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메이지유신 개요
2. 메이지유신 내용
3. 청일전쟁(1894-1895)
4. 러일전쟁(1904-1905)
5. 만주사변(1931)
6. 중일전쟁(1937)
7. 제2차세계대전과 일본 - 전체주의 국가
8. 태평양전쟁의 발발
9. 일본의 패망
10. 참고문헌
2. 메이지유신 내용
3. 청일전쟁(1894-1895)
4. 러일전쟁(1904-1905)
5. 만주사변(1931)
6. 중일전쟁(1937)
7. 제2차세계대전과 일본 - 전체주의 국가
8. 태평양전쟁의 발발
9. 일본의 패망
10. 참고문헌
본문내용
었다. 김희영, [이야기 일본사:야마토 시대부터 전후 일본까지], 청아출판사, 2006. 473p-474p
8. 태평양전쟁의 발발
중국과의 전쟁이 장기화됨에 따라 극심한 물자부족에 봉착한 일본정부는 독일·이탈리아와 3국동맹을 체결한 것을 기회로 북부 인도차이나에 진격하여 중국에의 물자수송을 방지함과 동시에 남방진격을 위한 근거지를 마련하려 하였다. 그러나 남방진격은 이 지역에 식민지를 소유하고 있는 미국·영국·네덜란드·프랑스를 적으로 돌리는 것이었다. 중국과의 전쟁에 지친 일본정부와 군부는 전면전을 각오하고 남방을 겨냥하였다.
일찍부터 일본의 중국침략을 비난해 오던 미국은 일본의 3국 군사동맹 체결과 인도차이나 침공에 흥분했다. 미국은 일본에의 석유수출을 방지하기 위해 미일통상조약을 파기하고 일본과 적대관계에 있음을 분명히 했다.
1941년 12월 8일 일본 전투기들이 진주만을 급습하면서 태평양 전쟁은 발발한다. (일본은 청일전쟁, 러일전쟁에서도 기습공격으로 싸움을 시작했는데 태평양 전쟁도 기습으로 싸움을 시작했다.) 일본은 이 전쟁을 대동아전쟁이라고 불렀다. 3국 동맹의 약속에 따라 독일과 이탈리아도 미국과 전쟁상태에 들어갔다. 이로써 세계는 미국·영국·프랑스·소련의 연합국과 독일·이탈리아·일본의 추축국 둘로 갈라져 전면적으로 대결하게 된다.
태평양전쟁 발발 후 일본군은 각지에서 거침없는 진격을 계속하여 싱가포르·필리핀을 점령한 데 이어 남태평양까지 점령지역을 확대해 나갔다. 연전연승 파죽지세로 공격을 계속한 일본군은 전승에 들뜬 나머지 작전의 범위를 지나치게 확대함으로써 고립상태에 빠지게 된다.
1942년 6월 5일 미드웨이의 해전에서 미군이 일본군에게 치명타를 가함으로써 전세가 연전되기 시작했다. 미국의 장거리폭격기는 사이판섬을 기지로 도쿄를 비롯한 일본 국내 각지에 대하여 폭격을 퍼부어댔다.
1945년 4월말에는 독일군의 보호를 받던 무솔리니가 이탈리아 유격대에게 체포되었다. 5월1일에는 소련군이 독일 베를린에 입성했다. 히틀러는 소련군의 입성하기 전날 자살했다고 전해진다. 5월 7일에 이르러 독일군은 연합국에 무조건 항복함으로써 유럽에서의 전쟁은 끝이났다. [위의책], 478p-483p
9. 일본의 패망
태평양에서의 일본의 패망은 이보다 조금 늦었다. 1945년 6월 초 일본은 최고 전쟁지도회의에서 미군에 마지막 타격을 가한다면 미국정부로서도 무조건 항복요구는 철회할지 모른다는 기대 아래 본토결전의 준비를 결정하였다. 그러나 1945년 7월 미국의 트루만대통령과 영국의 처칠수상, 소련의 스탈린은 포츠담에서 회담을 갖고 일본에 대하여 무조건항복을 권고하였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도 일본측은 패배를 인정할 수 없다며 강경한 태도를 보였다. 결국 전쟁은 미국의 군사행동에 의해 종결되었다.
미국은 1945년 8월 6일 히로시마에 원자탄을 투하하고 9일에는 나가사키에 투하하였다. 마침내 1945년 8월 15일 일본은 연합국에게 무조건항복함으로써 만 5년간 계속된 제2차 세계대전에 종지부를 찍었다.
그해 9월 2일 도쿄만에 정박중인 미주리호 함상에서 정식으로 항복조인식이 거행되었다. 제국주의 일본, 군국주의 일본은 멸망하고 일본군 점령하에 있던 아시아의 각 민족은 해방의 기쁨을 만끽하게 되었다. [위의책], 483p-484p
10. 참고문헌
구태훈, [일본역사 탐구], 태학사, 2002. p345~351
김운태, [일본제국주의의 한국통치], 박영사, 1998. pp122-154
김희영, [이야기 일본사:야마토 시대부터 전후 일본까지], 청아출판사, 2006.
한상일, [아시아 연대와 일본 제국주의], 오름, 2002. pp99-110, pp124-149
8. 태평양전쟁의 발발
중국과의 전쟁이 장기화됨에 따라 극심한 물자부족에 봉착한 일본정부는 독일·이탈리아와 3국동맹을 체결한 것을 기회로 북부 인도차이나에 진격하여 중국에의 물자수송을 방지함과 동시에 남방진격을 위한 근거지를 마련하려 하였다. 그러나 남방진격은 이 지역에 식민지를 소유하고 있는 미국·영국·네덜란드·프랑스를 적으로 돌리는 것이었다. 중국과의 전쟁에 지친 일본정부와 군부는 전면전을 각오하고 남방을 겨냥하였다.
일찍부터 일본의 중국침략을 비난해 오던 미국은 일본의 3국 군사동맹 체결과 인도차이나 침공에 흥분했다. 미국은 일본에의 석유수출을 방지하기 위해 미일통상조약을 파기하고 일본과 적대관계에 있음을 분명히 했다.
1941년 12월 8일 일본 전투기들이 진주만을 급습하면서 태평양 전쟁은 발발한다. (일본은 청일전쟁, 러일전쟁에서도 기습공격으로 싸움을 시작했는데 태평양 전쟁도 기습으로 싸움을 시작했다.) 일본은 이 전쟁을 대동아전쟁이라고 불렀다. 3국 동맹의 약속에 따라 독일과 이탈리아도 미국과 전쟁상태에 들어갔다. 이로써 세계는 미국·영국·프랑스·소련의 연합국과 독일·이탈리아·일본의 추축국 둘로 갈라져 전면적으로 대결하게 된다.
태평양전쟁 발발 후 일본군은 각지에서 거침없는 진격을 계속하여 싱가포르·필리핀을 점령한 데 이어 남태평양까지 점령지역을 확대해 나갔다. 연전연승 파죽지세로 공격을 계속한 일본군은 전승에 들뜬 나머지 작전의 범위를 지나치게 확대함으로써 고립상태에 빠지게 된다.
1942년 6월 5일 미드웨이의 해전에서 미군이 일본군에게 치명타를 가함으로써 전세가 연전되기 시작했다. 미국의 장거리폭격기는 사이판섬을 기지로 도쿄를 비롯한 일본 국내 각지에 대하여 폭격을 퍼부어댔다.
1945년 4월말에는 독일군의 보호를 받던 무솔리니가 이탈리아 유격대에게 체포되었다. 5월1일에는 소련군이 독일 베를린에 입성했다. 히틀러는 소련군의 입성하기 전날 자살했다고 전해진다. 5월 7일에 이르러 독일군은 연합국에 무조건 항복함으로써 유럽에서의 전쟁은 끝이났다. [위의책], 478p-483p
9. 일본의 패망
태평양에서의 일본의 패망은 이보다 조금 늦었다. 1945년 6월 초 일본은 최고 전쟁지도회의에서 미군에 마지막 타격을 가한다면 미국정부로서도 무조건 항복요구는 철회할지 모른다는 기대 아래 본토결전의 준비를 결정하였다. 그러나 1945년 7월 미국의 트루만대통령과 영국의 처칠수상, 소련의 스탈린은 포츠담에서 회담을 갖고 일본에 대하여 무조건항복을 권고하였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도 일본측은 패배를 인정할 수 없다며 강경한 태도를 보였다. 결국 전쟁은 미국의 군사행동에 의해 종결되었다.
미국은 1945년 8월 6일 히로시마에 원자탄을 투하하고 9일에는 나가사키에 투하하였다. 마침내 1945년 8월 15일 일본은 연합국에게 무조건항복함으로써 만 5년간 계속된 제2차 세계대전에 종지부를 찍었다.
그해 9월 2일 도쿄만에 정박중인 미주리호 함상에서 정식으로 항복조인식이 거행되었다. 제국주의 일본, 군국주의 일본은 멸망하고 일본군 점령하에 있던 아시아의 각 민족은 해방의 기쁨을 만끽하게 되었다. [위의책], 483p-484p
10. 참고문헌
구태훈, [일본역사 탐구], 태학사, 2002. p345~351
김운태, [일본제국주의의 한국통치], 박영사, 1998. pp122-154
김희영, [이야기 일본사:야마토 시대부터 전후 일본까지], 청아출판사, 2006.
한상일, [아시아 연대와 일본 제국주의], 오름, 2002. pp99-110, pp124-149
추천자료
- 통일 문제에 대한 남북한 간의 기본적 인식과 절차, 방법 등의 차이
- 토지를 읽고
- 토지를 읽고
- 을사조약은 왜 무효인가 - 한국근현대와 제국주의 -
- 한반도는 왜 일본에 강점되었을까요?(20세기 우리역사)(강만길) 일본침략의 이유
- 신해혁명과 손문의 일생
- 이인직의 '혈의 누' - 근대의식및 친일의식 연구
- 일제강점기와 항일독립운동에 관한 고찰
- ‘일본 단일민족신화의 기원’을 읽고
- 아태지역(아시아태평양지역)의 범위, 구조, 아태지역(아시아태평양지역)의 무역자유화, 현황,...
- 대한민국의 동북아 국제관계 속 역사와 그 변천과정
- 6)사회-1. 총과 펜을 들어 싸운 조상들 - 을사조약의 체결과정과 우리민족의 항거 알아보기
- 제 1차 세계대전과 다이쇼 데모크라시
- 20세기 초에서 한국춤과 주체(몸)의 관계 - 철학 문화콘텐츠를 말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