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본문내용
Ⅰ. 문자와 말소리(음운)
1. 문자
1.1 개관
(1)명칭
① 문자체계의 명칭 : 훈민정음(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 → 한글
② 책이름:《訓民正音》 훈민정음에 대한 해설서
┌해례본(=한문본): 예의(例義) / 해례(解例) / 정인지의 서
└예의본(=언해본): 해례본의 ‘예의’ 부분만 언해
(2)연대
창제: 세종 25년(1443년) 음력 12월
반포: 세종 28년(1446년) 음력 9월 상한(양력 10월 9일)(=훈민정음 해례본 간행)
(3)창제의 배경
借字表記法(향찰, 이두, 구절)
국어 음운 구조의 복잡성(특히 종성이 복잡해서 차차 표기법으로는 국어를 충실히 적을 수 없었다.)
(4)창제의 목적
① 자주, 애민, 실용정신
② 국어의 전면적 표기(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포함)
1.2 제자원리 및 글자체계
(1)초성 17자(+전탁 6자)
①원리: 훈민정음의 자음은 먼저 발음 기관을 상형하여 기본자를 만들고 이를 바탕으로 다른 글자들을 만들어 나갔다. 가획은 원래의 글자에 획을 더하여 만듦.
상 형
기본자
기획자
이체자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
ㄱ
ㅋ
혀끝이 윗잇몸에 붙는 모양
ㄴ
ㄷ ㅌ
ㄹ(반설음)
입의 모양(象口形)
ㅁ
ㅂ ㅍ
이의 모양(象齒形)
ㅅ
ㅈ ㅉ
ㅿ(반치음)
목구멍 모양(象喉形)
ㅇ
ㅎ
②글자체계: 해례본에 나오는 용어에 따라 배치하면
조음 방식
조음 위치
전청
차청
불청불탁
전탁
어금닛소리(牙音 아음)
ㄱ
ㅋ
ㄲ
혓소리(舌音 설음)
ㄷ
ㅌ
ㄴ
ㄸ
입술소리(脣音 순음)
ㅂ
ㅍ
ㅁ
ㅃ
잇소리(齒音 치음)
ㅈ,ㅅ
ㅊ
ㅉ,ㅆ
목구멍소리(喉音 후음)
ㅎ
ㅇ
ㆅ
반혓소리(半舌音 반설음)
ㄹ
반잇소리(半齒音 반치음)
ㅿ
예사소리(평음)
거센소리(격음)
울림소리(유성음)
된소리(경음)
초성 17자 체계에는 전탁 6자가 포함되지 않는다.
→전탁 6자는 글자 운용법 중 나란히 쓰기(書)에 의해 만들어진 글자로 분류
위 도표의 23 초성체계는 《동국정운》의 초성체계와 같다.
초성자의 이름은 알 수 없으나 조사 ‘’을 고려할 때 ‘기, 니, 디, 리…’식으로 읽었을 것이라 짐작(‘ㅣ 가온딧소리 니라’)
(2)중성 11자
①원리: 하늘, 땅, 사람의 삼재(三才)를 본 떠 만들고 난 뒤, 이들을 합용하여 나머지 글자를 만듦.
②글자체계
상형
기본자
초출자
재출자
천(天)
ㆍ
ㅏ, ㅗ
ㅑ, ㅛ
지(地)
ㅡ
ㅓ, ㅜ
ㅕ, ㅠ
인(人)
ㅣ
(3)종성 終聲復用初聲(종성은 다시 초성을 사용한다.) 따로 만들지 않음.
☞‘종성부용초성’(終聲復用初聲)을 주시경 이래 모든 초성은 받침으로 쓸 수 있다는 ‘받침 규정’(표기법상의 원칙)으로 해석해 왔으나, 《훈민정음》 해례본에 ‘종성은 8자로 충분하다’(팔종성가족용)는 규정이 있으므로 이는 ‘제자 원리’로서 종성 글자는 따로 만들지 않고 초성을 그대로 갖다 쓴다고 해석하게 되었다.
※종성부용초성
- 훈민정음 예의에 있는 규정
- 훈민정음의 독창성이 돋보이는 규정
중국 운학에서는 음절이분법(音節二分法 :강→ ㄱ+앙)으로 음절을 분석하지만 이를 독창적으로 발전시켜 음절삼분법(音節三分法)으로 국어의 특징을 반영한 규정
1.3 글자의 운용
(1)이어쓰기( 連書, 니쓰기)
‘ㅇ’을 순음(ㅁ, ㅂ, ㅍ, ㅃ) 아래 연서하면 순경음(, , , )이 된다.
‘’은 고유어 표기에 쓰이고, ‘, , ’은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에 쓰임.
세조 때부터 소멸(15세기 중엽)
(2)나란히 쓰기(竝書, 쓰기)
1)각자 병서(各自竝書): 같은 초성(자음)을 나란히 쓰는 법
ㄲ, ㄸ, ㅃ, ㅆ, ㅉ, ㆅ, →전탁자
- 발음┌고유어 표기에는 된소리를
└한자음 표기에는 유성음을 나타냄
- 훈민정음 초성자 17+6=동국정운 초성 23자
2) 합용병서(合用竝書): 서로 다른 글자를 두 자, 세 자 나란히 쓰는 법
유형
특징
보기
‘ㅅ’계
ㅺ, ㅼ, ㅽ
, , 리다
‘ㅂ’계
ㅳ, ㅄ,ㅶ, ㅷ
다, , , 다
‘ㅄ’계
,
(時),
특이한 예
ㅻ, ,
, (土),
1. 문자
1.1 개관
(1)명칭
① 문자체계의 명칭 : 훈민정음(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 → 한글
② 책이름:《訓民正音》 훈민정음에 대한 해설서
┌해례본(=한문본): 예의(例義) / 해례(解例) / 정인지의 서
└예의본(=언해본): 해례본의 ‘예의’ 부분만 언해
(2)연대
창제: 세종 25년(1443년) 음력 12월
반포: 세종 28년(1446년) 음력 9월 상한(양력 10월 9일)(=훈민정음 해례본 간행)
(3)창제의 배경
借字表記法(향찰, 이두, 구절)
국어 음운 구조의 복잡성(특히 종성이 복잡해서 차차 표기법으로는 국어를 충실히 적을 수 없었다.)
(4)창제의 목적
① 자주, 애민, 실용정신
② 국어의 전면적 표기(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포함)
1.2 제자원리 및 글자체계
(1)초성 17자(+전탁 6자)
①원리: 훈민정음의 자음은 먼저 발음 기관을 상형하여 기본자를 만들고 이를 바탕으로 다른 글자들을 만들어 나갔다. 가획은 원래의 글자에 획을 더하여 만듦.
상 형
기본자
기획자
이체자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
ㄱ
ㅋ
혀끝이 윗잇몸에 붙는 모양
ㄴ
ㄷ ㅌ
ㄹ(반설음)
입의 모양(象口形)
ㅁ
ㅂ ㅍ
이의 모양(象齒形)
ㅅ
ㅈ ㅉ
ㅿ(반치음)
목구멍 모양(象喉形)
ㅇ
ㅎ
②글자체계: 해례본에 나오는 용어에 따라 배치하면
조음 방식
조음 위치
전청
차청
불청불탁
전탁
어금닛소리(牙音 아음)
ㄱ
ㅋ
ㄲ
혓소리(舌音 설음)
ㄷ
ㅌ
ㄴ
ㄸ
입술소리(脣音 순음)
ㅂ
ㅍ
ㅁ
ㅃ
잇소리(齒音 치음)
ㅈ,ㅅ
ㅊ
ㅉ,ㅆ
목구멍소리(喉音 후음)
ㅎ
ㅇ
ㆅ
반혓소리(半舌音 반설음)
ㄹ
반잇소리(半齒音 반치음)
ㅿ
예사소리(평음)
거센소리(격음)
울림소리(유성음)
된소리(경음)
초성 17자 체계에는 전탁 6자가 포함되지 않는다.
→전탁 6자는 글자 운용법 중 나란히 쓰기(書)에 의해 만들어진 글자로 분류
위 도표의 23 초성체계는 《동국정운》의 초성체계와 같다.
초성자의 이름은 알 수 없으나 조사 ‘’을 고려할 때 ‘기, 니, 디, 리…’식으로 읽었을 것이라 짐작(‘ㅣ 가온딧소리 니라’)
(2)중성 11자
①원리: 하늘, 땅, 사람의 삼재(三才)를 본 떠 만들고 난 뒤, 이들을 합용하여 나머지 글자를 만듦.
②글자체계
상형
기본자
초출자
재출자
천(天)
ㆍ
ㅏ, ㅗ
ㅑ, ㅛ
지(地)
ㅡ
ㅓ, ㅜ
ㅕ, ㅠ
인(人)
ㅣ
(3)종성 終聲復用初聲(종성은 다시 초성을 사용한다.) 따로 만들지 않음.
☞‘종성부용초성’(終聲復用初聲)을 주시경 이래 모든 초성은 받침으로 쓸 수 있다는 ‘받침 규정’(표기법상의 원칙)으로 해석해 왔으나, 《훈민정음》 해례본에 ‘종성은 8자로 충분하다’(팔종성가족용)는 규정이 있으므로 이는 ‘제자 원리’로서 종성 글자는 따로 만들지 않고 초성을 그대로 갖다 쓴다고 해석하게 되었다.
※종성부용초성
- 훈민정음 예의에 있는 규정
- 훈민정음의 독창성이 돋보이는 규정
중국 운학에서는 음절이분법(音節二分法 :강→ ㄱ+앙)으로 음절을 분석하지만 이를 독창적으로 발전시켜 음절삼분법(音節三分法)으로 국어의 특징을 반영한 규정
1.3 글자의 운용
(1)이어쓰기( 連書, 니쓰기)
‘ㅇ’을 순음(ㅁ, ㅂ, ㅍ, ㅃ) 아래 연서하면 순경음(, , , )이 된다.
‘’은 고유어 표기에 쓰이고, ‘, , ’은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에 쓰임.
세조 때부터 소멸(15세기 중엽)
(2)나란히 쓰기(竝書, 쓰기)
1)각자 병서(各自竝書): 같은 초성(자음)을 나란히 쓰는 법
ㄲ, ㄸ, ㅃ, ㅆ, ㅉ, ㆅ, →전탁자
- 발음┌고유어 표기에는 된소리를
└한자음 표기에는 유성음을 나타냄
- 훈민정음 초성자 17+6=동국정운 초성 23자
2) 합용병서(合用竝書): 서로 다른 글자를 두 자, 세 자 나란히 쓰는 법
유형
특징
보기
‘ㅅ’계
ㅺ, ㅼ, ㅽ
, , 리다
‘ㅂ’계
ㅳ, ㅄ,ㅶ, ㅷ
다, , , 다
‘ㅄ’계
,
(時),
특이한 예
ㅻ, ,
, (土),
추천자료
[A+학점] 교원양성 및 임용정책에 대해서
교수재임용제도에 관한 판례 연구
교원임용제도의 의의와 특징 및 실태와 문제점과 해결방안 분석
[교장임용제도][교장상]우리나라, 외국의 교장임용제도(교장승진제도) 비교와 교장임용제도(...
[교장임용제도][교장승진제도]국내외 교장의 역할과 교장임용제도(교장승진제도)의 현황, 문...
[교장임용제도]교장승진제도(교장임용제도)의 내용, 교장승진제도(교장임용제도)의 현황 고찰...
[교장임용제도][교장]교장의 역할, 자질과 교장임용제도(교장승진제도)의 현황, 관련 법규 및...
[교원임용제도]교원의 특성, 교원의 자질, 교원임용제도(교사임용제도)의 불투명성, 교원임용...
[임용]교원임용제도(교사임용제도)의 변천, 교원임용제도(교사임용제도)의 우선 순위, 교원임...
[교사임용제도]교원의 정의, 교원의 역할, 교원임용제도(교사임용제도)의 체계, 교원임용제도...
[인사행정론][개방형제 임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