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한국문화의 이해
◈ 문화이해의 이론 틀 By. 홉스테드
◈ 가족집단주의 –‘아이구 내 새끼, 내 새끼’
◈ 권위주의적 문화 (권력 거리)
◈ 여성적인 문화
◈ 불확실성 회피 –높은 불안수준
◈ 장기지향의 유교문화
참고문헌
◈ 문화이해의 이론 틀 By. 홉스테드
◈ 가족집단주의 –‘아이구 내 새끼, 내 새끼’
◈ 권위주의적 문화 (권력 거리)
◈ 여성적인 문화
◈ 불확실성 회피 –높은 불안수준
◈ 장기지향의 유교문화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문)가 우선시되는
차등적 형태의 사랑 → 가족주의. 다른 가문과 집단은 모두 남인 외집단. (예: 찌
개문화, 집의 안과 밖을 차단하는 담 높이가 높은 옛 한옥 구조)
⑥ 결과
가) 서비스 정신 부재 (‘노가다 곤조’)
13주차 2차시 한국인 문화의 특성
나) 연줄문화
A. 연고주의가 일상의 인간관계로 표면화된 상태, 인간관계의 끈이나 유대
B. 개인들의 사회적 관계망 : 인맥 만들기(사회자본 구성) (예: 혈연, 지연,
학연, 업연, ‘우리’ 사람만 쓰는 대학, 우리끼리만 잘 살자 쇄국정책)
C. 질문 없는 우리 학생
다) 정에 약한 우리 (잘 삐지는 우리)
A. 삐쳤어도 대놓고 말 못하는 우리 (예: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죽
어도 아니 눈물 흘리오리다 (김소월, 진달래꽃))
B. 삐치는 것을 ‘한’ 으로 완성시키는 우리
한: 삐친 것이 조금 오래 가면 그 사람의 마음에 응어리가 생김
비교: 남을 향해 맺히면 원 → 복수가 아니라 자신의 서러운 운명을 탓
예: 춘향이의 한: “이 몸은 이도령님이나 만나 한이나 풀면 되지, 나를 이
지경으로 만든 변 아무개를 어떻게 해야겠다는 생각은 없소.”
라) 윗사람은 체면을, 아랫사람은 눈치를 (집단주의 감정)
A. 눈치 : 겉으로 드러난 자료가 불충분함에도 그 이면에 숨어있는 진실을
꿰뚫어 보는 독특한 재주
B. 인과 관련 : ‘인이란 말하기를 어려워 하는 것’
C. 체면 : 낯, 면목, 체모. 상황에 따라 자기의 참모습이나 사실을 다르게 행
동함으로써 자신이나 상대의 지위나 명분을 높이거나 유지하려는 현상
D. 눈치와 아첨 : 눈치는 아첨으로 체면은 허세로 발전하기 쉬움
E. 사건이 터져도 근본적으로 해결 못하는 폐단 (예: 한보사건, ‘모난 정이
돌 맞는다’)
마) 응석과 떼쓰기 (예: 교통경찰관과 교통위반을 한 운전자의 관계, 굿할 때 신
령과 신도들 사이의 관계)
바) 개인감정 억제
사) 술집문화 무리지어 감
아) 평등의식 같은 계층 간의 강한 평등의식
(상항적 평등의식 “네가 한다면 나도 할 수 있다.”) 부정적 답변과 상대적 박
탈감
비교: 프랑스의 특권주의
자) 한국적 개인주의
차) 고아수출국 1위
카) “내 새끼 유일주의”에 망가지는 교육환경
타) 풍수지리설과 제사에 숨어있는 가족주의
파) 족보와 종친회에 나타난 집단주의
하) 가족을 넘어선 마을굿과 같은 축제의 부재 : 가족주의 강화
◈ 권위주의적 문화 (권력 거리)
① 나이 따지는 데 도사 : 연장자를 부르는 호칭(형, 오빠, 언니 등)이 세분화되어 있
는데 비해 연하자는 ‘동생’이라고만 함
② 존칭 남발
가) ‘시’자 남발 : “돈을 갖고 계시면(?)”, “옷이 조금 크시네요()?”, “시간이 있으시
면(?)”
나) ‘님’자 남발 : 선생님(?), 회원님, 목격자님, ‘씨’자 붙여 부르면 불평하는 환자
다) 예1: 운전기사 명칭 변경 : 운전수 → 운전사 → 기사 → 기사님
라) 예2: 복잡한 한국말 호칭. 너(YOU) 네놈, 너, 이 자식, 자네, 당신, 여보, 그
쪽, 그대, 아저씨, 총각, 자기, 임자, 양반,
차등적 형태의 사랑 → 가족주의. 다른 가문과 집단은 모두 남인 외집단. (예: 찌
개문화, 집의 안과 밖을 차단하는 담 높이가 높은 옛 한옥 구조)
⑥ 결과
가) 서비스 정신 부재 (‘노가다 곤조’)
13주차 2차시 한국인 문화의 특성
나) 연줄문화
A. 연고주의가 일상의 인간관계로 표면화된 상태, 인간관계의 끈이나 유대
B. 개인들의 사회적 관계망 : 인맥 만들기(사회자본 구성) (예: 혈연, 지연,
학연, 업연, ‘우리’ 사람만 쓰는 대학, 우리끼리만 잘 살자 쇄국정책)
C. 질문 없는 우리 학생
다) 정에 약한 우리 (잘 삐지는 우리)
A. 삐쳤어도 대놓고 말 못하는 우리 (예: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죽
어도 아니 눈물 흘리오리다 (김소월, 진달래꽃))
B. 삐치는 것을 ‘한’ 으로 완성시키는 우리
한: 삐친 것이 조금 오래 가면 그 사람의 마음에 응어리가 생김
비교: 남을 향해 맺히면 원 → 복수가 아니라 자신의 서러운 운명을 탓
예: 춘향이의 한: “이 몸은 이도령님이나 만나 한이나 풀면 되지, 나를 이
지경으로 만든 변 아무개를 어떻게 해야겠다는 생각은 없소.”
라) 윗사람은 체면을, 아랫사람은 눈치를 (집단주의 감정)
A. 눈치 : 겉으로 드러난 자료가 불충분함에도 그 이면에 숨어있는 진실을
꿰뚫어 보는 독특한 재주
B. 인과 관련 : ‘인이란 말하기를 어려워 하는 것’
C. 체면 : 낯, 면목, 체모. 상황에 따라 자기의 참모습이나 사실을 다르게 행
동함으로써 자신이나 상대의 지위나 명분을 높이거나 유지하려는 현상
D. 눈치와 아첨 : 눈치는 아첨으로 체면은 허세로 발전하기 쉬움
E. 사건이 터져도 근본적으로 해결 못하는 폐단 (예: 한보사건, ‘모난 정이
돌 맞는다’)
마) 응석과 떼쓰기 (예: 교통경찰관과 교통위반을 한 운전자의 관계, 굿할 때 신
령과 신도들 사이의 관계)
바) 개인감정 억제
사) 술집문화 무리지어 감
아) 평등의식 같은 계층 간의 강한 평등의식
(상항적 평등의식 “네가 한다면 나도 할 수 있다.”) 부정적 답변과 상대적 박
탈감
비교: 프랑스의 특권주의
자) 한국적 개인주의
차) 고아수출국 1위
카) “내 새끼 유일주의”에 망가지는 교육환경
타) 풍수지리설과 제사에 숨어있는 가족주의
파) 족보와 종친회에 나타난 집단주의
하) 가족을 넘어선 마을굿과 같은 축제의 부재 : 가족주의 강화
◈ 권위주의적 문화 (권력 거리)
① 나이 따지는 데 도사 : 연장자를 부르는 호칭(형, 오빠, 언니 등)이 세분화되어 있
는데 비해 연하자는 ‘동생’이라고만 함
② 존칭 남발
가) ‘시’자 남발 : “돈을 갖고 계시면(?)”, “옷이 조금 크시네요()?”, “시간이 있으시
면(?)”
나) ‘님’자 남발 : 선생님(?), 회원님, 목격자님, ‘씨’자 붙여 부르면 불평하는 환자
다) 예1: 운전기사 명칭 변경 : 운전수 → 운전사 → 기사 → 기사님
라) 예2: 복잡한 한국말 호칭. 너(YOU) 네놈, 너, 이 자식, 자네, 당신, 여보, 그
쪽, 그대, 아저씨, 총각, 자기, 임자, 양반,
추천자료
일본문화의이해-장인정신-
(한국문화의이해)대중 목욕의 역사와 변화에 대하여
[동양문화의이해]원효의 생애와 사상
[문화의이해] 지구종말설에 대한 고찰
[대중문화의이해]한류현상과 발전방향
[대중문화이해] 안토니아스 라인 비평 논평
중국대중문화이해 레포트(중국세기)
중국문화의이해-한류와한조의바람
[문화의이해] 『동서방 그리스도교의 분열 간접적 배경』에 대하여
한국전통식문화이해
[대중문화와속담의이해] 한국속담 중 여성비하, 세계속담
독일문화의이해 - 독일의 경제 A+ 보고서
[대중문화의이해A+] 남성 투톱영화와 흥행률의 상관관계 분석
문학개론)오리엔탈리즘 국민문학과 오리엔탈리즘의 등장 간의 상관관계를 이해하고 제국주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