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가 우리 땅이 이유, 삼국사기, 태종실록, 고려사지리지, 세종실록지리지, 신중동국여지승람, 안용복사건, 동국문헌비고, 만기요람, 대한제구긔칙령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독도가 우리 땅이 이유, 삼국사기, 태종실록, 고려사지리지, 세종실록지리지, 신중동국여지승람, 안용복사건, 동국문헌비고, 만기요람, 대한제구긔칙령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1905년 이전 독도 영유권 관련 역사적 사실에 대한 문제

Ⅰ. 한국측 기록

1) 삼국사기(1145년)
2) 태종실록
3) 고려사 지리지
4) 세종실록 지리지
5) 신중동국여지승람
6) 안용복 사건(울릉도 쟁계, 다케시마 일건)
7) 동국문헌비고(1770), 중보문헌비고(1908)
8) 만기요람(1808)
9) 대한 제국의 칙령

본문내용

하면서 복속했다. (삼국사기 권 4, 신라본기, 지중왕)
한국에서는 이 때(서기 512년)부터 울릉도와 울릉도의 부속섬인 독도가 신라의 영토가 됨으로써 한국의 영토가 되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이는 울릉도에만 해당되는 것일 뿐 독도와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서 한국은 독도에 대해서는 분명한 인식이 없었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해서 한국 김병렬은 지리적으로 볼 때 독도는 ‘울릉도의 부속 도시’로 인식되어 왔다고 주장한다. 울릉도에서는 지긍미나 그 당시나 지리적으로 가까우므로 독도가 보인다. 그르므로 육지에서 울릉도까지 건너가 어업을 생업으로 하는 사람들이 바라다 보이는 섬을 가보지 않았을 것이라고 하는 주장은 억지라는 것이다. 한국의 신용하는 주장하기를 세종실록에는 울릉도를 ‘본도(本島)’라 하고 독도의 당시 명칭인 우산도를 울릉도의 속도(屬島)라고 하였다는 것이다. 일본에서도 동일한 인식을 하였다. 일본에서는 처음 울릉도를 죽도(다케시마), 독도를 송도(마쓰시마)로 불렀는데, 일본 관습에 송죽(松竹)은 항상 붙어 다니는 한 쌍으로 간주했다. 이 때문에 울릉도에 ‘죽도’의 명칭이 생기자 그 부속 도서인 독도(우산도)에 실제 나무 한 그루 자리지 않는 바위섬인데 불구하고 소나무 송자를 붙여 ‘송도’라고 붙인 것이다. 그러므로 울릉도의 영유 국가가 결정되면 지리적으로 그 부속 도서인 ‘독도’의 영유 국가는 울릉도의 영유 국가의 소유로 간주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2) 태종실록
조선 태종의 치세 기간은 울릉도와 독도의 역사에 있어서 상당히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이는 태종이 울릉도를 비워놓는 공도(公道) 정책을 실시했기 때문이다.
김인우를 무릉 등처 안무사로 삼았다 (중략) 김인우가 또 아뢰기를, 무릉도가 멀리 바다 가운데 있어 사람이 서로 통하지 못하기 때문에 가끔 군역을 피하는 자가 도망쳐 들어갑니다. 만일 이 섬에 주접하는 사람이 많으면 왜적이 마침내 반드시 들어와 도둑질하여 이로 인해 강원도에 침입할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임금이 옳게 여겨 김인우를 무릉등처의 안무사로 삼았다. (대종실록 권32. 태종 16년 9월 조(1416년))
태종이 공도 정책을 실시한 이유는 군역을 피하고자 하는 자가 울릉도에 모여들면 왜구의 표적이 되어 왜구가 울릉도를 거점으로 강원도에 침입할 것이기 때문이었다. 즉 공도 정책은 왜구가 울릉도와 독도 등지로 침입하는 일을 막는 수단으로 시행된 것이다. 이러한 조선 시대의 울릉도에 대한 공동 정책은 영토를 포기한 것이 아니며, 공동 정책도 섬을 관리하기 위한 하나의 행정 조치이다. 이러한 조치의 일환으로 숙종 재임 기간인 1690년대 초에 이르기까지 두 섬에는 주민의 거주를 금지하면서도 부정기적으로 관리를 파견하였다. 그러나 일본 학자들은 이것은 섬에 대한 영유권을 포기한 것이고 더욱이 도독에 대해서는 순찰조차 하지 않았기 때문에 독도는 명확히 버려진 땅이었고 이후 일본이 이를 이용하여 특히 17세기에는 에도막부가 오다니찡기와 무라까와 가문에게 도해면허를 내주어 울릉도와 독도를 경영하게 함으로써 일본이 원초적 궝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8.27
  • 저작시기201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20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