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제강점기
●배경
●일제 통치의 시대별 전개
●독립운동의 전개
●전반적인 영향
●배경
●일제 통치의 시대별 전개
●독립운동의 전개
●전반적인 영향
본문내용
한다. 그러나 일본군이 중국을 침공함과 함께 임시정부는 상하이를 탈출해야 하는 상황에 이르러 난징과 창사를 거쳐 1940년에는 충칭(重慶)으로 그 본거지를 옮기게 된다. 충칭에서 국민당과 미국의 도움을 얻어 광복군 총사령부를 창설하고, 제2차 세계 대전이 태평양 전선에서 확대된 1941년 12월 9일에는 연합군에 가담해 일본에 대해 선전 포고를 발표하지만, 본국 탈환 작전의 준비 중에 일본의 항복을 맞이하게 된다.
8. 한일 무장투쟁과 광복
일제가 1931년 9월 만주를 침략하여 그해말까지 전(全)만주를 점령하자, 만주에 있던 조선인들은 즉각 무장을 하고 일본군에 맞서 싸웠다. 먼저 양세봉(梁世鳳)· 이청천(李靑天) 등 민족주의자들이 이끌었던 조선 혁명군과 한국 독립군은 중국인들과 손을 잡고 한중연합작전을 전개해 치열하게 저항했으나, 일제의 집중적인 공격을 받아 차츰 만리장성 이남의 중국으로 후퇴하고 말았다. 한편 사회주의자들은 1932년 봄에 조선인이 많이 살고 있던 동만주를 중심으로 여러 지역에서 유격대를 결성하고 게릴라 활동등 전개해 반일 투쟁에 나섰다.
중국 관내에서는 1937년 중일전쟁이 일어나자, 김원봉(金元鳳)·윤세주(尹世胄)·한빈(韓斌)·김학무(金學武) 등 130여 명이 중국 국민당의 도움을 받아 1938년 10월 조선의용대를 창설했다. 조선 의용대는 중국군을 도와 일본군 포로 심문 대적 심리전, 적후방에서 벌이는 첩보 활동 및 선무공작등에 종사했다. 조선 의용대의 주력 부대는 1941년 봄에 황허 강(黃河)을 건너 조선인이 많이 사는 화베이(華北)지방으로 활동 무대를 옮겼다. 의용대원들은 이곳에서 팔로군과 협력하여 호가장 전투, 반소탕전 등 여러 전투에 참가하여 크게 활약했다.
한편, 중일 전쟁 발발 후 일본군에 쫓겨 자싱·항저우·창사 등지로 전전하면서 시련을 겪어야 했던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1940년 충칭에 안착했는데, 그해 9월 간부 12명으로 한국 광복군을 창설했다. 광복군은 1942년 화베이로 가지 않은 조선 의용대의 잔류 부대를 흡수하여 대열을 늘리는 한편, 1943년 8월 광복군 8명을 미얀마 전선에 파견해 영국군을 도와 태평양 전쟁에 참전했다.
1945년 8월 15일, 일본의 패전으로 광복이 찾아옴으로서 한국의 모든 독립 운동도 막을 내리게 되었다.
●전반적인 영향
일제의 무단 식민 통치는 한국의 정치·경제·문화 전반에 막대한 영향을 주었다.
☞여성의 지위 하락
일본은 전통적으로 여성의 지위가 낮았고, 그 영향으로 한국 여성 또한 지위가 그 이전보다도 하락하였다.
☞민족 말살과 민족성 변질
"내선일체(內鮮一體)"를 목표로 역사를 왜곡하였으며, 일본의 풍습과 문화를 이식하였다. 일본과 친일 학자들을 앞세운 일선동조론이 여기에 이용되었다.
☞식민사관으로 전반적인 한국의 역사 왜곡.
☞유적 파괴와 도굴 방치.
☞일제의 맹수 사냥으로 인해 한반도의 시베리아 호랑이와 아무르 표범 멸종 위기.
☞경제 수탈로 인한 민생 피폐
한국인들은 "죽음을 담보한 노동"에 시달렸고, 빈곤한 생활을 벗어나지 못했다.
8. 한일 무장투쟁과 광복
일제가 1931년 9월 만주를 침략하여 그해말까지 전(全)만주를 점령하자, 만주에 있던 조선인들은 즉각 무장을 하고 일본군에 맞서 싸웠다. 먼저 양세봉(梁世鳳)· 이청천(李靑天) 등 민족주의자들이 이끌었던 조선 혁명군과 한국 독립군은 중국인들과 손을 잡고 한중연합작전을 전개해 치열하게 저항했으나, 일제의 집중적인 공격을 받아 차츰 만리장성 이남의 중국으로 후퇴하고 말았다. 한편 사회주의자들은 1932년 봄에 조선인이 많이 살고 있던 동만주를 중심으로 여러 지역에서 유격대를 결성하고 게릴라 활동등 전개해 반일 투쟁에 나섰다.
중국 관내에서는 1937년 중일전쟁이 일어나자, 김원봉(金元鳳)·윤세주(尹世胄)·한빈(韓斌)·김학무(金學武) 등 130여 명이 중국 국민당의 도움을 받아 1938년 10월 조선의용대를 창설했다. 조선 의용대는 중국군을 도와 일본군 포로 심문 대적 심리전, 적후방에서 벌이는 첩보 활동 및 선무공작등에 종사했다. 조선 의용대의 주력 부대는 1941년 봄에 황허 강(黃河)을 건너 조선인이 많이 사는 화베이(華北)지방으로 활동 무대를 옮겼다. 의용대원들은 이곳에서 팔로군과 협력하여 호가장 전투, 반소탕전 등 여러 전투에 참가하여 크게 활약했다.
한편, 중일 전쟁 발발 후 일본군에 쫓겨 자싱·항저우·창사 등지로 전전하면서 시련을 겪어야 했던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1940년 충칭에 안착했는데, 그해 9월 간부 12명으로 한국 광복군을 창설했다. 광복군은 1942년 화베이로 가지 않은 조선 의용대의 잔류 부대를 흡수하여 대열을 늘리는 한편, 1943년 8월 광복군 8명을 미얀마 전선에 파견해 영국군을 도와 태평양 전쟁에 참전했다.
1945년 8월 15일, 일본의 패전으로 광복이 찾아옴으로서 한국의 모든 독립 운동도 막을 내리게 되었다.
●전반적인 영향
일제의 무단 식민 통치는 한국의 정치·경제·문화 전반에 막대한 영향을 주었다.
☞여성의 지위 하락
일본은 전통적으로 여성의 지위가 낮았고, 그 영향으로 한국 여성 또한 지위가 그 이전보다도 하락하였다.
☞민족 말살과 민족성 변질
"내선일체(內鮮一體)"를 목표로 역사를 왜곡하였으며, 일본의 풍습과 문화를 이식하였다. 일본과 친일 학자들을 앞세운 일선동조론이 여기에 이용되었다.
☞식민사관으로 전반적인 한국의 역사 왜곡.
☞유적 파괴와 도굴 방치.
☞일제의 맹수 사냥으로 인해 한반도의 시베리아 호랑이와 아무르 표범 멸종 위기.
☞경제 수탈로 인한 민생 피폐
한국인들은 "죽음을 담보한 노동"에 시달렸고, 빈곤한 생활을 벗어나지 못했다.
추천자료
일제강점기의 민족해방운동가에 대한 고찰
한국사의 이해, 일제강점기
현대문학사 - 희곡(일제강점기 - 1990년대)
일제강점기때의 항일운동
일제강점기
[민족주의][한국민족주의][민족주의사상]민족주의의 개념, 한국 민족주의, 동학민족주의, 일...
일제강점기 이전의 지역사회복지
일제강점기의 지역사회복지
[한국문학][문학][고전문학][현대문학]한국(한국문학) 고전문학, 한국(한국문학) 근대문학, ...
일제강점기 만주에서 활약한 독립군에 대해
[한국문화사] <쌀> 쌀과 우리생활 - 벼의 기원과 전래, 농기구 발전과 소사용, 이앙법, 일제...
일제강점기 신민회가 설립한 신흥무관학교의 설립배경과 무관학교의 사범교육에 관하여 알아보자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연행 실태연구
운수좋은날_현진건_독후감_반어적 표현을 통한 일제강점기의 비극적인 삶 묘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