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미국 클리블랜드
자전거의 도시 암스테르담
차타누가시의 녹색길과 나무심기
새로운 독일 환경수도 하므시
파리의 세느강, 광장 그리고 정원
브라질 꾸리찌바
호흡하는 거리로 대기오염을 극복한 슈투트가르트
스웨덴 예테보리
베를린의 아파트단지 개조
미국 버클리시의 에코디자인
도심을 생명의 공간으로 부활시킨 오슬로
죽음의 바다에서 별빛 도시로 -일본 기타큐슈(北九州)시-
넬슨시
자전거의 도시 암스테르담
차타누가시의 녹색길과 나무심기
새로운 독일 환경수도 하므시
파리의 세느강, 광장 그리고 정원
브라질 꾸리찌바
호흡하는 거리로 대기오염을 극복한 슈투트가르트
스웨덴 예테보리
베를린의 아파트단지 개조
미국 버클리시의 에코디자인
도심을 생명의 공간으로 부활시킨 오슬로
죽음의 바다에서 별빛 도시로 -일본 기타큐슈(北九州)시-
넬슨시
본문내용
질을 처리하기 위한 새로운 환경기술을 개발하고, 실증검토를 거쳐 사업화까지 함으로서 기타큐슈시는 21세기 환경기술과 산업에서 앞서가고 있다.
기타규슈 시의 환경의식을 보여주는 환경박물관
벽면은 초록색 잎사귀로 덮여있고 옥상은 태양광 솔라페널로 반짝이고 있는 환경박물관은 기타규슈 시의 환경의식을 보여주는 상징물이다. 2002년 4월 건립된 박물관 야외에는 풍력발전기의 바람개비가 바쁘게 원을 그리고, 60여 톤의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빗물이용시설이 있다. 또한, 관내의 전력, 화장실 배수 등이 자체 내에서 해결된다는 것을 직접 시민들에게 보여주고, 방문객들이 자연스럽게 자원순환형 건축의 의미와 필요성을 느끼게 한다.
또한 종합적인 환경교육의 장으로서 기타큐슈시의 산업발전사, 공해의 발생과 그 극복의 역사 등 지역적인 환경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다. 그리고 지구온난화, 쓰레기 문제 등 지구적 환경사안을 패널, 비디오, 입체 조형물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해 보여주고 있다.
넬슨시
뉴질랜드 남섬의 북단에 있는 타스만(Tasman)만의 넬슨(Nelson)시. 인접 지역까지 포함하여 인구 87000명정도의 작은 시이지만 땅이 비옥하고 바다가 풍부한 먹거리를 제공하는 아름다운 곳이다. 겨울 평균기온 13도, 여름 평균기온 23도, 년 강수량은 1000ml 정도로 사시사철 사람이 적응하기에 가장 알맞은 온화한 지중해성 기후를 갖고 있다.
2000년 넬슨시는 매립장으로 향하는 쓰레기의 증가가 인구증가폭을 넘어서되자이에 대처하기 위해 ‘쓰레기제로’(Zero Waste) 전략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다. 모든 재사용, 재활용 가능한 쓰레기를 시장과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고 그 외의 것만 매립장으로 보내고 최종 목표인 2015년까지는 매립장으로 향하는 쓰레기는 0(Zero)으로 하는 것이다. 시는 이 야침찬 목표의 달성을 위하여 시민들의 인식과 태도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넬슨시는 시정부, 중앙정부 및 산업들의 적극적인 주도를 중시하고 있으며 2010년에 이 전략에 대한 점검과 수정을 실시할 예정이다.
40여년 전 까지만 해도 뉴질랜드에서 쓰레기는 중요한 문제는 아니었다. 상품의 제조와 운반이 용이하지 않았던 때의 내구성 제품들은 상품이 손쉽게 제공되면서부터 일회성 제품들로 대치되었고 이로 인하여 엄청난 양의 쓰레기가 발생하게 되었다. 지난 1982년부터 1995년 사이에 매립되는 쓰레기는 무려 30%나 증가했다. 심각해지는 쓰레기 문제 해결을 위하여 넬슨시에서 추진하는 \'쓰레기제로\'정책의 주요 내용을 소개한다.
1) 5 Rs 철학
3Rs-쓰레기줄이기(Reduce), 재사용(Re-use), 재활용(Recycle)-은 이미 모두들 잘 알고 있을것이다. 뉴질랜드의 넬슨시에서는이 3R에 복구(Recover)와 쓰레기의안전처리(Residue)의 개념을 추가하여 5 Rs을 사용하고있다. 일반적으로 매립은 그 자체로서 끝나는 것으로 생각 하지만, 매립장의 설계운영 및 추후주변에의 오염관리를 위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까지 고려할 때 엄청난 비용이 들어간다는 점을 생각하여 낼슨시에서는 5Rs를 쓰레기 대책의 중심철학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것이다.
2) 쓰레기 감사제도
쓰레기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어디서 얼마만큼의 쓰레기가 발생하는지, 또 이들은 어떻게 처리되는지 정확히 알 필요가 있다. 넬슨시의 조사에서는 1인당 1주에 약 20 kg의 쓰레기가 발생하고 있는데, 쓰레기 발생을 변화시키기 위한 첫번째 시도는 그 내용물를 정확하게 분석하는 것이었다. 그래서 ‘쓰레기제로’ 기금에서 예산을 편성하여 조사요원을 투입하고, 쓰레기중 얼마만큼이 재사용되고, 재활용되며 분해되고 있는지에 대한 기초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자료를 바탕으로 각 지역마다 목표를 어떻게 정하고 실천해야 할지를 결정하고 있다.
3) 새로운 매립비용 계산
매립장의 경우 도입되는 쓰레기의 양이 늘어남에 따라 매립장의 확대, 유출수 모니터링과 관리 등에 더 많은 예산이 들어가게 된다. 넬슨시에서는 이 비용을 전적으로 사용자에게 부담시키고 있다. 과거 시 의회는 쓰레기처리 비용에 25%의 인상요인이 있는데18%만 인상하기로 결정, 그 결과 이웃시의 쓰레기의 일부가 넬슨시의 쓰레기 매립장으로 유입되는 경험을 했다. 일반적으로 쓰레기 처리비를 높이면 전체적으로 쓰레기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 경우 일부 불법처리 쓰레기가 증가하므로 이에 대한 공공처리비용과 시민들에 대한 교육비용등이 늘어나게 된다. 그러나 넬슨시가 추진하고 있는 것은 쓰레기의 처리에 들어가는 비용이 단순히 매립장으로 쓰레기를 운반하여 버리는데 그치지 않고, 최종적으로 매립장의 모니터링과 외부 오염 방지를 위한 관리비용까지 상정함으로써 시민들로 하여금, 쓰레기 절감, 재활용, 재사용, 음식쓰레기의 퇴비화 등이 왜 중요하고 비용을 줄일 수 있는 것인가를 깨닫게 하고 있는 것이다. 사람들은 쓰레기 절감, 재사용, 재활용에는 비용이 들어가는데 비하여 매립은 추가적인 비용부담이 없다고 생각한다. 바로 이러한 잘못된 관점을 바꾸기 위하여는 쓰레기 매립의 경우 당장의 매립비용만이 아니라 매립장이 마지막으로 문을 닫을 때까지 소요되는 모든 비용을 단위 쓰레기 처리 비용에 부담시키므로서 5 Rs이 왜 더 경제적인가를 시민들이 깨닫게 하는 것이다.
4) 재활용과 유기쓰레기 사료화
넬슨시에서는 시와 주민공동체는 물론 상업적인 차원에서도 쓰레기 절감을 위한 노력을 추진하고 있다. 넬슨시의 재활용센터가 쓰레기 전달장 바로 옆에 있는데 주 목적은 재사용을 촉진하는 것이다. 사적인 쓰레기사료화센터도 그 옆에 있는데 년간 15,000입방미터를 처리한다. 흔히 매립장에서 산소가 부족하여 메탄이 발생하여 이산화탄소보다 100배나 많은 오존층을 파괴한다. 그래서 이곳에서는 메탄가스를 태워 이산화탄소와 물로 전환시키고 있다. 전기를 생산할 정도로 많은 양의 가스가 나오지는 않기 때문이다. 물론 유기물 쓰레기가 줄어들면 발생하는 가스는 더욱 줄어들게 될 것이다. 넬슨시에서는 유입 쓰레기 중 유기물의 양을 해마다 10%씩 낮추는 계획을 세우고 농장에서 유기물 쓰레기를 사료화하는 양은 해마다 10%
기타규슈 시의 환경의식을 보여주는 환경박물관
벽면은 초록색 잎사귀로 덮여있고 옥상은 태양광 솔라페널로 반짝이고 있는 환경박물관은 기타규슈 시의 환경의식을 보여주는 상징물이다. 2002년 4월 건립된 박물관 야외에는 풍력발전기의 바람개비가 바쁘게 원을 그리고, 60여 톤의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빗물이용시설이 있다. 또한, 관내의 전력, 화장실 배수 등이 자체 내에서 해결된다는 것을 직접 시민들에게 보여주고, 방문객들이 자연스럽게 자원순환형 건축의 의미와 필요성을 느끼게 한다.
또한 종합적인 환경교육의 장으로서 기타큐슈시의 산업발전사, 공해의 발생과 그 극복의 역사 등 지역적인 환경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다. 그리고 지구온난화, 쓰레기 문제 등 지구적 환경사안을 패널, 비디오, 입체 조형물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해 보여주고 있다.
넬슨시
뉴질랜드 남섬의 북단에 있는 타스만(Tasman)만의 넬슨(Nelson)시. 인접 지역까지 포함하여 인구 87000명정도의 작은 시이지만 땅이 비옥하고 바다가 풍부한 먹거리를 제공하는 아름다운 곳이다. 겨울 평균기온 13도, 여름 평균기온 23도, 년 강수량은 1000ml 정도로 사시사철 사람이 적응하기에 가장 알맞은 온화한 지중해성 기후를 갖고 있다.
2000년 넬슨시는 매립장으로 향하는 쓰레기의 증가가 인구증가폭을 넘어서되자이에 대처하기 위해 ‘쓰레기제로’(Zero Waste) 전략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다. 모든 재사용, 재활용 가능한 쓰레기를 시장과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고 그 외의 것만 매립장으로 보내고 최종 목표인 2015년까지는 매립장으로 향하는 쓰레기는 0(Zero)으로 하는 것이다. 시는 이 야침찬 목표의 달성을 위하여 시민들의 인식과 태도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넬슨시는 시정부, 중앙정부 및 산업들의 적극적인 주도를 중시하고 있으며 2010년에 이 전략에 대한 점검과 수정을 실시할 예정이다.
40여년 전 까지만 해도 뉴질랜드에서 쓰레기는 중요한 문제는 아니었다. 상품의 제조와 운반이 용이하지 않았던 때의 내구성 제품들은 상품이 손쉽게 제공되면서부터 일회성 제품들로 대치되었고 이로 인하여 엄청난 양의 쓰레기가 발생하게 되었다. 지난 1982년부터 1995년 사이에 매립되는 쓰레기는 무려 30%나 증가했다. 심각해지는 쓰레기 문제 해결을 위하여 넬슨시에서 추진하는 \'쓰레기제로\'정책의 주요 내용을 소개한다.
1) 5 Rs 철학
3Rs-쓰레기줄이기(Reduce), 재사용(Re-use), 재활용(Recycle)-은 이미 모두들 잘 알고 있을것이다. 뉴질랜드의 넬슨시에서는이 3R에 복구(Recover)와 쓰레기의안전처리(Residue)의 개념을 추가하여 5 Rs을 사용하고있다. 일반적으로 매립은 그 자체로서 끝나는 것으로 생각 하지만, 매립장의 설계운영 및 추후주변에의 오염관리를 위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까지 고려할 때 엄청난 비용이 들어간다는 점을 생각하여 낼슨시에서는 5Rs를 쓰레기 대책의 중심철학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것이다.
2) 쓰레기 감사제도
쓰레기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어디서 얼마만큼의 쓰레기가 발생하는지, 또 이들은 어떻게 처리되는지 정확히 알 필요가 있다. 넬슨시의 조사에서는 1인당 1주에 약 20 kg의 쓰레기가 발생하고 있는데, 쓰레기 발생을 변화시키기 위한 첫번째 시도는 그 내용물를 정확하게 분석하는 것이었다. 그래서 ‘쓰레기제로’ 기금에서 예산을 편성하여 조사요원을 투입하고, 쓰레기중 얼마만큼이 재사용되고, 재활용되며 분해되고 있는지에 대한 기초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자료를 바탕으로 각 지역마다 목표를 어떻게 정하고 실천해야 할지를 결정하고 있다.
3) 새로운 매립비용 계산
매립장의 경우 도입되는 쓰레기의 양이 늘어남에 따라 매립장의 확대, 유출수 모니터링과 관리 등에 더 많은 예산이 들어가게 된다. 넬슨시에서는 이 비용을 전적으로 사용자에게 부담시키고 있다. 과거 시 의회는 쓰레기처리 비용에 25%의 인상요인이 있는데18%만 인상하기로 결정, 그 결과 이웃시의 쓰레기의 일부가 넬슨시의 쓰레기 매립장으로 유입되는 경험을 했다. 일반적으로 쓰레기 처리비를 높이면 전체적으로 쓰레기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 경우 일부 불법처리 쓰레기가 증가하므로 이에 대한 공공처리비용과 시민들에 대한 교육비용등이 늘어나게 된다. 그러나 넬슨시가 추진하고 있는 것은 쓰레기의 처리에 들어가는 비용이 단순히 매립장으로 쓰레기를 운반하여 버리는데 그치지 않고, 최종적으로 매립장의 모니터링과 외부 오염 방지를 위한 관리비용까지 상정함으로써 시민들로 하여금, 쓰레기 절감, 재활용, 재사용, 음식쓰레기의 퇴비화 등이 왜 중요하고 비용을 줄일 수 있는 것인가를 깨닫게 하고 있는 것이다. 사람들은 쓰레기 절감, 재사용, 재활용에는 비용이 들어가는데 비하여 매립은 추가적인 비용부담이 없다고 생각한다. 바로 이러한 잘못된 관점을 바꾸기 위하여는 쓰레기 매립의 경우 당장의 매립비용만이 아니라 매립장이 마지막으로 문을 닫을 때까지 소요되는 모든 비용을 단위 쓰레기 처리 비용에 부담시키므로서 5 Rs이 왜 더 경제적인가를 시민들이 깨닫게 하는 것이다.
4) 재활용과 유기쓰레기 사료화
넬슨시에서는 시와 주민공동체는 물론 상업적인 차원에서도 쓰레기 절감을 위한 노력을 추진하고 있다. 넬슨시의 재활용센터가 쓰레기 전달장 바로 옆에 있는데 주 목적은 재사용을 촉진하는 것이다. 사적인 쓰레기사료화센터도 그 옆에 있는데 년간 15,000입방미터를 처리한다. 흔히 매립장에서 산소가 부족하여 메탄이 발생하여 이산화탄소보다 100배나 많은 오존층을 파괴한다. 그래서 이곳에서는 메탄가스를 태워 이산화탄소와 물로 전환시키고 있다. 전기를 생산할 정도로 많은 양의 가스가 나오지는 않기 때문이다. 물론 유기물 쓰레기가 줄어들면 발생하는 가스는 더욱 줄어들게 될 것이다. 넬슨시에서는 유입 쓰레기 중 유기물의 양을 해마다 10%씩 낮추는 계획을 세우고 농장에서 유기물 쓰레기를 사료화하는 양은 해마다 1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