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의의 및 필요성
2. 문헌고찰
Ⅱ. 본 론
1. 자료수집
2. 간호문제
3. 간호과정
Ⅲ. 결 론
1. 연구의 의의 및 필요성
2. 문헌고찰
Ⅱ. 본 론
1. 자료수집
2. 간호문제
3. 간호과정
Ⅲ. 결 론
본문내용
래전부터 운동은 당뇨병 환자에 유익한 것으로 알려져 왔으며 특히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에서 큰 효과가 큰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운동요법은 당뇨병 치료의 삼대원칙의 하나로 인정되고 있다. 그러나 운동요법 단독으로는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반드시 식사요법과 병행하여야 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 일반적인 운동지침
① 운동요법 시작전에 자세한 병력과 이학적 검사가 선행되어야 한다. 즉 당뇨병의 조절 정도와 이학적 검사 상 증식성 망막병증이나 심혈관계질환 유무를 반드시 확인하여야 한다.
② 운동요법 초기에는 가벼운 운동부터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운동의 강도를 증가시켜야 한다.
③ 가능한 경우 자가혈당검사법을 병행하여 운동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나는 혈당의 변화정도를 스스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④ 식사 후에 문제가 되는 고혈당의 개선을 위하여 운동은 식사 후에 하도록 한다.
⑤ 투여한 인슐린이 작용이 강하게 나타나는 시간에는 운동을 피하도록 한다.
⑥ 인슐린 주사부위가 다리인 경우에는 다리를 사용하는 운동은 피하도록 한다.
⑦ 운동 후 늦게 나타나는 저혈당의 발생 가능성을 반드시 염두에 두어야 한다.
Ⅱ.본 론
1. 자료수집
⑴ 개인력
성명 : 한 ○ ○ 성별 : M
연령 : 70세 혈액형 : AB+
결혼상태 : 기혼 종교 : 무
학력 : 중졸 직업 : 무직 (과거: 농업종사)
입원일 : 2011. 11.26
입원방법 : 도보 입원경로 : 외래
흡연력 : 유 음주력 : 유 (평소주량 소주2병)
(보통 하루1갑 , 입원 후 반갑)
입원경로 : 응급실 입원방법 : 도보
⑵ 대상자 현병력
- 본원에서 입원치료를 받으셨던 분으로(06년) 전신허약감과 당조절 안되어
진단명
DM , HTN
주증상
전신허약감
발병 시작시기
06년에 DM 진단받고 본원에서 입원력 있음
기간
입원 2주전부터 전신허약감 증상 있었음
입원 전 치료과정
한달에 두 번 외래를 통하여 본원 당뇨 po약 복용하고 있었으며 식사와 운동요법을 교육받고 혈당관리를 하고 있었음.
입원치료 위해 adm.
(3) 대상자 과거력
과거병력 □없음 ■고혈압 ■당뇨 □결핵 □알러지 □NP문제(신경정신문제)
■기타(담석증)
입원력 □없음 ■있음 (06년, DM)
수술경험 □없음 ■있음 (과거 65년도 Rt. foot amputation)
최근투약상태
본원 med(당뇨약) PO
(4) 대상자 가족력
(5) 간호력
① 건강관리 양상
- 당조절이 잘 되지 않아 입원했던 적이 있었고(06년도), 최근에도 역시 당조절이 잘 되지 않아 입원하게 되었다. 평소에 술 담배를 즐겨 하셨고 자신이 당뇨이지만 당을 조절해야 한다는 인식정도가 뒤떨어져 있는 상태다. 또한 과거에 수술한 오른쪽 다리부분에 가려움을 느껴 피부가 발적되었다.
② 영양-대사 양상
- 식욕은 좋은 편이나 사탕 등의 단 음식과 맵고 짠 음식을 즐겨 드신다. 그래서인지 당뇨식이가 맛이 없으시다고 불만을 토로 하시며 일반식이로 바꾸고 싶어 하신다. 또한 갈증의 증상이 지속되고 있다.
③ 배설 양상
- 많은 양의 소변을 자주 보고 특히 한밤 중에 요의를 자주 느끼신다 하셨다.
④ 활동과 휴식 양상
- 어깨가 무겁다고 하였고, 쉽게 피로를 느껴 낮잠을 많이 주무시고 걷기 등과 같은 꾸준한 운동이 부족했다.
④ 인지-지각 양상
- 자신은 질환에 대해 이해는 하시나 자신은 몸상태가 괜찮다며 크게 신경쓰지 않았고 당검사에 대한 수치를 보고 반신반의한 모습을 보였다.
(6) 각 영역별 사정(11월 26일 입원 당시 전반적 상태, 신체사정)
활력징후 혈압 130/70㎜Hg
맥박 94회/min (요골 맥박)
호흡 20회/min
체온 36.3℃ (액와 체온)
영양상태 식 욕 □좋음 ■보통 □나쁨
체중변화 ■없음 □있음
체 중 68 kg
신 장 157 cm
수면상태 수면시간 : 13 시간/일
수면장애 : ■없음 □있음
대 변 횟수 1회/1일 색깔 : 정상
소 변 횟수 10~11회/1일 양 : 600 색깔 : 연한노랑
(기타: 거품이 있는 소변을 봄 , 빈뇨, 다뇨, 야뇨)
활동상태 ■자유로움 □자유롭지 못함
피 부 피부상태 ■정상 □비정상
피부색깔 ■정상 □비정상
피부손상 ■없음 □있음
피부탄력성 □좋음 ■보통 □좋지 않음
순환기계 순환기장애 ■없음
의식상태 입원시 의식수준 alert
지 남 력 사람(■있음/□없음) 시간(■있음/□없음 ) 장소(■있음/□없음 )
의 식 ■명료 □혼돈 □혼미 □무의식
병 식 ■있음 □없음
의사소통 ■원만함 □곤란함 □불가능함
정서상태 □안정 □불안 □슬픔 ■분노 □우울 □흥분 □안절부절 □기타
( 당뇨가 다시 조절되지 못한 것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입원에 대한 분노 표출)
보조기구 ■없음
(7) 진단검사 (비정상 수치들을 중심으로)
1_ 일반혈액검사
검사명
정상치
검사결과
CBC
Hb
13.0~17.0 g/㎗
▼ 10.9g/㎗
Hct
32~44 %
▼ 29.8 %
WBC
4~10 만/㎕
▲3.36만/㎕
RBC
4.20 ~
6.30 백만/㎕
▼ 3.36 백만/㎕
platelet
140~440 만 /㎕
▼ 78만/㎕
Lymphocyte
25~45 %
▲ 54.3 %
2_ 일반화학검사
검사명
정상치
검사결과
Total Bilirubin
0,2~1.5㎎/ℓ
▲1,7 ㎎/ℓ
glucose(serum)
70~115㎎/ℓ
▲220 ㎎/ℓ
Phosphorus
2.6~5.9㎎/ℓ
▼2.5㎎/ℓ
HbA1C
3.5~6.4%
▲7.5 %
3_ 심혈관초음파 검사
결과 : No regional wall motion abnormality
No abnormal flow
4_ 복부초음파 검사
결과 : single GB stone(1.9cm)
Moderate fatty liver
5_ Brain MRI
결과 : Brain MRI
Mild degree small vessel ischemic change, both PVWM and subcortical WM
R/O enlarged perivascular space, right basal ganglion
Brain MRA
Focal stenosis , right M1
- 일반적인 운동지침
① 운동요법 시작전에 자세한 병력과 이학적 검사가 선행되어야 한다. 즉 당뇨병의 조절 정도와 이학적 검사 상 증식성 망막병증이나 심혈관계질환 유무를 반드시 확인하여야 한다.
② 운동요법 초기에는 가벼운 운동부터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운동의 강도를 증가시켜야 한다.
③ 가능한 경우 자가혈당검사법을 병행하여 운동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나는 혈당의 변화정도를 스스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④ 식사 후에 문제가 되는 고혈당의 개선을 위하여 운동은 식사 후에 하도록 한다.
⑤ 투여한 인슐린이 작용이 강하게 나타나는 시간에는 운동을 피하도록 한다.
⑥ 인슐린 주사부위가 다리인 경우에는 다리를 사용하는 운동은 피하도록 한다.
⑦ 운동 후 늦게 나타나는 저혈당의 발생 가능성을 반드시 염두에 두어야 한다.
Ⅱ.본 론
1. 자료수집
⑴ 개인력
성명 : 한 ○ ○ 성별 : M
연령 : 70세 혈액형 : AB+
결혼상태 : 기혼 종교 : 무
학력 : 중졸 직업 : 무직 (과거: 농업종사)
입원일 : 2011. 11.26
입원방법 : 도보 입원경로 : 외래
흡연력 : 유 음주력 : 유 (평소주량 소주2병)
(보통 하루1갑 , 입원 후 반갑)
입원경로 : 응급실 입원방법 : 도보
⑵ 대상자 현병력
- 본원에서 입원치료를 받으셨던 분으로(06년) 전신허약감과 당조절 안되어
진단명
DM , HTN
주증상
전신허약감
발병 시작시기
06년에 DM 진단받고 본원에서 입원력 있음
기간
입원 2주전부터 전신허약감 증상 있었음
입원 전 치료과정
한달에 두 번 외래를 통하여 본원 당뇨 po약 복용하고 있었으며 식사와 운동요법을 교육받고 혈당관리를 하고 있었음.
입원치료 위해 adm.
(3) 대상자 과거력
과거병력 □없음 ■고혈압 ■당뇨 □결핵 □알러지 □NP문제(신경정신문제)
■기타(담석증)
입원력 □없음 ■있음 (06년, DM)
수술경험 □없음 ■있음 (과거 65년도 Rt. foot amputation)
최근투약상태
본원 med(당뇨약) PO
(4) 대상자 가족력
(5) 간호력
① 건강관리 양상
- 당조절이 잘 되지 않아 입원했던 적이 있었고(06년도), 최근에도 역시 당조절이 잘 되지 않아 입원하게 되었다. 평소에 술 담배를 즐겨 하셨고 자신이 당뇨이지만 당을 조절해야 한다는 인식정도가 뒤떨어져 있는 상태다. 또한 과거에 수술한 오른쪽 다리부분에 가려움을 느껴 피부가 발적되었다.
② 영양-대사 양상
- 식욕은 좋은 편이나 사탕 등의 단 음식과 맵고 짠 음식을 즐겨 드신다. 그래서인지 당뇨식이가 맛이 없으시다고 불만을 토로 하시며 일반식이로 바꾸고 싶어 하신다. 또한 갈증의 증상이 지속되고 있다.
③ 배설 양상
- 많은 양의 소변을 자주 보고 특히 한밤 중에 요의를 자주 느끼신다 하셨다.
④ 활동과 휴식 양상
- 어깨가 무겁다고 하였고, 쉽게 피로를 느껴 낮잠을 많이 주무시고 걷기 등과 같은 꾸준한 운동이 부족했다.
④ 인지-지각 양상
- 자신은 질환에 대해 이해는 하시나 자신은 몸상태가 괜찮다며 크게 신경쓰지 않았고 당검사에 대한 수치를 보고 반신반의한 모습을 보였다.
(6) 각 영역별 사정(11월 26일 입원 당시 전반적 상태, 신체사정)
활력징후 혈압 130/70㎜Hg
맥박 94회/min (요골 맥박)
호흡 20회/min
체온 36.3℃ (액와 체온)
영양상태 식 욕 □좋음 ■보통 □나쁨
체중변화 ■없음 □있음
체 중 68 kg
신 장 157 cm
수면상태 수면시간 : 13 시간/일
수면장애 : ■없음 □있음
대 변 횟수 1회/1일 색깔 : 정상
소 변 횟수 10~11회/1일 양 : 600 색깔 : 연한노랑
(기타: 거품이 있는 소변을 봄 , 빈뇨, 다뇨, 야뇨)
활동상태 ■자유로움 □자유롭지 못함
피 부 피부상태 ■정상 □비정상
피부색깔 ■정상 □비정상
피부손상 ■없음 □있음
피부탄력성 □좋음 ■보통 □좋지 않음
순환기계 순환기장애 ■없음
의식상태 입원시 의식수준 alert
지 남 력 사람(■있음/□없음) 시간(■있음/□없음 ) 장소(■있음/□없음 )
의 식 ■명료 □혼돈 □혼미 □무의식
병 식 ■있음 □없음
의사소통 ■원만함 □곤란함 □불가능함
정서상태 □안정 □불안 □슬픔 ■분노 □우울 □흥분 □안절부절 □기타
( 당뇨가 다시 조절되지 못한 것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입원에 대한 분노 표출)
보조기구 ■없음
(7) 진단검사 (비정상 수치들을 중심으로)
1_ 일반혈액검사
검사명
정상치
검사결과
CBC
Hb
13.0~17.0 g/㎗
▼ 10.9g/㎗
Hct
32~44 %
▼ 29.8 %
WBC
4~10 만/㎕
▲3.36만/㎕
RBC
4.20 ~
6.30 백만/㎕
▼ 3.36 백만/㎕
platelet
140~440 만 /㎕
▼ 78만/㎕
Lymphocyte
25~45 %
▲ 54.3 %
2_ 일반화학검사
검사명
정상치
검사결과
Total Bilirubin
0,2~1.5㎎/ℓ
▲1,7 ㎎/ℓ
glucose(serum)
70~115㎎/ℓ
▲220 ㎎/ℓ
Phosphorus
2.6~5.9㎎/ℓ
▼2.5㎎/ℓ
HbA1C
3.5~6.4%
▲7.5 %
3_ 심혈관초음파 검사
결과 : No regional wall motion abnormality
No abnormal flow
4_ 복부초음파 검사
결과 : single GB stone(1.9cm)
Moderate fatty liver
5_ Brain MRI
결과 : Brain MRI
Mild degree small vessel ischemic change, both PVWM and subcortical WM
R/O enlarged perivascular space, right basal ganglion
Brain MRA
Focal stenosis , right M1
추천자료
Type 2 DM 환자의 간호사례연구
지역사회간호학 보건소실습 당뇨병케이스
[간호학] 당뇨병( Diabetes Mellitus) 대상자 CASE
치매노인 사회문제와 치매노인 가정간호의 사회복지정책사업의 문제점과 대책 그리고 치매노...
당뇨병 환자의 간호및 교육(파워포인트)
간호 관리 문제해결과정 보고서
장루환자의 간호에 대한 사례문제 (방송통신대학교 간호학과)
가족출산계획,생식기계수술에 대한 문제 - 10장 가족의 출산계획 & 23장 생식기계 수술 ...
[성인간호학A+] NIDDM (type2) 2형 당뇨병 환자의 간호과정
[2017년 방송대] 고위험모아간호학 1) 중환아간호단위 특성, 중환아실 간호사 갖추어야할 능...
간호윤리 - 의료인 간의 협력 (1. 병동 임상실습 중 의료인 간에 협력이 잘 된 상황을 구체적...
고위험모아간호학1)아동간호시 고려해야할 윤리적인문제들과 해결방안 2)환아 스트레스감소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