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탐구를 위한 양적 연구방법과 질적 연구방법
3. 페러다임의 영향
4. 이론의 영향
5. 사회복지 실천 모델
6. 연구목적
7. 시간차원
8. 양적 및 질적 연구의 단계
9. 연구서 작성
2. 탐구를 위한 양적 연구방법과 질적 연구방법
3. 페러다임의 영향
4. 이론의 영향
5. 사회복지 실천 모델
6. 연구목적
7. 시간차원
8. 양적 및 질적 연구의 단계
9. 연구서 작성
본문내용
, 그래프, 시각적 도구로 자료를 제시, 자료가 의미하는 바를 구체적으로 기술적이고 사실적으로 보고한다.
⑤ 논의- 연구보고서에 주요 연구결과 및 결론을 간략하게 요약하는 부분을 포 함시킬 수도 있다.
9. 연구보고서 작성(부록)
1) 과학적 보고서의 기능
① 연구보고서는 구체적인 자료와 생각을 독자들에게 전달해야 한다.
② 연구자는 연구보고서를 일반적인 과학 지식에 대한 기여로 여겨야 한다.
③ 연구보고서는 더 많은 연구를 이끌어낼 수 있어야 하고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2) 기본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
① 독자
- 보고서를 읽게 될 사람이 누구인지를 생각해야 한다.
- 전문 연구자들을 위해 보고서를 쓰는 경우 중요한 사항들만 요약하여 제시.
- 일반 독자들을 대상으로 할 경우 기술적인 용어들을 사용.
- 독자들의 연구 관련 전문성과 전문 역할에 따라 어떤 식으로 연구 결과를 보고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② 연구보고서의 형식과 길이
- 연구비 지원기관을 위해 보고서를 준비할 경우 길이는 천차만별이고 독자가 누가 될지(전문가인지 일반인인지), 연구비를 지원한 이유를 염두에 두어야 한다.
③ 연구보고서의 목적
- 탐색적 목적: 결론은 실험적이고 불완전할 수 있다.
: 독자에게 연구가 가진 탐색적 목적을 분명하게 밝히고, 연구가 가진 단점을 기술해야 한다.
- 기술적 목적: 표본에 해당하는 기술과 모집단에 해당되는 기술로 구분한다.
- 설명적 목적: 독자들에게 자신의 결론과 계산의 근거를 어떤 규칙에 준하여 설명하는 지를 밝히고, 독자들에게 제시한 결론의 확실성이 상대적임도 밝혀야 한다.
- 사회복지연구 프로젝트는 사회복지 실천과 정책에 정보를 제공하는 목적을 가져야 한다.
- 연구보고서는 어떤 구체적인 행동에 관한 함의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 연구자가 제안하는 사항들은 자료에 의해서 뒷받침되어야 한다.
④ 표절 방지
- 다른 사람의 연구결과를 보고할 때는 누가 무엇을 말했는지를 분명하게 밝 혀야 한다.
- 다른 사람의 말을 편집하거나 달리 표현하는 식으로 수정한 다음에 자기 자 신의 것처럼 보고하는 것도 용납될 수 없다.
- 다른 사람의 생각을 자신의 것처럼 보고하는 것도 안된다.
3) 연구보고서의 구성
① 제목
- 보고서의 주도니 내용을 반영해야 한다.
- 정보를 제공하면서 길지 않아야 한다: 짧고 간결하게
- 여러 개의 제목을 만들어 동료연구자나 공동연구자의 의견과 반응을 들어본 다.
② 초록
- 제목이 명시된 쪽 바로 뒤에 연구보고서의 내용을 간쥔하게 요약하여 정리 한 초록을 별도의 쪽으로 첨부한다.(75~150단어 사이에서 길이를 제한)
- 첫문장: 연구의 목적으로 시작.
- 그 다음 한두 문장: 연구 설께와 방법을 설명.
- 뒤이어 한두 문장: 연구의 주된 결과라 무엇인지 설명한 다음 연구결과의 한의를 간략하게 언급한다.
③ 서론과 문헌고찰
- 서론 부분은 연구자가 연구 계획서에 제시했던 분제와 목적 · 문헌고찰 부 분과 유사해야 한다.(문제의 범위,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연구의 중요성)
- 선행연구들을 간략하게, 독자들이 충분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요약 · 정 리하여 제시해야 한다.
④ 연구방법
- 각각의 변수를 어떻게 측정했는지를 구체적으로 밝히고 독자들이 측정과정 의 신뢰성과 타당성에 대해 충분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 자료수집 과정, 인과관계에 대한 논리적 근거 및 표본추출 과정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자세한 설명을 제공해야 한다.
⑤ 결과
- 양적 자료를 사용한 경우, 자료를 제시하여 독자들이 분석해볼 수 있게 하 되 자세하고 구체적인 내용을 제시해야 한다.
- 질적 연구를 사용한 경우, 독자들이 연구자와 함께 면접을 한다는 느낌이 들 정도로 자세한 내용을 제시해야 한다.
- 연구자는 자신의 이해방식과 대립되는 자료 또한 제시해야 한다.
- 표, 도표, 그림 등을 연구보고서의 내용에 포함시켜야 하며, 가능한 해당 사 항을 논의하고 있는 부분과 가까운 부분에 제시한다.
- 연구결과의 함의에 대한 해석은 연구결과에 뒤에 하는 것이 좋다.
- 연구결과 부분에서의 해석은 자료의 기술적 의미와 사실적 의미가 무엇인지 를 서술하는 정도로 제한하는 것이 좋다.
⑥ 논의 및 결론
- 구체적인 결론을 이끌어 내고, 결에 근거한 함의를 도출하고, 연구가 가진 방법론적 한계를 밝힌 다음 , 후속연구를 위해 제안을 하는 부분이다.
- 연구자가 내린 결론은 자료에 의해서 뒷받침되어야 하며, 각각의 결론에 대 한 근거가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밝혀야 한다.
- 결론에 근거하여 사회복지 실천과 정책을 위한 함의를 도출해야하며 후속 연구를 위한 함의도 제시해야한다.
- 중요한 사항들만 선택하여 일반적인 중요성을 요약 정리한다.
⑦ 참고문헌과 부록
- 결론 부분에 뒤이어서 제시되어야 한다.
- 본문 내용에 인용표시를 할 때는 저자의 성(last name)과 연도를 제시.
- 참고문헌 부분: 인용한 문헌에 대한 완전한 인용주를 밝히고 주저자의 성의 알파벳순서를 기준으로 나열한다.
- 각각의 인용 부분에 1과 같이 번호를 매긴 다음 보고서 맨 뒤의 참고문헌 부분에 각각의 인용주를 밝힌다.
4) 질적 연구보고서 작성 시 추가로 고려해야 할 사항
① 질적 연구는 심층적이고 감정이입적인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② 질적 연구에서 수집한 자료는 양적 연구에 비해 축약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보고서의 길이가 일반적으로 긴 경향이 있다.
③ 질적 연구보고서는 주관적인 이해를 독자들에게 전달하기 위해서 창의적이고 다양한 문장 스타일을 사용하여 한다.
④ 질적 연구의 결론은 충분한 자료에 의해서 뒷받침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저자는 William Strunk와 E. B. White가 쓴 형식의 구성요소(The Elements of Style)를 반복하여(약 3개월 정도의 간격을 두고) 읽고 글을 직접 써보라고 권하고 있다.
참고문헌
김병진. {사회복지조사방법론}. 법문사, 2006.
이익섭. {사회복지조사방법의 이해}. 학지사, 2004.
2012년 사회복지사 1급 시험 대비 사회복지조사론 기본서 나눔의 집
⑤ 논의- 연구보고서에 주요 연구결과 및 결론을 간략하게 요약하는 부분을 포 함시킬 수도 있다.
9. 연구보고서 작성(부록)
1) 과학적 보고서의 기능
① 연구보고서는 구체적인 자료와 생각을 독자들에게 전달해야 한다.
② 연구자는 연구보고서를 일반적인 과학 지식에 대한 기여로 여겨야 한다.
③ 연구보고서는 더 많은 연구를 이끌어낼 수 있어야 하고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2) 기본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
① 독자
- 보고서를 읽게 될 사람이 누구인지를 생각해야 한다.
- 전문 연구자들을 위해 보고서를 쓰는 경우 중요한 사항들만 요약하여 제시.
- 일반 독자들을 대상으로 할 경우 기술적인 용어들을 사용.
- 독자들의 연구 관련 전문성과 전문 역할에 따라 어떤 식으로 연구 결과를 보고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② 연구보고서의 형식과 길이
- 연구비 지원기관을 위해 보고서를 준비할 경우 길이는 천차만별이고 독자가 누가 될지(전문가인지 일반인인지), 연구비를 지원한 이유를 염두에 두어야 한다.
③ 연구보고서의 목적
- 탐색적 목적: 결론은 실험적이고 불완전할 수 있다.
: 독자에게 연구가 가진 탐색적 목적을 분명하게 밝히고, 연구가 가진 단점을 기술해야 한다.
- 기술적 목적: 표본에 해당하는 기술과 모집단에 해당되는 기술로 구분한다.
- 설명적 목적: 독자들에게 자신의 결론과 계산의 근거를 어떤 규칙에 준하여 설명하는 지를 밝히고, 독자들에게 제시한 결론의 확실성이 상대적임도 밝혀야 한다.
- 사회복지연구 프로젝트는 사회복지 실천과 정책에 정보를 제공하는 목적을 가져야 한다.
- 연구보고서는 어떤 구체적인 행동에 관한 함의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 연구자가 제안하는 사항들은 자료에 의해서 뒷받침되어야 한다.
④ 표절 방지
- 다른 사람의 연구결과를 보고할 때는 누가 무엇을 말했는지를 분명하게 밝 혀야 한다.
- 다른 사람의 말을 편집하거나 달리 표현하는 식으로 수정한 다음에 자기 자 신의 것처럼 보고하는 것도 용납될 수 없다.
- 다른 사람의 생각을 자신의 것처럼 보고하는 것도 안된다.
3) 연구보고서의 구성
① 제목
- 보고서의 주도니 내용을 반영해야 한다.
- 정보를 제공하면서 길지 않아야 한다: 짧고 간결하게
- 여러 개의 제목을 만들어 동료연구자나 공동연구자의 의견과 반응을 들어본 다.
② 초록
- 제목이 명시된 쪽 바로 뒤에 연구보고서의 내용을 간쥔하게 요약하여 정리 한 초록을 별도의 쪽으로 첨부한다.(75~150단어 사이에서 길이를 제한)
- 첫문장: 연구의 목적으로 시작.
- 그 다음 한두 문장: 연구 설께와 방법을 설명.
- 뒤이어 한두 문장: 연구의 주된 결과라 무엇인지 설명한 다음 연구결과의 한의를 간략하게 언급한다.
③ 서론과 문헌고찰
- 서론 부분은 연구자가 연구 계획서에 제시했던 분제와 목적 · 문헌고찰 부 분과 유사해야 한다.(문제의 범위,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연구의 중요성)
- 선행연구들을 간략하게, 독자들이 충분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요약 · 정 리하여 제시해야 한다.
④ 연구방법
- 각각의 변수를 어떻게 측정했는지를 구체적으로 밝히고 독자들이 측정과정 의 신뢰성과 타당성에 대해 충분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 자료수집 과정, 인과관계에 대한 논리적 근거 및 표본추출 과정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자세한 설명을 제공해야 한다.
⑤ 결과
- 양적 자료를 사용한 경우, 자료를 제시하여 독자들이 분석해볼 수 있게 하 되 자세하고 구체적인 내용을 제시해야 한다.
- 질적 연구를 사용한 경우, 독자들이 연구자와 함께 면접을 한다는 느낌이 들 정도로 자세한 내용을 제시해야 한다.
- 연구자는 자신의 이해방식과 대립되는 자료 또한 제시해야 한다.
- 표, 도표, 그림 등을 연구보고서의 내용에 포함시켜야 하며, 가능한 해당 사 항을 논의하고 있는 부분과 가까운 부분에 제시한다.
- 연구결과의 함의에 대한 해석은 연구결과에 뒤에 하는 것이 좋다.
- 연구결과 부분에서의 해석은 자료의 기술적 의미와 사실적 의미가 무엇인지 를 서술하는 정도로 제한하는 것이 좋다.
⑥ 논의 및 결론
- 구체적인 결론을 이끌어 내고, 결에 근거한 함의를 도출하고, 연구가 가진 방법론적 한계를 밝힌 다음 , 후속연구를 위해 제안을 하는 부분이다.
- 연구자가 내린 결론은 자료에 의해서 뒷받침되어야 하며, 각각의 결론에 대 한 근거가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밝혀야 한다.
- 결론에 근거하여 사회복지 실천과 정책을 위한 함의를 도출해야하며 후속 연구를 위한 함의도 제시해야한다.
- 중요한 사항들만 선택하여 일반적인 중요성을 요약 정리한다.
⑦ 참고문헌과 부록
- 결론 부분에 뒤이어서 제시되어야 한다.
- 본문 내용에 인용표시를 할 때는 저자의 성(last name)과 연도를 제시.
- 참고문헌 부분: 인용한 문헌에 대한 완전한 인용주를 밝히고 주저자의 성의 알파벳순서를 기준으로 나열한다.
- 각각의 인용 부분에 1과 같이 번호를 매긴 다음 보고서 맨 뒤의 참고문헌 부분에 각각의 인용주를 밝힌다.
4) 질적 연구보고서 작성 시 추가로 고려해야 할 사항
① 질적 연구는 심층적이고 감정이입적인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② 질적 연구에서 수집한 자료는 양적 연구에 비해 축약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보고서의 길이가 일반적으로 긴 경향이 있다.
③ 질적 연구보고서는 주관적인 이해를 독자들에게 전달하기 위해서 창의적이고 다양한 문장 스타일을 사용하여 한다.
④ 질적 연구의 결론은 충분한 자료에 의해서 뒷받침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저자는 William Strunk와 E. B. White가 쓴 형식의 구성요소(The Elements of Style)를 반복하여(약 3개월 정도의 간격을 두고) 읽고 글을 직접 써보라고 권하고 있다.
참고문헌
김병진. {사회복지조사방법론}. 법문사, 2006.
이익섭. {사회복지조사방법의 이해}. 학지사, 2004.
2012년 사회복지사 1급 시험 대비 사회복지조사론 기본서 나눔의 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