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과 \'Inn\' 도 호텔의 발달과정에서 나타난 것이라 할 수 있다.
전세계가 하나의 경제 블럭을 형성하고, 교통의 발달로 유동이 편리해진 만큼 비즈니스맨들의 호텔 이용이 빈번해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호텔 이용에 필요한 매너는 비즈니스맨이라면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상식이 되었다.
또한, 경제성장 및 개인의 소득 증가로 인해 여행의 수요는 증가 하게 되었고, 숙박시설인 호텔에서의 에티켓은 꼭 알아두어야 할 부분 중에 하나가 되었다.
여기서 우리는 호텔을 이용하는데 있어서 꼭 알고 있어야 할 사항들과 호텔에서 지켜야할 매너를 알아보고자 한다.
2. 호텔의 서비스
1. 예약
객실부문을 이용할 때 가장 선행되어야 할 사항이 예약이다. 사전예약이 기본이며, 또한 예약만으로 안심할 사항이 아니며 투숙 2∼3일 전에 반드시 재확인(reconfirm)하는 것이 중요하다. 선진외국은 1년 후의 휴가나 여행 및 관광계획까지도 세워 차질없는 예약문화가 정착되어 있다. 예약을 했으면 이행토록 해야 할 것이며, 부득이 취소할 경우가 발생했을 때에는 지체없이 호텔 측에 예약취소(cancel)통보를 하는 것이 취소 수수료(cancel charge)를 지불해야 하는 불이익 이전에 기본매너 이다. 예약시에는 성명 및 성별, 도착일시와 출발예정일시, 연락처, 지불방법 등에 대해 정확히 알려주며, 비행기를 이용할 경우에는 비행기편까지 알려준다. 외국이나 호텔에 따라서는 신용카드 번호까지 요구하기도 한다.
호텔에 도착하면 먼저 프론트에 가서 등록카드를 작성한다. 가족동반을 제외하고는 한 사람씩 각자 작성하는 것이 원칙인데 주소를 자세하게 적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체크아웃 이후에 배달되는 서류나 우편물을 회송하는데 긴요하기 때문이다. 성명 기입시에는 반드시 Mr. 나 Mrs., Miss 등을 붙여야 한다. 등록카드 작성이 끝나면 객실을 배정 받고 벨맨의 안내에 따라 움직이면 되는데 이때 개인의 짐은 벨맨에게 건네도록 한다.
한편,고급 호텔에서는 바쁜 비즈니스 고객이나 단골 고객인 경우, 익스프레스 체크인 (Express Check-in)이라 하여 예약 시 호텔 측에서 미리 등록카드를 작성해 고객이 도착하면 프런트를 거치지 않고 바로 객실로 안내하는 시스템도 운영하고 있다.
2. Check In
도착하면 Lobby를 지나 Front desk에 가서 Check-in(호텔에 들어가기 위한 수속)을 한다. 다른 사람이 있는 경우에는 뒤에서 차례를 기다린다.
Check-in시에는 반드시 신용 카드(Credit card)가 필요하다.
호텔에 예약이 되어 있으면 이름을 대고 신용 카드를 넘겨주면 자동차 렌트 때와 마찬가지로 신용 카드를 용지에 대고 긁고는 금액 난과 Sign 난을 공백으로 두고 신용 카드는 되돌려준다.
요금은 후불이나 Motel의 경우에는 신용 카드 대신에 선불을 요구하는 곳도 있다.
Check-in 시에는 숙박계(Hotel register)를 작성해야 한다. 직원이 주는 양식(Form)에 주소, 이름, 거주 기간 등을 채워 넣으면 된다. 그러나 예약이 되어 있는 경우에는 숙박계를 작성할 필요가 없다.
3. 객실의 이용
① 방과 침대의 종류
방(Room)의 종류는 아래와 같이 3가지가 있다.
Single room : 1인용 방.
Double room : 2인용 방. Twin bed나 Double bed가 있다.
Suite room : 응접실이 딸린 방.
Single room에 비해 Double room은 요금이 같거나 10~20%정도 비싸다.
그러나 Suite는 보통 $200~$1000 정도로 대단히 비싸다.
그리고 외국의 경우 Smoking room이라고 하여 흡연 가능한 room과 금연 구역인 room으로 나뉘어져 있다고 한다.
침대(bed)의 종류는 아래와 같이 구분한다.
Single bed: 1인용 침대.
Twin bed : 침대 2개가 있어서 2인 사용.
Double bed : 큰 침대 1개가 있으며 2인 사용.
침대의 크기에 따라 Full size, Queen size, King size로 나눈다. King size는 침대 폭이 길이보다 길다.
Double bed는 보통 부부가 함께 자는 경우 외에는 빌리지 않는다.
Room에 관한 사례) 회사 상사가 다른 직원과 함께 둘이서 미국에 출장을 갔었는데 2명이 자기 위해 Double bed를 달라고 했다가 Homo 취급을 당한 적이 있었다고 한다. 1970년대에만 하더라도 미국에서는 동성애자에 대한 협오감을 가졌었다. 열쇠를 던져 주는 등 호텔의 종업들로 부터 푸대접을 받아, 유색인종이라 차별하는 줄 알고 마지막날 호텔 지배인에게 항의를 했었는데, 동성애자로 오인하더라는 것이었다.
2명이 자기 위해서는 \'Double room\'이라고 하든가 아니면 더 분명히 하기위해 \'Twin bed room\'이라고 말하는 것이 좋다.
미국인은 굉장히 가까운 사이가 아니면 남자 2명이 절대 같은 방을 쓰지 않는다. 그러나 일본인이나 한국인들은 남자 2명이 한 방을 사용하는 것을 꺼려하지 않는다.
10년 전만 하더라도 동양인들이 미국에 출장 오면 으례히 한 방을 사용하는 것을 이상하게 생각하였으나 최근에는 이런 것이 동양인의 관습으로 알고 더 이상 이상하게 생각하지는 않는다. 지난 번 출장 때에는 2명이 같이 갔었는데 오히려 한 방에 2명이 같이 잘 것인지 물어 왔다.
Smoking room에 관한 사례) 한번은 같이 출장간 친구와 한 방에 자게 되었는데, 이 친구가 담배를 피워 담배를 피울 수 있는 방(Smoking room)을 달라고 했다.
그런데 그 방에 가서는 5분도 안되어서 도로 나와서 Front desk로 되돌아와 방을 비흡연실로 바꿔 달라고 했다.(미국에서는 방이 마음이 안 들면 바꿔 달라고 요구 할 수 있고 호텔 측에서는 당연히 바꾸어 준다.)
나는 담배를 피우지는 않지만 내 주위의 사람들이 대부분 골초여서 담배 연기나 담배 냄새를 싫어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그 방에서 나는 담배 냄새는 거의 독가스실(?) 수준 이었다. 서양 사람들이 피는 독한 Cigar 냄새와 보통 담배 냄새가 어우러져(?) 거의 숨을 쉴 수가 없었다.
방을 비흡연실로
전세계가 하나의 경제 블럭을 형성하고, 교통의 발달로 유동이 편리해진 만큼 비즈니스맨들의 호텔 이용이 빈번해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호텔 이용에 필요한 매너는 비즈니스맨이라면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상식이 되었다.
또한, 경제성장 및 개인의 소득 증가로 인해 여행의 수요는 증가 하게 되었고, 숙박시설인 호텔에서의 에티켓은 꼭 알아두어야 할 부분 중에 하나가 되었다.
여기서 우리는 호텔을 이용하는데 있어서 꼭 알고 있어야 할 사항들과 호텔에서 지켜야할 매너를 알아보고자 한다.
2. 호텔의 서비스
1. 예약
객실부문을 이용할 때 가장 선행되어야 할 사항이 예약이다. 사전예약이 기본이며, 또한 예약만으로 안심할 사항이 아니며 투숙 2∼3일 전에 반드시 재확인(reconfirm)하는 것이 중요하다. 선진외국은 1년 후의 휴가나 여행 및 관광계획까지도 세워 차질없는 예약문화가 정착되어 있다. 예약을 했으면 이행토록 해야 할 것이며, 부득이 취소할 경우가 발생했을 때에는 지체없이 호텔 측에 예약취소(cancel)통보를 하는 것이 취소 수수료(cancel charge)를 지불해야 하는 불이익 이전에 기본매너 이다. 예약시에는 성명 및 성별, 도착일시와 출발예정일시, 연락처, 지불방법 등에 대해 정확히 알려주며, 비행기를 이용할 경우에는 비행기편까지 알려준다. 외국이나 호텔에 따라서는 신용카드 번호까지 요구하기도 한다.
호텔에 도착하면 먼저 프론트에 가서 등록카드를 작성한다. 가족동반을 제외하고는 한 사람씩 각자 작성하는 것이 원칙인데 주소를 자세하게 적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체크아웃 이후에 배달되는 서류나 우편물을 회송하는데 긴요하기 때문이다. 성명 기입시에는 반드시 Mr. 나 Mrs., Miss 등을 붙여야 한다. 등록카드 작성이 끝나면 객실을 배정 받고 벨맨의 안내에 따라 움직이면 되는데 이때 개인의 짐은 벨맨에게 건네도록 한다.
한편,고급 호텔에서는 바쁜 비즈니스 고객이나 단골 고객인 경우, 익스프레스 체크인 (Express Check-in)이라 하여 예약 시 호텔 측에서 미리 등록카드를 작성해 고객이 도착하면 프런트를 거치지 않고 바로 객실로 안내하는 시스템도 운영하고 있다.
2. Check In
도착하면 Lobby를 지나 Front desk에 가서 Check-in(호텔에 들어가기 위한 수속)을 한다. 다른 사람이 있는 경우에는 뒤에서 차례를 기다린다.
Check-in시에는 반드시 신용 카드(Credit card)가 필요하다.
호텔에 예약이 되어 있으면 이름을 대고 신용 카드를 넘겨주면 자동차 렌트 때와 마찬가지로 신용 카드를 용지에 대고 긁고는 금액 난과 Sign 난을 공백으로 두고 신용 카드는 되돌려준다.
요금은 후불이나 Motel의 경우에는 신용 카드 대신에 선불을 요구하는 곳도 있다.
Check-in 시에는 숙박계(Hotel register)를 작성해야 한다. 직원이 주는 양식(Form)에 주소, 이름, 거주 기간 등을 채워 넣으면 된다. 그러나 예약이 되어 있는 경우에는 숙박계를 작성할 필요가 없다.
3. 객실의 이용
① 방과 침대의 종류
방(Room)의 종류는 아래와 같이 3가지가 있다.
Single room : 1인용 방.
Double room : 2인용 방. Twin bed나 Double bed가 있다.
Suite room : 응접실이 딸린 방.
Single room에 비해 Double room은 요금이 같거나 10~20%정도 비싸다.
그러나 Suite는 보통 $200~$1000 정도로 대단히 비싸다.
그리고 외국의 경우 Smoking room이라고 하여 흡연 가능한 room과 금연 구역인 room으로 나뉘어져 있다고 한다.
침대(bed)의 종류는 아래와 같이 구분한다.
Single bed: 1인용 침대.
Twin bed : 침대 2개가 있어서 2인 사용.
Double bed : 큰 침대 1개가 있으며 2인 사용.
침대의 크기에 따라 Full size, Queen size, King size로 나눈다. King size는 침대 폭이 길이보다 길다.
Double bed는 보통 부부가 함께 자는 경우 외에는 빌리지 않는다.
Room에 관한 사례) 회사 상사가 다른 직원과 함께 둘이서 미국에 출장을 갔었는데 2명이 자기 위해 Double bed를 달라고 했다가 Homo 취급을 당한 적이 있었다고 한다. 1970년대에만 하더라도 미국에서는 동성애자에 대한 협오감을 가졌었다. 열쇠를 던져 주는 등 호텔의 종업들로 부터 푸대접을 받아, 유색인종이라 차별하는 줄 알고 마지막날 호텔 지배인에게 항의를 했었는데, 동성애자로 오인하더라는 것이었다.
2명이 자기 위해서는 \'Double room\'이라고 하든가 아니면 더 분명히 하기위해 \'Twin bed room\'이라고 말하는 것이 좋다.
미국인은 굉장히 가까운 사이가 아니면 남자 2명이 절대 같은 방을 쓰지 않는다. 그러나 일본인이나 한국인들은 남자 2명이 한 방을 사용하는 것을 꺼려하지 않는다.
10년 전만 하더라도 동양인들이 미국에 출장 오면 으례히 한 방을 사용하는 것을 이상하게 생각하였으나 최근에는 이런 것이 동양인의 관습으로 알고 더 이상 이상하게 생각하지는 않는다. 지난 번 출장 때에는 2명이 같이 갔었는데 오히려 한 방에 2명이 같이 잘 것인지 물어 왔다.
Smoking room에 관한 사례) 한번은 같이 출장간 친구와 한 방에 자게 되었는데, 이 친구가 담배를 피워 담배를 피울 수 있는 방(Smoking room)을 달라고 했다.
그런데 그 방에 가서는 5분도 안되어서 도로 나와서 Front desk로 되돌아와 방을 비흡연실로 바꿔 달라고 했다.(미국에서는 방이 마음이 안 들면 바꿔 달라고 요구 할 수 있고 호텔 측에서는 당연히 바꾸어 준다.)
나는 담배를 피우지는 않지만 내 주위의 사람들이 대부분 골초여서 담배 연기나 담배 냄새를 싫어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그 방에서 나는 담배 냄새는 거의 독가스실(?) 수준 이었다. 서양 사람들이 피는 독한 Cigar 냄새와 보통 담배 냄새가 어우러져(?) 거의 숨을 쉴 수가 없었다.
방을 비흡연실로
키워드
추천자료
호텔고객 불평관리를 통한 고객만족
호텔이미지가 고객방문과 수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호텔식음료][호텔식음료상품][호텔][식음료][식음료상품]호텔식음료의 개념, 호텔식음료의 ...
호텔관광 인사관리
롯데호텔의 마케팅 전략
A+++받은 자료 리츠칼튼호텔의 소개와 가치, 마케팅전략
메리어트호텔의 마케팅 성공사례
신라호텔의 마케팅 성공사례
호텔사업의 특성
관광호텔내부마케팅전략방안에_관한_연구
서비스의 품질생산관리 방법 - 고객만족, 친절서비스맨, 의사소통, 신용, 관심, 호텔, 고객니...
[호텔기업가치][호텔기업][기업가치][기업][호텔기업가치 수단][호텔기업가치 환대]호텔기업...
THE PLAZA 프라자호텔 호텔경영전략 분석 (프라자호텔 경영전략 경영형태와 호텔마케팅 전략...
호텔연회기획(연회 테마상품 개발 필요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