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언어유희교육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초등언어유희교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1. 언어유희………………………………………………………………………4

1)의미
2)종류

2. 언어유희 교육……………………………………………………………………7

1)초등언어유희교육
2)언어유희교육의 의의

3. 실태분석………………………………………………………………………9

1)교육과정 자체의 문제
2)교과서 문제
3)수업방밥의 문제
4)요약 및 우리의 의견

4. 제안……………………………………………………………………………16

1)실감나게 묘사하여 수수께끼 만들기
2)이야기 노래만들기
Ⅲ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용의 본래 취지가 되살아나고 있는지 의문이 든다. 교사가 자신의 자율성을 십분 발휘하여 지역과 아동의 특성에 맞고 교육과정에 합당한 교육을 하면 좋지만 아직은 그 정도의 단계는 아니라고 본다. 교사용지도서에 수업의 팁이 되는 여러 가지 적절한 예시를 더 풍부히 제공한다면 교육과정의 의도를 잘 반영할 수 있지 않을까한다. 따라서 우리는 교사용지도서에 수록될만한 교수학습활동의 아이디어를 제시하고자 한다. 다음에 제시되는 수업안은 현재 교육과정에 벗어나지 않는 내용으로 제시하였으며, “수업방법문제”에 제시된 점을 고려하여 수정하였다.
4. 제안
현재 제시된 예들은 인터넷을 통하여 조금씩 수정한 것이다. 중간보고서 때 출처를 밝혀두지 않고 인용하여, 다시 찾는데 어려움이 있어 출처를 밝히지 않은 채로 수록하게 되었다. 아래의 수업들은 앞에서 제시한 문제점들을 보완하며 교사용지도서에 제시된 재미있는 말의 지도에 대한 몇 가지 준거를 통해 수정, 창안한 내용들이다.
다음은 교사용지도서에 제시된 재미있는 말의 지도에 대한 유의점이다.
교사용지도서를 보면 재미있는 말의 특징으로 다음과 같은 점을 들고 있다.
첫째, 규칙적인 리듬이다.
둘째, 어떤 사물이나 대상의 소리 또는 모양을 나타낸 말들이다.
셋째, 말들로써는 표현하기 힘든 ‘정도’를 잘 나타내 준다.
넷째, 재미있는 말은 모습을 마음속에 그려 볼 수 있는 이미지(심상)를 나타내 준다.
다섯째, 재미있는 말들은 그 말들이 나타내는 ‘이미지’와 ‘정도’로 인해 말이나 글 전체의 분위기를 조성해 준다.
이와 같은 재미있는 말의 특성을 고려하면서 교사는 그 말의 사전식 뜻풀이에 그치지 말고, 여러 가지 다양한 측면의 쓰임에 대하여 폭넓게 지도하여야 한다. 재미있는 말의 지도에서 교사가 특별히 유의해야 할 것은, 재미있는 말의 지도답게 ‘재미있게’ 지도해야 한다는 점이다. 재미있는 말을 재미있게 지도하기 위해서는, 교사는 일방적인 해설을 삼가고, 학생들의 생각을 자극하여 학생 스스로 이 말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 교사는 적절한 질문을 통해 학생들이 이러한 말들의 쓰임이나 기능을 이해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국어1-1학기 교사용지도서)
1) ‘실감나게 묘사하여 수수께끼 만들기’
아래의 예시는 흉내내는 말을 학습한 뒤에 흉내내는 말을 통해 사물을 정하고, 친구들과 수수께끼 놀이를 해보며, 이 내용들을 통해 하나의 이야기를 꾸며보는 것이다. 단위수업에 하기에 양이 많을 수도 있지만 기본학습이 끝난 뒤 적용발전단계에서 제시한다면 충분할 것이다.
이 수업안은 흉내내는 말을 이용하여 이야기를 만들며 흉내내는 말이 가지는 정서적 표현의 측면을 쉽게 접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예를 들면 물컹물컹이 어떤 경우를 묘사하기에 적절한 말인지, 무엇을 흉내낼 때 쓸 수 있는 말인지, “물컹물컹한 귤을 밟았다”라고 했을때의 느낌이 어떤 것인지, 단순한 단어의 의미를 단편적으로 아는 것이 아니라 정서적 표현을 마음으로 느끼며 흉내내는 말을 총체적으로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수업방법
① 흉내 내는 말을 학습한 후 하나의 낱말을 정한다.
② 낱말을 떠 올리며 연상되는 것들을 흉내 내는 말로 적는다.
③ 흉내 내는 말로 수수께끼 문제를 만든다.
④ 친구들과 수수께끼 놀이를 한다.
⑤ 이런 식으로 만든 문제를 이어서 하나의 이야기를 꾸민다.
낱말
흉내 내는 말
수수께끼

포동포동, 둥실둥실, 호리호리, 쏘옥
호리호리하고 날씬한 것이 포동포동 살이 쪘다가 때로는 구름 뒤로 쏘옥 숨어버리는 밤의 친구는?

새콤새콤, 물컹물컹, 오돌토돌, 동글동글
오돌토돌한 외투를 입고 새콤달콤 향기를 풍기는 물컹물컹한 노란 동글이는?
오리
오동통, 뒤뚱뒤뚱, 파닥파닥, 쿵, 꽥꽥
물위에선 동동, 육지에선 뒤뚱뒤뚱, 하늘에선 파닥파닥 쿵하는 꽥꽥이는?
※ 달, 귤, 오리가 한데 어우러진 장면을 상상하여 이야기를 꾸며 봅시다.
- 불쌍한 오리 -
오동통 살이 찐 오리 한 마리가 엉덩이를 실룩거리면서 뒤뚱뒤뚱 밤길을 걸어가고 있었다. 하늘을 보니 포동포동 살이 찐 달이 둥실둥실 떠 있었다. 오리는 그 달이 무척이나 갖고 싶었다. 그래서 달을 잡으려고 날개를 퍼덕이며 뛰어올랐다. 하지만, 쿵하고 떨어지며 정신을 잃고 말았다. 잠시 후 정신을 차린 오리의 눈앞에 표면이 오돌토돌한 동그랗고 작은 귤이 떨어져 있었다. 오리는 귤이 달인 줄 알고, 벌떡 일어나 발로 살짝 눌러 보았다. 물컹물컹한 귤이 오리의 발 아래서 납작해지고 말았다.
2) 이야기 노래만들기
아래 제시된 예는 동기유발 자료로써 만들어진 것인데 동기유발 뿐만 아니라 수업에서도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의성어, 의태어 교육에서 중요한 것은 앞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교사의 일방적인 해설을 통해 의미를 습득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적인 활동을 통해 그 느낌을 습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이들이 스스로 좋아하는 노래의 멜로디에, 이야기가사를 붙임으로써 흉내내는 말이 쓰이는 맥락을 자연스레 알게 되고 흉내내는 말의 반복성이 노래에 잘 어울린다는 사실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노래에 맞는 동작을 만들도록 함으로써 의성어나 의태어의 의미와 실제적 사용을 자연스레 알 수 있으며 재미를 느낄 것이다.
(1)학년 (국어)과 학습동기 유발 자료
자료명
이야기 노래
자료
형태
노래
투입
시기
도입
동기
요소
관련성
단원명
둘째 마당 1.재미있는 말
제재
흉내내는 말로 이야기 꾸미기
□ 자료 해설
모둠별로 읽은 책의 내용으로 노래의 가사를 만들어 부른다. 이때 각 절마다 가사에 어울리는 흉내내는 말을 넣고 거기에 어울리는 동작을 하며 부른다.
■ 자 료
즉흥적으로 지은 노래 가사
예)1모둠: 하나하면 콩쥐가 벼를 찧는다고 쿵쿵쿵
2모둠: 둘 하면 흥부가 박을 탄다고 슬근슬근
3모둠: 셋 하면 혹부리 영감이 노래를 한다고 흥얼흥얼
4모둠: 넷 하면 거인이 재크를 잡는다고 쿵쾅쿵쾅
5모둠: 다섯하면 나뭇꾼이 나무를 한다고 뻘뻘뻘
6모둠: 여섯하면 신데렐라가 파티에 간다고 호호호
7모둠: 일곱하면 짱구가 초코빅을 먹는다고 와삭와삭
8모둠: 여덟하면 베짱이가 배가 고프다고 엉엉엉
9모둠: 아홉하면 거북이가 토끼를

추천자료

  • 가격2,4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2.10.09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13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