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5세기 국어의 한자음 표기법
1. 15세기 국어의 한자음 표기 방법
2.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
2. 한자음 표기
3. 한자음 표기에 사용된 글자
<참고 문헌>
1. 15세기 국어의 한자음 표기 방법
2.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
2. 한자음 표기
3. 한자음 표기에 사용된 글자
<참고 문헌>
본문내용
다면 ‘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자의 음은 어떻게 표기되었을까? 15세기 국어의 한자음 표기를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와 한자음 표기로 나누어 살펴보자.
2.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창제한 목적은 서문(序文)에도 나타나 있듯이 ‘어리석은 백성을’ ‘불쌍히 여겼기’ 때문이다. 그러나 세종대왕의 또 다른 의도는 당시 조선의 한자음을 정리하여 중국의 한자음에 가깝게 고치는 것이었다. 이에 때라 중국 음운학의 기본이 되는 <홍무정운(洪武正韻, 1375년)>을 바탕으로 <동국정운(東國正韻, 1448년>을 간행하여 당시 조선에서 관습적으로 사용하던 한자음을 중국의 한자 원음에 가깝게 고쳤다. 이에 따라 세종과 세조 대(代)에 간행된 <훈민정음 언해본(1446)>, <석보상절(釋譜詳節), 1446>,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 1449)> 등의 한자음 표기는 <동국정운>의 한자음을 표준으로 했는데, 이를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라고 한다.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의 한자 원음에 가깝게 표기하려고 했다. 그래서 순 우리말 표기에는 사용되지 않았던 ‘ㄲ(ㅸ字), ㄸ(覃땀ㅂ字), ㅃ(步뽕ㆆ字), ㅆ(上聲
2.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창제한 목적은 서문(序文)에도 나타나 있듯이 ‘어리석은 백성을’ ‘불쌍히 여겼기’ 때문이다. 그러나 세종대왕의 또 다른 의도는 당시 조선의 한자음을 정리하여 중국의 한자음에 가깝게 고치는 것이었다. 이에 때라 중국 음운학의 기본이 되는 <홍무정운(洪武正韻, 1375년)>을 바탕으로 <동국정운(東國正韻, 1448년>을 간행하여 당시 조선에서 관습적으로 사용하던 한자음을 중국의 한자 원음에 가깝게 고쳤다. 이에 따라 세종과 세조 대(代)에 간행된 <훈민정음 언해본(1446)>, <석보상절(釋譜詳節), 1446>,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 1449)> 등의 한자음 표기는 <동국정운>의 한자음을 표준으로 했는데, 이를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라고 한다.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의 한자 원음에 가깝게 표기하려고 했다. 그래서 순 우리말 표기에는 사용되지 않았던 ‘ㄲ(ㅸ字), ㄸ(覃땀ㅂ字), ㅃ(步뽕ㆆ字), ㅆ(上聲
키워드
추천자료
[과외]중학 한문1-1학기 기말 예상문제 09
[과외]중학 한문 1-2학기 중간 예상문제 04
[과외]중학 한문 2-2학기 기말 예상문제 04
[과외]중학 한문 2-2학기 중간 예상문제 04
[과외]중학 한문 3-1학기 기말 예상문제 18
[과외]중학 한문 3-1학기 중간 예상문제 10
[과외]고등 국어 1-2학기 중간 예상문제 08
차자표기법 연구-향찰,이두,구결을 중심으로
중세전기문학
상대 - 근세 일본문학
2013년 동계계절시험 일본어기초1 시험범위 핵심체크
2014년 1학기 일본어기초1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2014년 1학기 일본어기초1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우리나라 문자정책방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