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 미메시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플라톤 미메시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Ι. 플라톤은 여러 장르의 예술 중 미술만 평가 절하 했을까?
 1. “미메시스”의 개념에 대한 정의
 2. 플라톤 『국가』중 “미메시스”와 관련된 부분
 3. 플라톤은 여러 장르의 예술 중 미술만 평가 절하 했을까?

[근거]
 1. 『국가』10권 598d
 2. 『국가』10권 603a


Ⅱ. 플라톤주의의 미학의 현재성과 미메시스
 1. 중세시대의 플라톤주의 미학
 2. 르네상스의 플라톤주의 미학
 3. 플라톤주의의 현재성과 미메시스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더욱 아름답게 재창조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예술가들은 신적인 존재로까지 위상이 높아진다. 또한 자연관에도 변화가 오는데 자연은 스스로 자신의 물질을 생동하는 원리를 지닌 존재 이데아로 생각하게 된 것이다. 이런 예술이론으로 인해 르네상스는 종교, 철학, 예술의 삼위일체로 다함께 발전하게 된다. 또 하나의 변혁은 원근법의 발명이다. 원근법은 예술가는 자연을 더욱 더 완벽하게 만든다는 예술이론과 접목되어 르네상스의 회화의 발달을 가져온다. 그의 원근법에서 그림의 표면은 밖을 내다보는 ‘열린 창문’의 역할을 한다. “원근법의 발명으로 파울로 우첼로나 브라만티노 등의 원근법의 구조들이 연이어 발생한다.” 『르네상스 명화이야기』, 앨리슨 콜 (남경태 옮김), 디자인하우스출판사, p.28 그림참조 및 인용
차울로 우첼로의 <숲 속의 사냥>을 보면 소실점이 사냥감에 대해 맞춰져있게 되어있어서 그림 자체가 마치 하나의 독립된 장면처럼 보인다. 또한 브라만티노의 <동방박사의 경배>를 보아도 성모의 무잠 아래에 소실점과 수평선이 만나서 그림을 좀 더 웅장하게 만든다. 이는 위에서 언급한 플라톤주의의 새로운 미메시스와 연관된다. 파놉스키는 “원근법을 통해서 심리적이고 생리학적이었던 공간이 수학적 공간이 되었다.”라는 말을 했다. 이는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공간이 인식주체의 사고에 의해서 수학적 사고로 바뀌었다는 내용을 내포한다. 이 또한 위에서 이야기했던 자연관의 변화를 단적으로 이야기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3. 플라톤주의의 현재성과 미메시스
현재성이라는 단어를 풀이해서 생각해본다면 과거의 어떤 것이 현재에 영향을 끼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위에서 언급했던 플라톤주의가 현재에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은 과연 어떤 것 일까?
크게 생각해서는 사고적인 부분와 물질적인 부분으로 생각해봐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우선 사고적인 부분을 보면 가장 먼저 현재 종교의 사상에서 찾을 수 있다. 기독교나 천주교를 비롯하여 거의 모든 종교는 플라톤주의적 사상을 가지고 있다. 실재로 살고 있는 세상과 이상적인 부분을 이원화시켜서 생각한다. 예를 들어 천국이나 지옥등과 같은 개념 또한 이런 플라톤주의적 사상에서 나온 것이다. 이런 종교에서 신도들에게 요구하는 것도 따지고 보면 이상향에 대한 미메시스라고 생각한다. 또한 현재 사회 곳곳에서 불리어지는 공식적인 노래 등도 미메시스와 관련이 있다고 생각한다. 얼핏 생각하면 애국가나 교가 같은 것이 미메시스와 도대체 무슨 관계가 있을까 의아해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조금만 생각해보면 애국가나 교가 등은 노래가 목적이 아니라 애국심이라든지 애교심을 고양시키기위한 목적을 가진다. 이는 플라톤의 미메시스와 관련이 있을뿐더러 분야는 다르지만 플라디안 양식의 개념과 무척 유사히다. 특히 애국가나 교가의 목적이 훌륭한 노래를 만들어서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고 애국심이나 애교심을 가지게 한다는 점에서 일맥상통한다고 생각한다.
물질적인 것은 물건, 회화, 조각 등등 가시적인 모든 것을 내포하는 의미이다. 먼저 물건을 보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비행기이다. 비행기를 발명한 라이트형제는 그 본을 새에서 떠왔다고 했다. 이와 마찬가지로 현대의 사물들은 자연물과 유사하게 제작되는 것이 많다. 이는 자연을 완벽한 대상으로 보고 미메시스적으로 접근한다는 점에서 플라톤주의와 유사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Ⅲ. 참고문헌
1.『국가』, 플라톤 (박주현 역주), 서광사
2.『미학사』, W.티타르키비츠(손효주 옮김), 미술문화출판사
3.『르네상스 명화이야기』, 앨리슨 콜 (남경태 옮김), 디자인하우스출판사
4.『르네상스』, 폴 존슨 (한은경 옮김), 을유문화사, p.105 발췌
  • 가격3,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2.08.05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02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