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기간 및 방법
Ⅱ. 문헌고찰
1. 정의
2.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원인
3. 병태생리
4. 주요 증상
5. 주요 합병증
6. 진단
7. 치료
Ⅲ.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참고문헌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기간 및 방법
Ⅱ. 문헌고찰
1. 정의
2.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원인
3. 병태생리
4. 주요 증상
5. 주요 합병증
6. 진단
7. 치료
Ⅲ.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참고문헌
본문내용
두려움이 없는 사람은 없다. 그렇다고 선뜻 병원을 찾아 폐 검사를 받아보는 것도 내키지 않게 된다.
그러나 폐암을 제외한 치명적인 폐 질환 중 우리나라를 포함해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질환 중 하나가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이다.
대한결핵협회에서 1997년~2006년까지 COPD 입원 환자 증가 추이를 조사한 결과 꾸준한 증가추세를 보이며 1997년 1.251명이였던 환자가 2006년 1.862명으로 611명이 늘었고 전체 49%가 증가한 것을 볼 수 있다.
본 간호연구 사례를 통하여 만성폐쇄성폐질환이란 병에 대해 알리고, 환자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간호문제들을 간호과정을 통해 해결함으로써 대상자의 치료를 돕고 합병증을 예방하여 병의 진행속도를 늦추고 상태를 호전시키고자 한다.
2. 연구기간 및 방법
본 사례연구는 2009년 4월 27일~5월 8일까지 서울시립동부병원 31병동에 입원중인 환자를 대상으로 환자와의 면담, 차트, 환자신체사정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Ⅱ. 문헌고찰
1. 정의
만성폐쇄성폐질환은 매우 느린 경과로 정상 기도나 폐포, 폐혈관을 손상시키며, 어느 정도의 폐손상이 진행될 때까지는 아무런 증상이 없다가 서서히 임상증상을 유발한다.
2.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원인
(1) 흡연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는 보통 노령이며 폐질환을 반복적으로 앓은 병력이 있으며, 보통 가슴이 답답하고 항상 피곤하다고 호소한다. 대부분의 만성폐쇄성폐질환이 있는 사람은 흡연을 하고 있고, 흡연은 만성폐쇄성폐질환의 발생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인이다. 담배 연기와 같이 기도를 자극하는 물질이 기도와 기관지를 반복적으로 자극하면, 기관지 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분비되는 기관지 점액의 분비가 증가함으로 기관지의 부분적 또는 전체적 폐쇄를 일으킨다. 기관지가 폐쇄되면 폐포는 확장되고 손상되어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능력이 손상 받게 된다. 폐쇄된 폐포는 세균이 쉽게 감염되는데,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게 세균이 감염되면 가스교환의 심각한 장애로 동맥혈 산소압이 급격히 감소하는 상황이 발생하며, 호흡부전에 의하여 동맥혈 이산화탄소압이 상승하면 이산화탄소 혼수가 발생할 수도 있다.
만성폐쇄성폐질환이 있는 환자는 기도 내 점막이 손상되어 있으므로, 감염으로 생성되는 점액이나 타액이 배출되지 않아 폐감염증이 잘 치료되지 않는다. 또한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는 호흡을 깊게 할 수 없는데, 이는 호흡을 깊이하면 폐포 내의 분비물이 잘 배출되는데, 호흡을 깊게 할 수 없어 폐포 내 분비물을 쉽게 배출할 수 없는 것이다
(2) 직업성 분진과 화학물질충분이 강하고 지속적인 노출이라면, 직업성 분진(예, 석탄분진)와 화학약품(증기, 자 극물질, 연기)도 흡연과 는 별도로 COPD를 일으킬 수 있다. 여기에 흡연을 하면 COPD의 위험이 더 커진다. 분진, 자극성 물질, 유기화학 분진, 그리고 감작원(sensitizing agents)등에 노출되면 기도 과민반응을 증가시키는데, 이는 특히 다른직업적인 노출, 흡연, 천식 등으로 이미 기도가 손상되면 더 심해진다.
(3) 유전
1-antitrypsin(AAT)은 폐포에서 단백질용해효소가 폐포 조직을 용해하는 것을 억제하는 효소로, AAT가 결핍이 되면 호중구와 대식세포에서 유리되는 단백질 용해효소가 폐포 조직을 용해하는 것을 억제할 수 없기 때문에 폐포가 파괴되어 만성 폐쇄성 폐질환이 발생한다
3. 병태생리
폐기종과 만성 기관지염은 보통 동시에 동반되어 나타난다
(1)폐기종
폐기종에서①폐포의 과팽창 ②폐포막 파괴 ③폐포모세혈관막의 파괴 ④좁아지고 뒤틀린 기도 ⑤폐탄성 소실의 구조적 변화를 볼수 있다. 폐기종은 흡연과 관련되어 폐상엽에서 주로 호발한다. 폐포내로 공기가 쉽게 유입되지만 호기 시에는 폐탄성의 저하로 공기가 밖으로 배출이 안되어 폐포 말단에 공기가 갇히게 되며 그 결과 술통형 흉곽이 형성되고 폐포와 모세혈관막의 파괴로 산소확산 장애가 오고 폐포환기를 증가시키려는 보상으로 빈호흡을 나타내며 폐기종 말기에는 저산소혈증이 나타난다.
(2) 만성기관지염
만성기관지염은 과도한 점액생성으로 인하여 1년에 적어도 3개월 이상 만성기침이 지속되는 상태를 말한다. 만성 기관지염의 병리적 변화는 ①기관과 기관지의 점액분비선 증식 ② 술잔세포증식 ③ 섬모 소실 ④ 만성 염증성 변화와 세기관지의 좁아짐 ⑤ 폐포 대식세포의 기능변화로 기관지 감염이 증가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기도 내경이 좁아지고 공기 흐름이 감소되고 염증 반응으로 혈관확장, 울혈 및 점막부종이 나타나고 점액선은 증식되며 기관지 조직 주변의 섬유화가 진행된다
폐기종
만성기관지염
발병시기
55세이상
45세경
체형
야윈형
뚱뚱함
호흡상태
내쉴 때 천명, 어께로 호흡
흡기시 - 입, 코 벌림
호기시 - 목혈관 부품
휴식시 - 호흡안정
객담
소량
과량의 화농성 객담
기침
기침횟수 적음
만성 기침
발병시 주증상
호흡곤란
기침
재발성 감염
거의 문제가 안됨
심각한 문제
심장
정상
확대
헤마토크릿
정상
상승
만성 저산소증
경증
종종 심하게 나타남
4. 주요 증상
1) 증상
(1) 기침보통 COPD 발생의 첫 번째 증상인 만성 기침은 처음에는 간헐적이지만, 나중에는 매일 나타나며 때로는 온종일 지속되기도 하지만 야간에만 있는 경우는 드물다.
(2) 객담 배출COPD 환자들에서는 흔히 기침 발작 후에 소량의 끈끈한 객담이 나오며, 호흡기 감염이 자주 발생하고 운동성 호흡곤란이 진행된다. 만성기관지염은 2년 연속으로 3개월이상 객담이 배출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3) 호흡곤란호흡곤란은 대부분의 환자들이 의사를 찾는 이유이며, 이 질환과 관련된 장애 및 불안증의 주된 원인이다. 호흡곤란은 지속적으로 진행하며 폐기능의 악화로 호흡곤란이 더욱 증가한다. 호흡곤란은 주관적 증상이므로 호흡곤란의 정도를 객관적으로 측정하도록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다.
4. 주요 합병증
(1) 폐성심
폐성심은 폐고혈압 때문에 심부전을 동반하기도 하고, 심부전 없이 우심비대가 발생하는것을 의미한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에서 폐고혈압은 폐포 저산소증에 대한 반응으로 폐혈관이 수축하기 때문에 발생하고 산증에서는 더욱
그러나 폐암을 제외한 치명적인 폐 질환 중 우리나라를 포함해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질환 중 하나가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이다.
대한결핵협회에서 1997년~2006년까지 COPD 입원 환자 증가 추이를 조사한 결과 꾸준한 증가추세를 보이며 1997년 1.251명이였던 환자가 2006년 1.862명으로 611명이 늘었고 전체 49%가 증가한 것을 볼 수 있다.
본 간호연구 사례를 통하여 만성폐쇄성폐질환이란 병에 대해 알리고, 환자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간호문제들을 간호과정을 통해 해결함으로써 대상자의 치료를 돕고 합병증을 예방하여 병의 진행속도를 늦추고 상태를 호전시키고자 한다.
2. 연구기간 및 방법
본 사례연구는 2009년 4월 27일~5월 8일까지 서울시립동부병원 31병동에 입원중인 환자를 대상으로 환자와의 면담, 차트, 환자신체사정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Ⅱ. 문헌고찰
1. 정의
만성폐쇄성폐질환은 매우 느린 경과로 정상 기도나 폐포, 폐혈관을 손상시키며, 어느 정도의 폐손상이 진행될 때까지는 아무런 증상이 없다가 서서히 임상증상을 유발한다.
2.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원인
(1) 흡연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는 보통 노령이며 폐질환을 반복적으로 앓은 병력이 있으며, 보통 가슴이 답답하고 항상 피곤하다고 호소한다. 대부분의 만성폐쇄성폐질환이 있는 사람은 흡연을 하고 있고, 흡연은 만성폐쇄성폐질환의 발생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인이다. 담배 연기와 같이 기도를 자극하는 물질이 기도와 기관지를 반복적으로 자극하면, 기관지 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분비되는 기관지 점액의 분비가 증가함으로 기관지의 부분적 또는 전체적 폐쇄를 일으킨다. 기관지가 폐쇄되면 폐포는 확장되고 손상되어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능력이 손상 받게 된다. 폐쇄된 폐포는 세균이 쉽게 감염되는데,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게 세균이 감염되면 가스교환의 심각한 장애로 동맥혈 산소압이 급격히 감소하는 상황이 발생하며, 호흡부전에 의하여 동맥혈 이산화탄소압이 상승하면 이산화탄소 혼수가 발생할 수도 있다.
만성폐쇄성폐질환이 있는 환자는 기도 내 점막이 손상되어 있으므로, 감염으로 생성되는 점액이나 타액이 배출되지 않아 폐감염증이 잘 치료되지 않는다. 또한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는 호흡을 깊게 할 수 없는데, 이는 호흡을 깊이하면 폐포 내의 분비물이 잘 배출되는데, 호흡을 깊게 할 수 없어 폐포 내 분비물을 쉽게 배출할 수 없는 것이다
(2) 직업성 분진과 화학물질충분이 강하고 지속적인 노출이라면, 직업성 분진(예, 석탄분진)와 화학약품(증기, 자 극물질, 연기)도 흡연과 는 별도로 COPD를 일으킬 수 있다. 여기에 흡연을 하면 COPD의 위험이 더 커진다. 분진, 자극성 물질, 유기화학 분진, 그리고 감작원(sensitizing agents)등에 노출되면 기도 과민반응을 증가시키는데, 이는 특히 다른직업적인 노출, 흡연, 천식 등으로 이미 기도가 손상되면 더 심해진다.
(3) 유전
1-antitrypsin(AAT)은 폐포에서 단백질용해효소가 폐포 조직을 용해하는 것을 억제하는 효소로, AAT가 결핍이 되면 호중구와 대식세포에서 유리되는 단백질 용해효소가 폐포 조직을 용해하는 것을 억제할 수 없기 때문에 폐포가 파괴되어 만성 폐쇄성 폐질환이 발생한다
3. 병태생리
폐기종과 만성 기관지염은 보통 동시에 동반되어 나타난다
(1)폐기종
폐기종에서①폐포의 과팽창 ②폐포막 파괴 ③폐포모세혈관막의 파괴 ④좁아지고 뒤틀린 기도 ⑤폐탄성 소실의 구조적 변화를 볼수 있다. 폐기종은 흡연과 관련되어 폐상엽에서 주로 호발한다. 폐포내로 공기가 쉽게 유입되지만 호기 시에는 폐탄성의 저하로 공기가 밖으로 배출이 안되어 폐포 말단에 공기가 갇히게 되며 그 결과 술통형 흉곽이 형성되고 폐포와 모세혈관막의 파괴로 산소확산 장애가 오고 폐포환기를 증가시키려는 보상으로 빈호흡을 나타내며 폐기종 말기에는 저산소혈증이 나타난다.
(2) 만성기관지염
만성기관지염은 과도한 점액생성으로 인하여 1년에 적어도 3개월 이상 만성기침이 지속되는 상태를 말한다. 만성 기관지염의 병리적 변화는 ①기관과 기관지의 점액분비선 증식 ② 술잔세포증식 ③ 섬모 소실 ④ 만성 염증성 변화와 세기관지의 좁아짐 ⑤ 폐포 대식세포의 기능변화로 기관지 감염이 증가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기도 내경이 좁아지고 공기 흐름이 감소되고 염증 반응으로 혈관확장, 울혈 및 점막부종이 나타나고 점액선은 증식되며 기관지 조직 주변의 섬유화가 진행된다
폐기종
만성기관지염
발병시기
55세이상
45세경
체형
야윈형
뚱뚱함
호흡상태
내쉴 때 천명, 어께로 호흡
흡기시 - 입, 코 벌림
호기시 - 목혈관 부품
휴식시 - 호흡안정
객담
소량
과량의 화농성 객담
기침
기침횟수 적음
만성 기침
발병시 주증상
호흡곤란
기침
재발성 감염
거의 문제가 안됨
심각한 문제
심장
정상
확대
헤마토크릿
정상
상승
만성 저산소증
경증
종종 심하게 나타남
4. 주요 증상
1) 증상
(1) 기침보통 COPD 발생의 첫 번째 증상인 만성 기침은 처음에는 간헐적이지만, 나중에는 매일 나타나며 때로는 온종일 지속되기도 하지만 야간에만 있는 경우는 드물다.
(2) 객담 배출COPD 환자들에서는 흔히 기침 발작 후에 소량의 끈끈한 객담이 나오며, 호흡기 감염이 자주 발생하고 운동성 호흡곤란이 진행된다. 만성기관지염은 2년 연속으로 3개월이상 객담이 배출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3) 호흡곤란호흡곤란은 대부분의 환자들이 의사를 찾는 이유이며, 이 질환과 관련된 장애 및 불안증의 주된 원인이다. 호흡곤란은 지속적으로 진행하며 폐기능의 악화로 호흡곤란이 더욱 증가한다. 호흡곤란은 주관적 증상이므로 호흡곤란의 정도를 객관적으로 측정하도록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다.
4. 주요 합병증
(1) 폐성심
폐성심은 폐고혈압 때문에 심부전을 동반하기도 하고, 심부전 없이 우심비대가 발생하는것을 의미한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에서 폐고혈압은 폐포 저산소증에 대한 반응으로 폐혈관이 수축하기 때문에 발생하고 산증에서는 더욱
추천자료
[아동간호학 케이스]급성 기관지염(Acute bronchitis)
수술중 간호 케이스 <<담석증>> GB STONE
핸드북 정신간호 케이스, 긴장형 정신분열증
정신분열병 간호 케이스 스터티
TKR 수술 케이스스터디 간호
성인간호학 케이스!! 대동맥 박리 copd 대상자 케이스 간호진단 2개
[정신간호 케이스] 정신지체 <지적장애(정신지체) MR (Mental Retardation), Psychosis>
봉와직염 cellulitis 간호실습 케이스
아동 폐렴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
노인 파킨슨병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간경변 간호 케이스 스터디
간암 간호 케이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