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대의 통신수단과 현대시대의 통신수단 비교 및 사례 총체적 조사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세종시대의 통신수단과 현대시대의 통신수단 비교 및 사례 총체적 조사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2.본론
(1)세종시대의 통신
(2)현대의 통신기술
(3)봉화와 휴대폰의 비교

3.느낀점

4.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동통신 서비스 지역 안에 있는 사람이 휴대폰으로 전화를 하면 먼저 관할 기지국에 무선으로 연결이 되고, 그 지역을 벗어나면 다음 기지국으로 자동적으로 바뀌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기지국이 바뀌는 시간이 아주 짧기 때문에 사용자는 변화를 거의 느낄 수 없다. 즉 이동통신 서비스 지역 안에는 많은 수의 무선 존이 있고, 무선 존마다 무선 기지국이 있어 기지국과 휴대폰 사이에서는 무선으로 접속된다. 또 일반가입자와 접속할 때는 일단 기지국과 무선으로 접속한 뒤 다시 유선을 통해 제어국·교환국 등을 거쳐 통화가 이루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요즘은 이 GPS기능이 휴대폰안으로 들어가는 추세이다.
(3)봉화와 휴대폰의 비교
(봉화대)
(기지국)
봉화와 휴대폰의 자료를 찾으면서 정말 흥미를 느꼈다. 너무나도 다를 것 같지만 비슷한 것들을 많이 찾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봉화대를 비교하자면 휴대폰의 기지국과 같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불이나 연기는 오늘날의 전파와 같다. 불이나 연기를 내는 것이 사람이 라면 휴대폰의 전파를 쏘는 것은 전기라 할 수 있다. 봉화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봉화대, 불과 연기, 사람 과 휴대폰 통신에 필요한 기지국, 전파, 전기와 정확히 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을 보면 휴대폰의 기본 원리는 봉화와 비슷 아니 방법과 기술의 차이지 원천원리는 같다. 휴대폰 기술을 우리나라 고유의 기술이라 특허소송을 해도 될 듯 싶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대신 봉화는 봉화대와 봉화대끼리 1대1로 송수신하면서 전달하지만 휴대폰은 여러기지국이 둘러싸여 1대 다수로 송수신한다는 것이다. 물론 그 신뢰도와 정확성을 따지고 본다면 단연 휴대폰기술이 손을 들것이다. 하지만 만약 전기가 없다면 그 상황은 역전됐을 것이리라... 단순히 생각하면 여러 기지국은 봉화의 단점을 보안하기 위해 좁은 면적에 높게 쌓아 품질을 높힌 것으로 봉화대를 많이 세운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3.느낀점
실록으로 수업을 진행하면서 간접적으로나마 직접 그 날로 돌아가서 시대를 느낄 수 있어서 참 뜻깊은 시간이였고 이번 레포트를 쓰면서 봉화대의 우수성과 휴대폰과의 유사성을 발견해 좋은 시간이 되었습니다.
시간이 지나도 기지국을 보면 봉화대와 영상이 겹칠 것 같다는 재밋는 상상도 할 수 있었구요.. 수고 하셨습니다.
4.참고문헌
세종대왕의 국가경영-김영수
http://www.goheung.go.kr/sub_a/7-2.html
네이버 백과사전

키워드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4.07
  • 저작시기201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41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