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간고사]심리학의 초대 족보자료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간고사]심리학의 초대 족보자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시작하면서부터 급속한 오류수의 감소를 나타냄
보상을 받지 못했던 쥐들도 보상을 받은 집단과 마찬가지로 미로상황을 학습하였으나 단지 이를 수행으로 나타내지 않았음.
따라서 이를 잠재학습이라 부르게 되었으며, 학습과 수행은 구분할 필요가있음]
4)관찰학습
Ex): 오케스트라 악장이 끝났지는 안끝났는지 알 수 없어 박수를 칠때를 알지 못할 때 주변사람들의 행동을 관찰
관찰학습: 우리의 많은 행동과 정신과정은 다른 사람의 행동이나 다른사람과의 상호 관계를 관찰함으로써 학습
관찰학습은 사회적학습, 모방학습, 대리학습, 모델링으로 나뉨 ,
우리는 남이 하는 모든 것을 모방하는 것은 아님, 사회적학습이론은 이를 몇 가지 방법으로 설명
당신은 모델이 하고 있는 것을 보아야 할 뿐만아니라 거기에 대하여 주의를 집중해야한다.
②당신은 모델이 행하였던 것을 기억해야 한다.
학습한 것을 행위로 전환시켜야 한다.
우리의 지식이나 행동의 많은 부분이 타인을 관찰해서 학습한 지식이라고 이해할수 있음. (악기연주, 수영, 화장, 노래 등)
인간이 직접적인 체험을 통해서만 학습한다면 그 과정은 복잡하고 지루할 것이다. 우리는 주변사람의 행동을 보고 그대로 모방해보면서 지루하고 복잡한 시행착오를 생략할수있음.
◎돌발퀴즈
인지심리학자들은 학습을 수동적이고 기계적인 것으로 보았다.
정답:X
해설: 인지심리학자들은 학습은 관찰할 수 있는 행동뿐만 아니라 정신과정에 있어서의 변화도 포함한다고 주장한다.
◎퀴즈!퀴즈!
1.조건형성이 이루어진 다음, 계속적으로 조건자극만 제시하고 무조건자극을 결부시키지 않으면 어떤 현상이 일어나겠는가?
소거가 일어난다
② 일반화가 일어난다.
변별이 일어난다
④ 고차조건형성이 일어난다.
소거 현상이란 조건자극에 대한 조건반응의 억압에 따른 현상으로서, 일단 조건형성이 이루어졌다 하더라도 무조건자극을 전혀 결부시켜주지 않았을 때 발생한다.
②일반화는 원래의 조건자극과 유사한 자극에도 조건 반응을 나타내는 현상이다.
변별은 제시된 두 개의 자극간의 차이를 구분하는 것을 의미한다
④고차조건형성은 처음에 만들어진 조건자극에 선행해서 새로운 자극을 제시함으로 써 그 지극도 또 하나의 새로운 조건자극으로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2.일정한 시간간격 후에 일어나는 첫 번째 반응에 강화를 제공하는 강화계획은? ④
변화비율계획: 평균적인 시행 횟수에 따른 강화 제공계획
② 고정비율계획: 고정적인 시행 횟수에 다른 강화 제공계획
변화간격꼐획: 평균적인 시간 간격에 따른 강화 제공계획
④ 고정간격계획: 고정적인 시간 간격에 따른 강화 제공계획
3.관찰학습을 의미하는 유사한 용어로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대리학습
② 모델링
잠재학습
④ 사회적 학습
해설: 대리학습, 모델링, 사회적 학습은 반듀러의 관찰학습을 의미하는 용어이며, 잠재학습은 톨만이 제시한 학습용어임
◎핵심노트
1.학습이란 경험이나 연습을 통한 행동 혹은 행동잠재력의 비교적 영속적인 변화라고 정의 된다.
2.학습 원리는 크게 행동주의 학습이론과 그리고 인지주의 학습이론으로 구분할 수 있다.
3.고전적 조건형성은 파블로프에 의하여 연구 되었다. 이는 무조건 반응을 유발시키는 무조건 자극과 중립자극을 여러 차례 연합시켜, 결국 중립자극이 무조건자극 없이도 무조건 반응을 유출시킬 수 있게 하는 과정을 말한다. 조건형성을 통해 중립자극은 조건 자극이 되고 무조건 반응은 조건 반응이 된다.
4.고전적 조건형성에는 소거, 자발적 회복, 재조건 형성, 자극 일반화, 자극변별 고차적 조건형성 들의 개념이 포함된다.
5.조작적 조건화는 스키너에 의해 체계적으로 연구 되었으며, 강화, 강화물, 소거, 처벌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6.정적 강화란 특정 행동이 나타난 뒤에 즉각적으로 자극(강화인)이 제시됨으로써 나중에 행동의 빈도가 증가되는 과정을말한다. 부적강화는 특정 행동의 결과로 어떤 자극이 제거됨으로써 행동의 빈도가 증가하게 되는 과정을 말한다.
7.부분적 강화계획에 의한 강화는 계속적 강화계획에 의한 강화보다 소거가 느리게 나타나는데 이를 부분강화효과라고 한다.
8.처벌이란 특정 행동에 즉각적으로 뒤따라 나오는 자극의 변화(처벌인)에 의해 나중에 특정 행동의 발생빈도가 감소되게 하는 과정을 말한다.
9.조형은 현재 유기체가 할 수 있는 행동이 아닌, 새로운 행동을 형성시키려고 할 때 효과적으로 사용 될 수 있다.
10.인지학습은 자극과 반응의 단순한 연합이 아닌 내적인 인지작용에 의한 학습으로서, 통찰학습, 잠재학습, 관착학습 등이 있다.
5주차 1차시
◎사전 퀴즈
1.고전적 조건형성은 유기체의 능동적 반응행동에, 그리고 조작적 조건형성은 유기체의 수동적인 반응행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답:X
해설: 고전적 조건형성은 유기체의 수동적(불수의적)반응행동에, 그리고 조작적 조건형성은 유기체의 능동적(수의적)인 반응 행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2.유기체가 특정 반응을 보일 때마다 혐오자극을 제시함으로써 그러한 반응이 일어날 확률을 감소 시키는데 사용하는 절차를 스키너는 강화라고 불렀다.
답:X
해설:이 설명은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형성이론에서 처벌에 대한 설명이다. 강화와 처벌의 근본적인 차이를 보면 강화는 특정 반응이 일어날 확률을 높이는 것인데 반해 처벌은 특정 반응이 발생할 확률을 감소시키는 것과 관련된 개념이다.
3.유기체가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갑자기 파악하고, 요구되는 반응을 처음부터 완전히 그리고 실수 없이 수행하는 것처럼 보이는, 영장류에서 보이는 학습형태를 통찰학습이라고 한다.
답:O
해설:쾰러의 통찰학습에 대한 설명이다.
4.반듀라(A.bandura)의 관찰학습을 대리적 학습이라고도 부른다.
답:O
해설:반듀라의 관찰학습은 대리적학습, 사회적 학습 혹은 모델링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고 있다.
◎핵심용어
개념: 대상의 집단과 종류, 사람, 조직, 사건, 상황 그리고 공통 특징이나 속성을 공유한 관계성들을 대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정신적 범주를 의미
추리: 제한된 단서나 혹은 주어진 전제의 가정에 근거하여 어떤 결론을 얻고자 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사고의 과정
귀납적추리: 여러가지 경험적 사실로부터 보편적인 어떤 법칙이나
  • 가격5,000
  • 페이지수63페이지
  • 등록일2012.10.23
  • 저작시기201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28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