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러시아의 기후
3. 러시아인들의 옷
3. 러시아인들의 음식
4. 러시아인들의 주거생활
5. 결론
2. 러시아의 기후
3. 러시아인들의 옷
3. 러시아인들의 음식
4. 러시아인들의 주거생활
5. 결론
본문내용
위는 한 풀 꺾이게 된다. 이렇게 더위의 기세가 좀 꺾여 안개가 몰려오기 시작하는 8월말을 러시아인들은 가을의 시작이라고 한다. 그 후의 10월초를 러시아인들이 자랑하는 황금가을이라 하는데 이때는 단풍이 황금색으로 들어 장관의 모습을 보인다. 이 짧은 계절이 지나가면 다시 기나긴 러시아의 겨울이 시작되게 된다.
3. 러시아인들의 옷
현대 사회는 워낙 세계화되고 상업화되어 대부분의 옷 브랜드들은 전 세계에서 찾아볼 수 있다. 비록 오랜 시간 동안 사회주의 국가이긴 했지만 러시아도 여긴 예외는 아니어서 그들과 우리나라와의 평상시 의복에는 큰 차이가 없다. 다만 그들과 우리나라가 커다란 차이를 보이는 계절이 있는데 그 것이 겨울이다. 위의 기후에서 볼 수 있듯이 러시아의 기후는 대부분 한랭하다. 따라서 러시아의 의복이 방한에 그 초점이 맞춰진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것일 수 밖에 없다.
러시아에서는 두꺼운 코트는 곡 필요한 것이다. 거의 모든 여성들은 밍크코트를 소유하고 있는데 이는 사치가 아니라 필요하기 때문이다. 영하 20도가 내려가는 날씨에서 밍크코트는 생활필수품이 된다. 따라서 러시아의 남편들은 부인에게 밍크코트를 사주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하고 만약 사주지 않았을 때는 평생 부인에게 바가지 긁히게 된다. 러시아에서 판매하는 밍크코트는 두 종류가 있는데 유럽산과 러시아산이 그것이다. 이 중 유럽산은 디자인이 뛰어나고 비싼 대신 보온성이 떨어져 실질적으로 러시아의 추위를 견디기 위해서는 러시아제의 목과 무릎을 덮는 두툼한 러시아제가 훨씬 더 유용하다고 한다.
러시아의 혹독한 겨울을 견디기 위해 두툼한 외투만 요구되어지는 것은 아니다. 외투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바로 모자이다. 보통 러시아인 하면 떠올리는 털모자 말이다. 얼핏 생각하면 모자가 큰 역할을 못하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지만 실제로는 그 효과가 매우 크다고 한다.
러시아 겨울을 나기 위한 또 하나의 필수품은 바로 신발인데 이 신발은 뛰어난 내구성을 필요로 한다고 한다. 질퍽거리는 눈밭에서 계속해서 돌아다니려면 아무래도 튼튼한 신발이 필요할 것이다. 러시아 사람들은 주로 독일이나 핀란드산을 선호한다. 이탈리아나 스페인과 같은 남유럽산의 제품들은 디자인은 뛰어나지만 쉽게 망가져 그리 큰 인기를 끌지 못한다. 러시아 사람들은 디자인보다는 실용성을 중요시하는 것 같다. 이런 점은 이들이 출근하는 모습을 보면 알 수 있다. 그들은 양복에 넥타이를 맨 채로 그 위에 두툼한 점퍼를 입고 털신발을 신는다.
이러한 겨울옷은 회사에 들어서면 벗게 되는데 이러한 옷은 이런 겨울옷과 신발을 보관해주는 보관소에다 맡긴다. 거의 모든 공공기관이나 기업에는 이러한 보관소가 있는데 이러한 곳을 ‘가르제로브’라고 한다.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3. 러시아인들의 음식
러시아는 워낙 큰 나라고 풍토가 다양해 식재료들이 풍부하다. 그러나 워낙 기후가 춥고 농민들이 가난하고 봉건주의가 오랫동안 지속되어 음식문화가 그렇게 발달하지 못했다.
과거 가난한 농민들은 주로 빵, 수프 도는 죽을 먹었으며 하루에 두 끼만을 먹었다. 러시아의 빵은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신앙적 믿음이 강한 러시아 사람들은 ‘빵과 소금’ 을 중요하게 여겼으며 따라서 빵이 없는 러시아 식탁은 상상할 수 없는 것이었다. 특히 빵은 성찬식, 결혼식, 부활절 등 다양한 의식에서 쓰였는데 이때 마다 그 의식에 맞는 빵이 만들어져 이용되었다. 혁명전에는 빵 중에 주로 값싼 흑빵, 즉 호밀빵을 먹었는데 요즘에는 밀로 만든 하얀 빵의 수요도 급격하게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빵들 중에 러시아만의 특별한 빵이 있는데 이를 블리느이라고 한다. 이 블리느이는 납작한 모양으로 마치 핫케
3. 러시아인들의 옷
현대 사회는 워낙 세계화되고 상업화되어 대부분의 옷 브랜드들은 전 세계에서 찾아볼 수 있다. 비록 오랜 시간 동안 사회주의 국가이긴 했지만 러시아도 여긴 예외는 아니어서 그들과 우리나라와의 평상시 의복에는 큰 차이가 없다. 다만 그들과 우리나라가 커다란 차이를 보이는 계절이 있는데 그 것이 겨울이다. 위의 기후에서 볼 수 있듯이 러시아의 기후는 대부분 한랭하다. 따라서 러시아의 의복이 방한에 그 초점이 맞춰진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것일 수 밖에 없다.
러시아에서는 두꺼운 코트는 곡 필요한 것이다. 거의 모든 여성들은 밍크코트를 소유하고 있는데 이는 사치가 아니라 필요하기 때문이다. 영하 20도가 내려가는 날씨에서 밍크코트는 생활필수품이 된다. 따라서 러시아의 남편들은 부인에게 밍크코트를 사주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하고 만약 사주지 않았을 때는 평생 부인에게 바가지 긁히게 된다. 러시아에서 판매하는 밍크코트는 두 종류가 있는데 유럽산과 러시아산이 그것이다. 이 중 유럽산은 디자인이 뛰어나고 비싼 대신 보온성이 떨어져 실질적으로 러시아의 추위를 견디기 위해서는 러시아제의 목과 무릎을 덮는 두툼한 러시아제가 훨씬 더 유용하다고 한다.
러시아의 혹독한 겨울을 견디기 위해 두툼한 외투만 요구되어지는 것은 아니다. 외투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바로 모자이다. 보통 러시아인 하면 떠올리는 털모자 말이다. 얼핏 생각하면 모자가 큰 역할을 못하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지만 실제로는 그 효과가 매우 크다고 한다.
러시아 겨울을 나기 위한 또 하나의 필수품은 바로 신발인데 이 신발은 뛰어난 내구성을 필요로 한다고 한다. 질퍽거리는 눈밭에서 계속해서 돌아다니려면 아무래도 튼튼한 신발이 필요할 것이다. 러시아 사람들은 주로 독일이나 핀란드산을 선호한다. 이탈리아나 스페인과 같은 남유럽산의 제품들은 디자인은 뛰어나지만 쉽게 망가져 그리 큰 인기를 끌지 못한다. 러시아 사람들은 디자인보다는 실용성을 중요시하는 것 같다. 이런 점은 이들이 출근하는 모습을 보면 알 수 있다. 그들은 양복에 넥타이를 맨 채로 그 위에 두툼한 점퍼를 입고 털신발을 신는다.
이러한 겨울옷은 회사에 들어서면 벗게 되는데 이러한 옷은 이런 겨울옷과 신발을 보관해주는 보관소에다 맡긴다. 거의 모든 공공기관이나 기업에는 이러한 보관소가 있는데 이러한 곳을 ‘가르제로브’라고 한다.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3. 러시아인들의 음식
러시아는 워낙 큰 나라고 풍토가 다양해 식재료들이 풍부하다. 그러나 워낙 기후가 춥고 농민들이 가난하고 봉건주의가 오랫동안 지속되어 음식문화가 그렇게 발달하지 못했다.
과거 가난한 농민들은 주로 빵, 수프 도는 죽을 먹었으며 하루에 두 끼만을 먹었다. 러시아의 빵은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신앙적 믿음이 강한 러시아 사람들은 ‘빵과 소금’ 을 중요하게 여겼으며 따라서 빵이 없는 러시아 식탁은 상상할 수 없는 것이었다. 특히 빵은 성찬식, 결혼식, 부활절 등 다양한 의식에서 쓰였는데 이때 마다 그 의식에 맞는 빵이 만들어져 이용되었다. 혁명전에는 빵 중에 주로 값싼 흑빵, 즉 호밀빵을 먹었는데 요즘에는 밀로 만든 하얀 빵의 수요도 급격하게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빵들 중에 러시아만의 특별한 빵이 있는데 이를 블리느이라고 한다. 이 블리느이는 납작한 모양으로 마치 핫케
추천자료
[사회과학] 주거 환경의 변천
미래사회특징과 청소년 생활지도 방향
사생활의 비밀과 사생활 보호법!!!
노인의 주거환경에 따른 실태조사
선사시대의 집터의 종류
(노년학)주변의 노인 중에서 한 분을 선정하여 가정생활 및 사회생활을 관찰하여 노년기의 성...
[중국문화][중국 차문화][중국 술문화][중국 음식문화][중국 자전거문화][결혼문화][의복문화...
시설보호사업 및 공동생활가정사업
[중국문화][중국][중국전통문화][사대부문화][세속문화][청동기문화][주거문화][성문화]중국...
일본의문화와생활세계 12주
전통가구-조선시대 가구의 특징에 대한 조사
[한옥] 한옥의 종류, 구조 및 주요 특징
현대가족의 특징과 문제점 및 극복방안
교실에서 친구들과 놀지 못하고 교사만 따라다니고 교사의 도움 없이는 활동을 선택하지 못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