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옥 소설에 나타난 사회적 양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김승옥 소설에 나타난 사회적 양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1960년대의 사회적 배경이 김승옥 문학에 끼친 영향?

2. 김승옥 소설 속의 도시

3. 김승옥 소설에 나타난 인물들의 심리적 특성
(1). 父性 상실 의식
(2). 소외의식의 양상
(3). 현실 회피 인식

Ⅲ. 결 론

본문내용

나타내 주는 인물로 「무진기행」의 음악교사인 하인숙을 들 수 있다. 그녀는 서울에서 무진으로 온 이후 ‘심심해서’ 세무서장 조와 그의 무리들과 어울리며 아리아대신 유행가인 ‘목포의 눈물’을 부르기도 한다. 시골은 정체되어있고, 진보하고 발전하는 도시적 삶과 시간에 익숙한 사람에게는 너무나 심심한 곳이다. 소외감 극복을 위해서는 그렇게라도 해야 했던 것이다.
그녀가 벗어나고자 하는 시골읍인 무진을 표상하는 것은 바로 안개였다. 사람의 힘으로는 어찌할 수 없는 안개, 즉 자연에 인간이 종속된다. 하인숙은 그 무진에서 서울 사람으로서 느껴야 하는 소외감을 어찌할 수 없었던 것이다. 그녀는 윤희중에게 어찌할 수 없는 자신의 소외감을 극복할 방법을 부탁하지만 그는 결국 무진을 부끄러움을 느끼며 황급히 떠나가는 것이다. 그녀의 소외감은 윤희중 자신이 거짓된 서울살이에서 느끼는 것과 같은 의미로 결국 자신의 문제는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승옥 소설의 주된 배경이 되고 있는 60년대는 도시화의 과정 속에서 대중사회로의 경향을 촉진하던 시대였다. 서울이 거대 도시화 되어감에 따라 여러 부정적 풍속의 전조가 보이기 시작했던 것인데 특히 인간 소외의식은 인간성의 상실, 타인에 대한 무관심, 극단적 이기주의가 팽배한 모습으로 나타남을 볼 수 있다.
(3). 현실 회피 의식
김승옥 소설에는 닫힌 세계를 나타내는 이미지가 많이 보인다. 폐쇄적 공간을 나타내는 것으로 「무진기행」을들 수 있겠다. ‘무진’이란 곳 자체가 현실도피적 공간이다.
내가 나이가 든 뒤로 무진에 간 것은 몇 차례 되지 않았지만 그 몇 차례 되 지않는 무진행이 그러나 그때마다 내게는 서울에서의 실패로부터 도망해야할때이거나 하여튼 무엇이간 새 출발이 필요한 때였었다. <중략>--- 오히려 무진에서의 나는 항상 처박혀 있는 상태였었다. 더러운 옷차림과 누우런 얼굴로 나는 항상 골 방안에서 딩굴었다.
여기서 골방이라는 폐쇄적 공간은 그가 징병을 기피하기 위해서였고, 폐병으로 인해 일년간 머문 곳이다. 이 공간은 자의식의 부끄러움과 떳떳함지 못함, 그리고 절망과 암담한 과거의 내면의식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 현실회피의식을 나타내는 모티브가 수면제이다. 이것은 거짓 현실로부터 도피하고 싶은 윤희중의 소극적 반항 심리를 드러낸다.
‘무진의 햇빛의 신선한 밝음과 살갗에 탄력을 주는 정도의 공기의 저온, 그리고 해풍에 섞여있는 정도의 소금기. 이세가지만 합성해서 수면제를 만들어 낼 수 있다면....’ 하고 현실에서 도피하고자 하는 자의식을 나타내 주고 있다.
「서울 1964년 겨울」작품에서도 현실 도피에 대해서 잘 나타나있다.
아내와 나와는 참 재미있게 살았습니다. 아내가 어린애를 낳지 못하기 때문에 시간은 몽땅 우리 두사람의 것이었습니다. 돈은 넉넉하지 못했습니다만 그래도 돈이 생기면 우리는 어디든지 같이 다니면서 재미있게 지냈습니다. 딸기 철엔 수원에도 가고, 포도철엔 안양에도 가고, 여름이면 대천에도 가고, 가을엔 경주에도 가 보고, 밤엔 함께 영화구경, 쇼 구경하러 열심히 극장에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9.27
  • 저작시기2012.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94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