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학] “근대국민국가와 고대사 창출” 동아시아의 왕권과 교역 -신라.발해와 정창원 보물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역사학] “근대국민국가와 고대사 창출” 동아시아의 왕권과 교역 -신라.발해와 정창원 보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결론

본문내용

서 한국 고대사 연구에 접목시켜 시도해 봤으면한다. 계속 포스트모더니즘이 머리속에 이저자의 시각과 비슷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교수님께서 이 책도 포스트모더니즘을 바탕으로한 책이라 하셨다. 그 쪽으로 분석해보면 위에서 근대국민국가형성과정에서 국민의식을 고양하기 위한 방편은 권력이 개입되어 있다는 것을 알고,다양한 해석은 포스트모더니즘에서 중심개념 이란 것이없고 다만 주변개념들이 중심개념이될수있다는 관점과 유사하다. 차이점은 저자는 역사는 사료를통해 해석하는 학문이라 했는데 포스트모더니즘은 역사는 역사가의 창조물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저자는 국민국가과정에서 고대사를 자의적으로 해석한다는 것이 위험하다는 것이 일본 근대 역사학 비판과 맞닿아 있다고 지적했는데 이것은 일본만이 아니라 한국역사학에서도 가령, 김부식이 신라중심, 중국중심의 소중화의식을 삼국사기에 있다고 해서 김부식이가 사대주의자라고 해석하는 시각처럼, 우리 민족주의 역사학도 자의적 해석이있다. 그레서 우리역사학의 학계들도 한번쯤은 비판받아 마땅하다고 생각된다.
내가 한자만이라도 많이만 알았다면 매신라물해의 문서들을 내용은 잘 파악하지는 못해도 읽기만은 하지않았을까 라고 조금은 후회가 된다. 그레서 한자를 많이알아야겠다고 생각하였고, 동아시아의 왕권과 교역간의 관계를 통해 그 당시 동아시아 국제정세를 파악하는 그리고 그 정세를 하나의 독립적이아닌 통일된 사회속에서 이해하려는 저자의 노력이 이 책에서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일련의 다른 텍스트들에서도 이런 노력들이 보여줬으면 하는 바램이다. 그리고 일본의 역사에대한 관심이 조금은 생겨난 듯 하다.
  • 가격3,36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10.16
  • 저작시기201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23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