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Ⅰ. 허브와 향신료에 대한 생각
<본론>
Ⅱ. 허브와 향신료
1. 허브의 정의
2. 허브의 역사
(1) 고대의 허브
(2) 중세의 허브
(3) 고대의 허브
(4) 현대의 허브
3. 허브의 용도
(1) 허브는 향초이다
(2) 허브는 채소이다
(3) 허브는 미용초다
(4) 허브는 약초이다
4. 허브의 종류
5. 향신료(스파이스)의 정의
6. 향신료의 역사
7. 향신료의 종류 및 용도
<결론>
Ⅲ. 허브와 향신료의 차이점
Ⅰ. 허브와 향신료에 대한 생각
<본론>
Ⅱ. 허브와 향신료
1. 허브의 정의
2. 허브의 역사
(1) 고대의 허브
(2) 중세의 허브
(3) 고대의 허브
(4) 현대의 허브
3. 허브의 용도
(1) 허브는 향초이다
(2) 허브는 채소이다
(3) 허브는 미용초다
(4) 허브는 약초이다
4. 허브의 종류
5. 향신료(스파이스)의 정의
6. 향신료의 역사
7. 향신료의 종류 및 용도
<결론>
Ⅲ. 허브와 향신료의 차이점
본문내용
리와 육류요리에는 빼 놓을 수
없는 중요한 향신료이다.
HERB의 종류는 세계적으로 약 2천 5백여종이나 됩니다.
레포트에서 많이 부족한 부분은 상세내용은 도서출판 예가에서 출판 최영전님의 \'허브와 스파이스\'를 참조
5. 향신료(스파이스)의 정의
스파이스라 하면 대체적으로 방향성과 자극성이 뛰어난 후추, 시나몬, 넛트멕, 크로우브, 칼터몬, 메이스, 올스파이스등 독특한 맛과 향, 색조등이 음식물에 풍미를 내는 것으로 주로 열대와 온대에서 생산되어 유럽에 전해진 아주 귀한 향신료를 스파이스라 했다. 따라서 스파이스는 건조한 것을 지칭했으며 양파, 마늘, 생강, 와사비, 호스라디쉬, 파 같은 생으로 이용하는 것은 향신료인데도 스파이스라고는 하지 않았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고추, 겨자, 와사비, 산초등도 스파이스에 속하며 터메릭, 사프란, 파프리카 같은 방향성 착색제라든가 휀넬, 딜, 코리안더, 아니스, 커민, 캐러웨이, 칼터몬, 깨, 훼누그리크등의 씨도 스파이스에 속한다. 그런가 하면 온대나 난대에 나며 잎이나 줄기, 꽃등의 향기나 자극성이 열대산에 비하여 다소 순하지만 향신료로 쓰이는 월계수, 타임, 박하류, 세이지, 마조람, 로즈마리, 차빌, 파세리, 바질, 오레가노, 세이보리, 케파, 탈라곤 같은 것도 향신료라 할 수 있다. 허브이면서 스파이스로 쓰이는 것도 있어 옛날처럼 꼬집어서 이것이 스파이스다 라고는 할 수 없으며 용도에 따라 허브도 되고 스파이스도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영국의 웨브스타 사전에는 스파이스를 \"후추, 시나몬, 넛트멕, 메이스, 올스파이스, 생강(진자), 크로우브 등의 여러 가지 방향성 식물에서 얻어지는 것으로 조리할 때 음식물에 맛을 내거나 소스나 피클에 향미를 첨가하는 부향제로 쓰이는 식물성의 조미료 또는 약미로서 보통 분말상태이나 다시 이것을 혼합한 조미료를 포함시켜서 스파이스라 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런데 허브나 스파이스라고 불리우는 식물은 원래 유럽에서 약초, 향초, 향신료, 채소로서 이용하고 있던 식물의 무리로 어느 것을 허브라고 하고 안하고는 그 지방의 전통이나 민간의 풍습이 기초가 되는 만큼 그 습관적인 역사적, 지리적 배경이 만들어 낸 문화를 살펴보지 않고는 이해하기 어렵다.
6. 향신료의 역사
유럽인들이 향신료를 본격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로마가 이집트를 정복한 후부터이며, 그 당시 귀중하게 생각되었던 향신료는 인도산(産)의 후추와 계피였다. 무역풍을 타고 인도양을 건너 홍해를 북상하여 이집트에 달하는 항로가 개발되었기 때문이다. 1세기의 박물학자인 G.S.플리니우스는 후추같이 영양도 아무것도 없는 것 때문에 매해 5000만 세스루티우스의 돈을 유출하고 있다라고 개탄하였다. 그러나 로마는 자력으로 운반해 왔기 때문에 싸게 사용할 수 있었다.
중세에 들어와서 중동의 이슬람교도가 강력하게 팽창한 후부터는 유럽이 원하는 향신료는 모두 아랍 상인의 손을 경유하지 않으면 구할 수 없게 되었다.
그 때부터 정향(丁香:clove)과 너트메그(nutmeg)의 2종류가 중요한 스파이스로서 등장하게 되고, 이 2종류가 모두 몰루카 제도의 특산물이었기 때문에 위험을 무릅쓰고 멀리서부터 운반해 오지 않으면 안되었다. 따라서 가격이 오르고, 아랍 상인의 수중에 있었으므로 칼리프(calif)나 술탄(sultan)도 이것에 과대한 관세를 부가하여 더 비싸게 되었다. 알렉산드리아항(港)에서는 베네치아의 상인이 지중해를 경유하여 베네치아로 운반하고 그로부터 한자동맹 도시를 통하여 유럽 각지에 판매되었다. 그 양쪽 다 비싼 이윤을 요구했기 때문에 최종 소비자의 손에 들어갈 때는 비싼 가격이 되어 있었다. 후추는 은과 같은 가격으로서 화폐로서 통용된 때도 있었다고 한다.
7. 향신료의 종류 및 용도
1. 부위에 따른 향신료의 분류
▶ 열매(Fruit) : Capsicum, Black Pepper, Cardamom 등
▶ 씨앗(Seed) : Anise, Caraway, Celery, Coriander, Cumin, Fennel, Fenugreek, Mustard….
▶ 줄기 또는 뿌리(Rhizomes or Roots) : Ginger, Turmeric 등
▶ 잎(Leaves) : Bay leaves, Marjoram, Parsley, Sage, Thyme 등
▶ 껍질(Bark) : Cinnamon, Cassia
▶ 꽃부분(Floral Parts) : Saffron, Clove, Caper….
▶ 구근(Bulbs) : Onion, Garlic, Shallot….
▶ 식물의 여러 부분을 이용하는 것 : Dill, Parsley등
2. 향기 특성에 따른 분류
▶ 매운 맛 : Pepper, Red pepper, Mustard, Ginger 등
▶ 독특한 맛과 향을 가진 것 : Nutmeg, Mace, Cinnamon, Allspice, Clove, Onion, Garlic, Cumin, Celery, Fennel, Caraway
▶향을 주로 한 향신료 : Thyme, Sage, Bay leaves, Cardamom, Coriander, Basil, Oregano, Marjoram
▶ 착색용 : Paprika, Turmeric, Saffron
1) 방향성 신미료(매운맛)
(가) 명칭 : White pepper
▶ 한국식명 : 백호숙
▶ 사용부위 : 과실
▶ 주산지 : 인도, 말레이시아 등
▶ 용도 : 식육가공, 케찹, 육요리 용
▶ 특징 : 백후추는 스파이스 중에서 가장 잘 알려진 것으로 식육가공의 flavor와 매운맛을 내는데 없어서는 안될 필수적인 향료이다.
(나) 명칭 : Black pepper
▶ 한국식명 : 흑호숙
▶ 사용부위 : 과실
▶ 주산지 : 인도, 말레이시아 등
▶ 용도 : 식육가공, 케찹, 육요리 용
(다) 명칭 : Red pepper
▶ 한국식명 : 적당개자
▶ 사용부위 : 과실
▶ 주산지 : 멕시코, 일본, 인도 등
▶ 용도 : 소스, 육요리 용
(라) 명칭 : Mustard
▶ 한국식명 : 개자(양신자, 또는 겨자)
▶ 사용부위 : 과실
▶ 주산지 : 멕시코, 일본, 인도 등
▶ 용도 : 소스, 사라다, 육요리 용
(2)
없는 중요한 향신료이다.
HERB의 종류는 세계적으로 약 2천 5백여종이나 됩니다.
레포트에서 많이 부족한 부분은 상세내용은 도서출판 예가에서 출판 최영전님의 \'허브와 스파이스\'를 참조
5. 향신료(스파이스)의 정의
스파이스라 하면 대체적으로 방향성과 자극성이 뛰어난 후추, 시나몬, 넛트멕, 크로우브, 칼터몬, 메이스, 올스파이스등 독특한 맛과 향, 색조등이 음식물에 풍미를 내는 것으로 주로 열대와 온대에서 생산되어 유럽에 전해진 아주 귀한 향신료를 스파이스라 했다. 따라서 스파이스는 건조한 것을 지칭했으며 양파, 마늘, 생강, 와사비, 호스라디쉬, 파 같은 생으로 이용하는 것은 향신료인데도 스파이스라고는 하지 않았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고추, 겨자, 와사비, 산초등도 스파이스에 속하며 터메릭, 사프란, 파프리카 같은 방향성 착색제라든가 휀넬, 딜, 코리안더, 아니스, 커민, 캐러웨이, 칼터몬, 깨, 훼누그리크등의 씨도 스파이스에 속한다. 그런가 하면 온대나 난대에 나며 잎이나 줄기, 꽃등의 향기나 자극성이 열대산에 비하여 다소 순하지만 향신료로 쓰이는 월계수, 타임, 박하류, 세이지, 마조람, 로즈마리, 차빌, 파세리, 바질, 오레가노, 세이보리, 케파, 탈라곤 같은 것도 향신료라 할 수 있다. 허브이면서 스파이스로 쓰이는 것도 있어 옛날처럼 꼬집어서 이것이 스파이스다 라고는 할 수 없으며 용도에 따라 허브도 되고 스파이스도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영국의 웨브스타 사전에는 스파이스를 \"후추, 시나몬, 넛트멕, 메이스, 올스파이스, 생강(진자), 크로우브 등의 여러 가지 방향성 식물에서 얻어지는 것으로 조리할 때 음식물에 맛을 내거나 소스나 피클에 향미를 첨가하는 부향제로 쓰이는 식물성의 조미료 또는 약미로서 보통 분말상태이나 다시 이것을 혼합한 조미료를 포함시켜서 스파이스라 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런데 허브나 스파이스라고 불리우는 식물은 원래 유럽에서 약초, 향초, 향신료, 채소로서 이용하고 있던 식물의 무리로 어느 것을 허브라고 하고 안하고는 그 지방의 전통이나 민간의 풍습이 기초가 되는 만큼 그 습관적인 역사적, 지리적 배경이 만들어 낸 문화를 살펴보지 않고는 이해하기 어렵다.
6. 향신료의 역사
유럽인들이 향신료를 본격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로마가 이집트를 정복한 후부터이며, 그 당시 귀중하게 생각되었던 향신료는 인도산(産)의 후추와 계피였다. 무역풍을 타고 인도양을 건너 홍해를 북상하여 이집트에 달하는 항로가 개발되었기 때문이다. 1세기의 박물학자인 G.S.플리니우스는 후추같이 영양도 아무것도 없는 것 때문에 매해 5000만 세스루티우스의 돈을 유출하고 있다라고 개탄하였다. 그러나 로마는 자력으로 운반해 왔기 때문에 싸게 사용할 수 있었다.
중세에 들어와서 중동의 이슬람교도가 강력하게 팽창한 후부터는 유럽이 원하는 향신료는 모두 아랍 상인의 손을 경유하지 않으면 구할 수 없게 되었다.
그 때부터 정향(丁香:clove)과 너트메그(nutmeg)의 2종류가 중요한 스파이스로서 등장하게 되고, 이 2종류가 모두 몰루카 제도의 특산물이었기 때문에 위험을 무릅쓰고 멀리서부터 운반해 오지 않으면 안되었다. 따라서 가격이 오르고, 아랍 상인의 수중에 있었으므로 칼리프(calif)나 술탄(sultan)도 이것에 과대한 관세를 부가하여 더 비싸게 되었다. 알렉산드리아항(港)에서는 베네치아의 상인이 지중해를 경유하여 베네치아로 운반하고 그로부터 한자동맹 도시를 통하여 유럽 각지에 판매되었다. 그 양쪽 다 비싼 이윤을 요구했기 때문에 최종 소비자의 손에 들어갈 때는 비싼 가격이 되어 있었다. 후추는 은과 같은 가격으로서 화폐로서 통용된 때도 있었다고 한다.
7. 향신료의 종류 및 용도
1. 부위에 따른 향신료의 분류
▶ 열매(Fruit) : Capsicum, Black Pepper, Cardamom 등
▶ 씨앗(Seed) : Anise, Caraway, Celery, Coriander, Cumin, Fennel, Fenugreek, Mustard….
▶ 줄기 또는 뿌리(Rhizomes or Roots) : Ginger, Turmeric 등
▶ 잎(Leaves) : Bay leaves, Marjoram, Parsley, Sage, Thyme 등
▶ 껍질(Bark) : Cinnamon, Cassia
▶ 꽃부분(Floral Parts) : Saffron, Clove, Caper….
▶ 구근(Bulbs) : Onion, Garlic, Shallot….
▶ 식물의 여러 부분을 이용하는 것 : Dill, Parsley등
2. 향기 특성에 따른 분류
▶ 매운 맛 : Pepper, Red pepper, Mustard, Ginger 등
▶ 독특한 맛과 향을 가진 것 : Nutmeg, Mace, Cinnamon, Allspice, Clove, Onion, Garlic, Cumin, Celery, Fennel, Caraway
▶향을 주로 한 향신료 : Thyme, Sage, Bay leaves, Cardamom, Coriander, Basil, Oregano, Marjoram
▶ 착색용 : Paprika, Turmeric, Saffron
1) 방향성 신미료(매운맛)
(가) 명칭 : White pepper
▶ 한국식명 : 백호숙
▶ 사용부위 : 과실
▶ 주산지 : 인도, 말레이시아 등
▶ 용도 : 식육가공, 케찹, 육요리 용
▶ 특징 : 백후추는 스파이스 중에서 가장 잘 알려진 것으로 식육가공의 flavor와 매운맛을 내는데 없어서는 안될 필수적인 향료이다.
(나) 명칭 : Black pepper
▶ 한국식명 : 흑호숙
▶ 사용부위 : 과실
▶ 주산지 : 인도, 말레이시아 등
▶ 용도 : 식육가공, 케찹, 육요리 용
(다) 명칭 : Red pepper
▶ 한국식명 : 적당개자
▶ 사용부위 : 과실
▶ 주산지 : 멕시코, 일본, 인도 등
▶ 용도 : 소스, 육요리 용
(라) 명칭 : Mustard
▶ 한국식명 : 개자(양신자, 또는 겨자)
▶ 사용부위 : 과실
▶ 주산지 : 멕시코, 일본, 인도 등
▶ 용도 : 소스, 사라다, 육요리 용
(2)
추천자료
[음악치료]음악치료의 정의, 음악치료의 효과, 역사, 종류와 음악치료의 사례를 통해 본 음악...
[이종격투기][이종격투기 개념][이종격투기 유래][이종격투기 역사][이종격투기 종류]이종격...
한국무용에 대하여 - 한국무용 정의, 기원, 역사, 종류, 특징 완벽 정리
[커피][커피의 기원][커피의 역사][커피의 종류][커피의 다양한 효능][외국의 커피문화][카페...
[커피][커피의 역사][커피의 전파][커피의 종류][커피의 재배지역][커피의 효능][커피문화]커...
[한국전통가옥][전통가옥][기와 유래][기와 종류][기와 역사][초가집 의의][초가집 구성][지...
[탈춤][봉산탈춤][탈놀이][탈놀음][탈춤 종류][탈춤 기원][탈춤 역사][탈춤 무대][봉산탈춤 ...
[종이][종이의 유래][종이의 역사][종이의 전파][종이의 종류별 특성][종이의 재활용][제지][...
국수의 기원, 종류 및 제조과정의 변천사
국사와 세계사의 통합적 지도를 통한 역사교육 [발표에 사용할 교재의 종류 : 6학년 1학기 사...
[콩][콩 개념][콩 종류][콩 성분][콩 효능][콩 역사][콩 재배][콩 생산현황]콩의 개념, 콩의 ...
[시조, 시조 개념, 시조 종류, 시조 형식, 시조 명칭, 시조 역사, 시조 전개]시조의 개념, 시...
[직업병][직업병 의미][직업병 종류][직업병 역사][직업병 현황][직업병 판단근거][직업병 사...
[한국문화사] <술> 우리나라 술의 이해 - 술의 어원과 기원, 술의 종류와 역사(청주, 막걸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