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교감 / 부교감
■ 자율 신경계란?
□ 교감 신경
□ 부교감 신경
□ 교감신경 / 부교감신경 작용
콜린제
<자율 신경계 약물>
1. 콜린제(cholinergic drugs)
▷ 모방 or 억제
▷ 콜린성 약물
▷ 콜린성작용제의 투여
▷ 약물작용
▷ 약물의 임상적 적용
▷ 콜린제 부작용
2. 항콜린제(anticholinergic drugs)
▷ 뮤스카린 수용체(muscarinic sites)에서만 작용
▷ 항콜린성 약물
▷ 항콜린성 작용제의 투여
▷ 약물 작용
▷ 약물의 임상적 적용
▷ 부작용
■ 자율 신경계란?
□ 교감 신경
□ 부교감 신경
□ 교감신경 / 부교감신경 작용
콜린제
<자율 신경계 약물>
1. 콜린제(cholinergic drugs)
▷ 모방 or 억제
▷ 콜린성 약물
▷ 콜린성작용제의 투여
▷ 약물작용
▷ 약물의 임상적 적용
▷ 콜린제 부작용
2. 항콜린제(anticholinergic drugs)
▷ 뮤스카린 수용체(muscarinic sites)에서만 작용
▷ 항콜린성 약물
▷ 항콜린성 작용제의 투여
▷ 약물 작용
▷ 약물의 임상적 적용
▷ 부작용
본문내용
위하여
- 수술 후 복부 팽만과 위 장관 이완증과 같은 위 장관 장애를 치료하기 위하여
- 안과 수술 환자와 녹내장 환자의 안압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 방사선 치료와 sjogren's syndrome으로 인한 타액선 기능저하를 치료하기 위하여
▷ 콜린제 부작용
콜린성 항진제는 부교감신경계 수용체와 결합하므로, 부교감신경의 지배를 받는 다른 장기에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다음은 이런 부작용에 포함된다.
· 오심과구토
· 경련과 설사
· 흐린 시력
· 저혈압과 심박동수 감소
· 숨참
· 빈뇨
· 타액의 증가와 발한
2. 항콜린제(anticholinergic drugs)
항콜린성 약물은 자육신경계와 중추신경계에서 부교감신경이 자극을 방해한다. 이들은 또한 아세틸콜린 뿐만 아니라, 콜린성 수용체의 자극도 방해한다.
▷ 뮤스카린 수용체(muscarinic sites)에서만 작용
항콜린성 약물은 모든 콜린성 수용체를 차단하지 않는다. 다만, 뮤스카린 수용체 부위에서만 작용한다. 뮤스카린 수용체는 아트로핀에 의해 방해되고 알카로이드 뮤스카린에 의해 자극되어지는 콜린성 수용체이다.
▷ 항콜린성 약물
· 벨라도나 알카로이드(Belladonna alkaloids)
· 아트로핀
· belladonna
· homatropine
· hyoscyamine
· scopolamine
* 아트로핀?
뮤스카린 수용체 부위에서 아세틸콜린과 다른 콜린성 작용제 등과 경쟁하여 이들의 작용을 방해한다.
적응증 : 증상이 있는 서맥, 수술 전 분비물의 감소와 심장 미주신경 반사의 차단, 소화성 궤양의 보조적 치료, 기능성 위장계 질환
▷ 항콜린성 작용제의 투여
벨라도나 알카로이드(Belladonna alkaloids)는 눈, 위장관, 점액막, 피부에서 흡수된다.
▷ 약물 작용
항콜린성 약물은 약물용량, 치료를 요구하는 질병상태 및 표적 장기에 따라 신체에 역설적인 효과를 미친다. 예를들면, 항콜린성 약물은 자극효과를 줄 수도 있고 반면에 억압효과를 줄 수도 있다. 이 들은 적은 용량 투여 시 뇌에 자극효과를 주고, 고농도 투여 시에는 억압 효과를 준다.
▷ 약물의 임상적 적용
항콜린성 약물이 다양한 위장관 상태에 따라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살펴보자.
- 모든 항콜린성 약물은 근육을 이완시키고, 위장관계 분비물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경련성 혹은 과잉 운동성 위장계와 비뇨기계 질환을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방광이완과 요실금시 propantheline과 같은 제4기 암모니움 합성물을 선택한다. 왜냐하면 이는 벨라도나 알카로이드 보다 부작용이 적기 때문이다.
- 벨라도나 알칼로이드는 모르핀과 함께 담도 급성통증(담석으로 인한 담도계 통증)에 사용된다.
- 항콜린성 약물은 내시경이나 직장경 등 진단적 검사 전에 위장계 평활근을 이완시키기 위하여 주사한다.
▷ 부작용
항콜린성 약물의 부작용은 약물의 농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치료적 용량과 독성 용량의 차이는 아주 적다. 부작용은 다음과 같다.
· 구강건조
· 기관지 분비물 감소
· 심박동수 증가
· 흐린 시력
· 발한 감소
- 수술 후 복부 팽만과 위 장관 이완증과 같은 위 장관 장애를 치료하기 위하여
- 안과 수술 환자와 녹내장 환자의 안압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 방사선 치료와 sjogren's syndrome으로 인한 타액선 기능저하를 치료하기 위하여
▷ 콜린제 부작용
콜린성 항진제는 부교감신경계 수용체와 결합하므로, 부교감신경의 지배를 받는 다른 장기에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다음은 이런 부작용에 포함된다.
· 오심과구토
· 경련과 설사
· 흐린 시력
· 저혈압과 심박동수 감소
· 숨참
· 빈뇨
· 타액의 증가와 발한
2. 항콜린제(anticholinergic drugs)
항콜린성 약물은 자육신경계와 중추신경계에서 부교감신경이 자극을 방해한다. 이들은 또한 아세틸콜린 뿐만 아니라, 콜린성 수용체의 자극도 방해한다.
▷ 뮤스카린 수용체(muscarinic sites)에서만 작용
항콜린성 약물은 모든 콜린성 수용체를 차단하지 않는다. 다만, 뮤스카린 수용체 부위에서만 작용한다. 뮤스카린 수용체는 아트로핀에 의해 방해되고 알카로이드 뮤스카린에 의해 자극되어지는 콜린성 수용체이다.
▷ 항콜린성 약물
· 벨라도나 알카로이드(Belladonna alkaloids)
· 아트로핀
· belladonna
· homatropine
· hyoscyamine
· scopolamine
* 아트로핀?
뮤스카린 수용체 부위에서 아세틸콜린과 다른 콜린성 작용제 등과 경쟁하여 이들의 작용을 방해한다.
적응증 : 증상이 있는 서맥, 수술 전 분비물의 감소와 심장 미주신경 반사의 차단, 소화성 궤양의 보조적 치료, 기능성 위장계 질환
▷ 항콜린성 작용제의 투여
벨라도나 알카로이드(Belladonna alkaloids)는 눈, 위장관, 점액막, 피부에서 흡수된다.
▷ 약물 작용
항콜린성 약물은 약물용량, 치료를 요구하는 질병상태 및 표적 장기에 따라 신체에 역설적인 효과를 미친다. 예를들면, 항콜린성 약물은 자극효과를 줄 수도 있고 반면에 억압효과를 줄 수도 있다. 이 들은 적은 용량 투여 시 뇌에 자극효과를 주고, 고농도 투여 시에는 억압 효과를 준다.
▷ 약물의 임상적 적용
항콜린성 약물이 다양한 위장관 상태에 따라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살펴보자.
- 모든 항콜린성 약물은 근육을 이완시키고, 위장관계 분비물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경련성 혹은 과잉 운동성 위장계와 비뇨기계 질환을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방광이완과 요실금시 propantheline과 같은 제4기 암모니움 합성물을 선택한다. 왜냐하면 이는 벨라도나 알카로이드 보다 부작용이 적기 때문이다.
- 벨라도나 알칼로이드는 모르핀과 함께 담도 급성통증(담석으로 인한 담도계 통증)에 사용된다.
- 항콜린성 약물은 내시경이나 직장경 등 진단적 검사 전에 위장계 평활근을 이완시키기 위하여 주사한다.
▷ 부작용
항콜린성 약물의 부작용은 약물의 농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치료적 용량과 독성 용량의 차이는 아주 적다. 부작용은 다음과 같다.
· 구강건조
· 기관지 분비물 감소
· 심박동수 증가
· 흐린 시력
· 발한 감소
추천자료
약학 약물 국시대비 자료정리
응급약물 조사
아동 - 호흡기계
응급시 사용하는 약물(응급약물)
내분비계에 작용하는 약물
수혈요법, 수혈부작용
정신분열증(schizophrenia)case + 약물 + 소감문 + 대화과정 + 활동요법 + daily report
[의약품]의약품의 정의와 형태, 의약품의 분류와 복용, 의약품의 부작용, 위장치료 의약품, ...
정신간호약물
화학적 거세의 전면적 확대시행
[약리학] 심폐소생술 (CPR :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 심폐소생술에 쓰이는 약물
부정맥 관련 약물 및 약물 계산 방법1
ER(응급실)에서 사용되는 약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