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한 것인데, 전탁음을 『동국정운』에서는 예외 없이 각자병서로 주음하였으나 이는 중국측 운서(고금운회거요)의 음 분류 틀에 맞춘 것일 뿐 당시의 우리 현실 한자음에 변별적 기능이 있었던 것은 아니라고 본다. 그리하여 『자회』에서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離
利
李
理
里
林
立
馬
滿
萬
末
亡
望
妹
買
어문회/진흥회 3級II 漢字훈음쓰기(3) * (1)~(7)은 4~8급한자 / (8)~(11)은 3급II한자
賣
每
脈
勉
面
鳴
明
名
命
模
毛
母
牧
目
木
墓
妙
舞
務
武
無
聞
問
文
門
物
味
未
米
美
民
密
拍
博
朴
半
反
班
髮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23.07.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市
時
識
式
植
食
臣
信
新
神
身
實
失
室
心
十
兒
惡
安
案
어문회/진흥회 4級II 漢字 훈음쓰기(3) * (1)~(4) 5급~8급한자 부터(4)~(6) 4급II한자
愛
夜
野
約
弱
藥
養
洋
陽
漁
魚
語
億
言
業
然
熱
葉
永
英
午
五
屋
溫
完
王
外
曜
要
浴
勇
用
牛
友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600원
- 등록일 2023.07.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면 ‘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자의 음은 어떻게 표기되었을까? 15세기 국어의 한자음 표기를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와 한자음 표기로 나누어 살펴보자.
2.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창제한 목적은 서문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2.08.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이다. 훈몽자회의 \'탁\'은 漢字音의 無氣音의 有氣音化에 따른 變異로 볼 수 있겠다.
濁 : 탁 착 탁 直角 dj\' k daku taku( oku)
韓國漢字音은 앞의 \'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有氣音化하여 읽고 있음을 볼 수 있고, 일본한자음의 吳音은 중고음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700원
- 등록일 2008.1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