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도 상당히 \'과학적\'인 방법을 사용했다. 이것은 무엇을 이야기하는가? 결국 학문이라는 것은 사회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는 것이다. 과연 사회로부터 완전 자유로운 학문이 존재할 수 있을까.
사실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이야기들은 이보다 훨씬 깊고도 넓으나, 가장 중요하다 생각하는 것들만 간단히 추려보았다. 아무래도 내가 일본 역사나 문화에 익숙하지 않다보니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부분이 많으리라 생각한다. 번역 때문인지 원문이 그런 건지 가독성이 좋지 않았던 것도 한 몫 했다. 뭐 번역은 괜찮은 편이었으니 역자를 욕하고 싶은 생각은 없다. 나의 부족한 이해로 인해 제대로 소개하지 못한 내용이 너무 많아 아쉽다. 관심 생기는 분은 직접 읽어 보시길 바란다. 최소한 나보다는 많은 걸 건질 수 있지 않을까. :)
사실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이야기들은 이보다 훨씬 깊고도 넓으나, 가장 중요하다 생각하는 것들만 간단히 추려보았다. 아무래도 내가 일본 역사나 문화에 익숙하지 않다보니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부분이 많으리라 생각한다. 번역 때문인지 원문이 그런 건지 가독성이 좋지 않았던 것도 한 몫 했다. 뭐 번역은 괜찮은 편이었으니 역자를 욕하고 싶은 생각은 없다. 나의 부족한 이해로 인해 제대로 소개하지 못한 내용이 너무 많아 아쉽다. 관심 생기는 분은 직접 읽어 보시길 바란다. 최소한 나보다는 많은 걸 건질 수 있지 않을까. :)
추천자료
고구려의 성립에 대한 고찰
[인문과학] 일제의 식민주의 역사학
“닌텐도 - 그 신화적인 기업변신 전략“을 읽고
고전 소설의 형성 배경
21세기 우리 민족 이야기를 읽고
역사서란 무엇인가?
한중일 삼국의 전통술과 술문화
[독후감]`비명을 찾아서`에 나타난 민족문제 (비명을 찾아서 를 읽고)
공자 - 인간과 신화(3.유교) 를 읽고
싱가포르의 한류
[독후감] 신동흔의 <살아있는 우리신화>를 읽고
역사교육_역사인식,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sw...
[유럽현대사] 유럽연합(EU)의 배경과 현재, 과연 연합은 가능한 모델인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