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심보감 자신에게 철저히 , 자기관리의 방법을 보고 분석, 배울점, 퇴계이황의 인물탐구, 역사, 특징, 사례, 관리, 역할, 기법, 시사점, 나의견해, 조사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명심보감 자신에게 철저히 , 자기관리의 방법을 보고 분석, 배울점, 퇴계이황의 인물탐구, 역사, 특징, 사례, 관리, 역할, 기법, 시사점, 나의견해, 조사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여는 말 ------------------------ 2

Ⅱ. 강 의 내 용 ------------------- 3~7
 1. 핵심강의 [자신에게 철저히 - 자기관리의 방법]
 2. 오늘의 고사성어 [ 自勝者强(자승자강) ]
 3. 인물탐구 이야기 속으로 [퇴계 이황]

Ⅲ. 강 의 내 용 비 평 ------------------- 7~13
 1. 핵심강의 비평 [자신에게 철저히 - 자기관리의 방법]
 2. 오늘의 고사성어 비평[ 自勝者强(자승자강)]
 3. 인물탐구 이야기 속으로 비평 [퇴계 이황]

Ⅳ. 과제를 하면서 느낀 점 --------------- 13~14

본문내용

도 한다. 빈둥대면서 좀비처럼 지내는 사람이나 즐거움만 찾고 시간이 빨리 안 가는 것에 대해 한탄하는 사람 등의 그 시간동안 허비하게 보내는 사람도 있다.
시간이 지나면 똑같은 조건을 어떻게 만들어 가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다.
결국 내 생각의 알맹이를 어떻게 만드느냐에 따라 인생이 달라진다.
본문 다시 보기
景行錄에 云,
責人者는 不全交요
自恕者는 不改過니라
남을 꾸짖는 사람은 온전히 사귈 수 없다.
스스로를 용서하는 사람은 자기의 허물을 고칠 수 없다.
<단어연구>
책責: 원망하다 질책하다 꾸짖다는 의미. 책임(責任), 책무(責務)
자者: ~것 ~사람. 주자(走者) 환자(患者) 약자(弱子)
전全: 온전하다는 의미. 전국(全國) 전신(全身) 전체(全體)
교交: 사귀다,바꾸다라는 뜻. 교대(交代) 교통(交通) 교우(交友)
서恕: 용서하다라는 뜻. 충서(忠恕) 용서(容恕)
개改: 고치다라는 뜻. 개량(改良) 회개(悔改) 개선(改善)
과過: 지나다. 허물. 잘못되다.라는 뜻. 과실(過失) 사과(謝過)
책인자-다른사람의 잘못을 찾아 지적하는 사람.
자서자-자신의 잘못을 스스로 합리화하는 사람
옛날 선인들은 자기 자신에 대해서는 매우 철저하고 남에게는 매우 관대했다.
자기 자신이 인격적으로 올바로 서기 위해 각고의 노력을 했다.
<예화 2>
시계공인 아버지가 아들이 성인이 되었을 때 기념으로 선물을 줌.
시계공-아들에게 매우 공들여 만든 시계를 성인이 되었을 때 줌.
그 시계는 이상하게도 초침이 금, 분침이 은, 시침이 동으로 제작되었다.
그 이유는 제일 중요한 것은 시간의 최소단위 인 초다
초바늘이 없다면 분이 없고 분이 없으면 시간이 없는 것이니
‘일 초 일 초를 귀하게 여기고 아껴쓰라. 이 일초가 모여 너의 인생을 이루는 것이다.’는 아버지의 귀한 가르침이었다.
일촌광음 불가경. 단 일초라도 가볍게 여기지 말자. 일순간 일순간을 소홀히 하는 사람이 게으름 피운 것은 1초고 5초고 10분이고 1시간이었을 뿐이었으나, 나중에 그가 겪게 되는 것은 엄청난 차이가 나타난다. 흘러가는 시간은 바람과 같다. 사람들은 누구나 세월이 지나가고 옛일을 회상하며 ‘그 때 좀더 잘할걸..’‘그 때 좀더 열심히 공부했으면’ 하는 생각을 많이 한다.
봄에 심어 여름의 태풍과 홍수를 견디어 가을에 열매를 맺듯이 자기의 시간을 소중히 여겨 최선을 다했을 때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자신의 시간을 소중히 여기고 최선을 다하는 것이 인생을 준비하는 최우선의 길이다.
2.오늘의 고사성어
自 勝 者 强
승勝: 이기다. 낫다
강强: 굳세다. 강하다
즉, 자기자신을 이기는 사람은 가장 강한 사람이다. 라는 뜻.
진정한 강한 사람은 누구일까? 노자 33장에 나오듯이 다른 사람을 이기는 것은 순간이다. 계속 다른 상대가 오기 때문이다. 마지막까지 싸우는 사람은 자기 자신이다. 모든 상대가 다 사라지고 난 후 에도 자기 자신이 남기 때문이다.
다른 사람하고는 실력대결을 하지만 자기 자신 과는 스스로 정신력과의 싸움이다. 소크라테스가 “너자신을 알라” 하고 했고, 또 중국의 현인이 산속에 도적은 잡아서 깨드리기 쉬워도 내 마음속에 적을 잡아 다스리기는 어렵다 라고 했다. 진짜 적은 바깥에 있는 것이 아니라 내 안에 있는 것이다. 자신과의 만남을 통해 자기를 어떻게 조절할 수 있는가?에 대해 생각하며 살자!
요즘 청소년은 매일 여기 저기 학원에 끌려 다니면서 생활한다.
이렇게 끌려 다니는 나는 왜 계속 끌려 다녀야 하는가? 하고 생각을 하는 경우가 있다.
내가 하는 것이 나 자신을 위해 어떤 의미가 있는가 하는 것을 생각하는 사람이 되자!
목마른 사슴이 물을 만나듯 자기 자신과의 만남을 통해 스스로를 통찰하고 자성하며 발전해 나가는 사람이 되어야 겠다. 인디언들을 어느 정도 자란 후 숲속에 혼자 지내는 시간을 의무적으로 갖게 한다. 그걸 통해 자기 자신을 돌아보게 한다.
3. 인물탐구
퇴계이황은
조선 중기 때의 이자 사상자로
1501 출생
1542 42세 충청도 암행어사가됨
1543 43세 대사성
1548 48세 단양군수가됨
1566 56세 공조판서
1570 70세 세상을 떠남 (영의정으로 추증됨)
대표작 : 저서 \'답기명언서논심성정도\', \'답기명언서개치지격물설\'
퇴계 이황 조선 중기 (선조) 때 유학자(성리학자)이며 중국 성리학을 한층 더 발전시켜 우리 성리학이 중국을 능가 하게 할수 있었다. 이러한 이황의 학문은 임진왜란 이후에 일본 근세유학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퇴계 이황은 자기자신의 뜻과 정치이념등과 맞지 않으면 언제나 물러서서 고향에 와서 소탈하게 사는 사람이었다. 죽을 때 자기 비석을 세우지 말라하고 자기 집의 마당에 넘어온 밤을 다시 이웃에 던져줄 정도로 정직 결백한 생활을 하였다. 이렇듯 그는 작은 일에도 스스로를 조절할 줄 아는 사람이었다.
다시 본문 보기
景行錄에 云,
責人者는 不全交요
自恕者는 不改過니라
남을 꾸짖는 사람은 온전히 사귈 수 없다.
스스로를 용서하는 사람은 자기의 허물을 고칠 수 없다.
죽지 못해 먹고살려고 일하는 설계사와 어차피 하는 일이니까 잘하려고 노력한다는 설계사와 본인이 설계한 집에서 사람들이 편하게 사는 모습을 보며 긍지와 보람을 느끼고 설계일이 자신의 천직이라고 생각하며 즐기는 설계사 등 3명의 설계사들을 통해 진정 어떤 사람이 성공할 사람이며 행복한 사람일까?
작은 일 작은 시간에도 최선을 다하며 현실을 즐기는 사람이 되자! 』
Ⅲ. 강의 비평
1. 핵심강의 비평
핵심강의부분을 시작으로 강의를 전반적으로 훑어보며 비평을 해보겠다. 처음 강의를 여는 부분에 있어서 아침을 시작하는 여러 모습들을 예로 들었는데 실제로 본인의 청소년 시절 아침 풍경 또한 스스로 일어나서 아침을 시작하고 전날 준비물을 챙기기 보다는 먼저 일어나신 부모님의 호통소리와 함께 꾸중을 듣다시피 하여 일어나고 또한 전날 준비물을 미리 챙기기 보다는 아침에 허겁지겁 챙겨서 나가는 매우 정신없는 상황이었다. 그것은 비단 나의 모습뿐만 아니라 학생들 대부분의 일상이었다. 이렇듯 학생들이 쉽게 공감할 수 있는 소재로 강의를 시작한 것이 주의를 끌기에 매우 적합했다고 본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2.07.11
  • 저작시기2012.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52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