을 이용한 흡수법, 촉매에 의한 접촉산화물이 있으며, 습식법에는 수산화나트륨 또는 아황산나트륨을 이용한 암모니아 흡수법, 석회의 슬러리를 이용한 석회수법이 있다.
황산화물의 처리방법은 높은 처리성능을 가져야 하고, 장시간의 안전운전이 가능해야 하며, 운전조작 및 보수 점검이 용이해야 하고, 폐수, 미스트, 먼지 등의 2차적 오염물질의 발생이 없어야 하며, 건설비 및 운전비가 저렴해야 한다는 기본적인 조건을 갖추고 있어야한다.
11. 질소산화물의 처리방법의 개요를 설명하라.
질소산화물의 배출을 줄이는 방법에는 생성과정에서 줄이는 방법과 배출가스로부터 제거하는 방법이 있다. 연소과정에서 생성되는 질소산화물의 대부분은 일산화질소로서 약 90%를 차지하고, 나머지는 이산화질소로서 자동차 연료의 연소시에 주로 발생하고 각종 공장, 발전소 등에서도 발생된다.
질소산화물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유기질소화합물을 함유하지 않는 연료를 사용하고, 연소영역에서의 산소농도를 낮게 하며, 고온영역에서의 연소가스의 체류시간을 짧게 하고 연소온도를 낮게 해야 한다. 특히, 부분적인 고온영역이 없도록 해야 한다. 질소산화물의 처리방법에는 알칼리나 산을 이용하는 흡수법, 촉매를 이용하는 환원법, 전자선조사법 등이 있다.
12. 악취물질의 처리방법의 종류를 열거하라.
① 흡수법 - 물 흡수법, 산알칼리약액흡수법
② 직접연소법
③ 촉매연소법
④ 흡착법
⑤ 플라스마처리법
⑥ 오존산화법
⑦ 은폐법
⑧ 토양탈취법
  • 가격13,86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12.09.25
  • 저작시기200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78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