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건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로마건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로마의 도시 계획

2. 로마건축의 의장

3. 로마 건축

4. 건축실례
 1) 포럼 (Forum)
 2) 신전과 무덤
 3) 바실리카 (Basilica)
 4) 극장
 5) 투기장
 6) 경마장
 7) 공중 목욕탕
 8) 기념 건축물

본문내용

적으로 위대한 힘을 발휘하는 역량적 천재라고 할 수 있다. 방대한 영토를 지배하면서 부와 노동력을 바탕으로 위대한 대구조물과 대공간을 현실화시킨 로마건축은 아치나 볼트구조의 이용과, 재료나 구조에 대한 로마인의 비범한 재능에 힘입었던 것이다.
1.로마의 도시 계획
로마제국의 식민지 건설과정에서 나타난 도시계획 기법은 정방형 혹은 장방형의 도시를 규칙적인 도로들로서 분할하는 방식이다. 도시의 중심지를 십자형으로 지나는 주도로중 하나는 남북방향으로 배치되어있다. 이것을 까르도(Cardo 축이라는 뜻)라고 부른다. 동서방향의 축을 데뀌마누스(Decumanus)라고 부르는데 의미가 명확히 전해지지 않은체 다만 십진법과 연관된 의미로 짐작되고 있다. 그래서 도시의 첫 개척자는 우선 미래의 도시 중심을 정하곤 했다. 이 데뀌마누스와 까르도가 교차하는 지접에 그로모(Gromo)를 세워 데뀌마누스를 정하는 기준으로 삼았다. 이를 위하여 일출시에 해의 그림자를 추적하여 도시를 개척한 그날의 동쪽을 채택한 것이다. 그 다음에는 데뀌마누스와 직교하는 선을 찾아서 까르도를 그린 것이다. 그리고 식민지에 부여해야할 만큼의 면적을 두 직선을 분할해 가면서 배분하였다. 이 두선의 끝은 도시의 주출입문이 되었다. 일정하게 분할된 선들은 네모 형태의 도시를 구성하고 네군데의 문이 생기게 된다. 이 도시의 주축도로와 평행한 많은 도로를 구획할 수있게 되어 많은 데뀌마누스와 부(副)까르도가 생기게 된다. 이렇게 생겨난 단지들은 주민들의 계급과 역할에 따라 배분되었다. 이러한 도시계획 방법은 매우 추상적이고 사용되지 않은 땅에만 적용이 가능한 기법이다. 그 대표적인 도시는 북아프리카 알제리에 위치한 팀가르(timgad)인데 주변에 어떠한 기존취락도 없는 유목지였다.
2. 로마건축의 의장
로마건축은 그 의장 방면에는 그리스 전통을 이어받았으며 그 구조 방면에는 에트루이아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다. 전자는 오더를 사용하며 장식을 많이 쓴점으로 알 수 있고, 후자는 아치와 볼트구조등 그리스에 없던 것이 사용된 것으로 알 수있다.
로마 건축의 주 재료는 석재였다. 또 일종이 콘크리트가 발명되어 많이 사용되엇으며 부분적으로는 벽화도 사용되었다.
로마에서 사용된 볼트는 반원통형 볼트(Barrel Vault)와 교차볼트(Cross Voult)가 있다. 오더로는 터스컨(Tuscan)도릭(Doric) 이오닉(Ionic) 코린티안(Corinthian) 콤퍼지트(Composite) 의 5형식이 사용되었다. 로마시대에는 도릭오더에도 초반(礎盤)을 사용하게 되었고 주두에는 그리스에 없던 경권(頸卷)을 더 붙이게 되었다. 도릭식에서 세부장식을 전부 제거하면 터스컨식이 된다. 이오닉오더는 그리스 새대의 것보다 탄력성이 없어지고 와형(渦形)도 덜 아름답게 만들어졌다. 그 형상이 평면적이 아니며, 선회함에 따라 돌출되도록 만들었고, 엔테블레쳐는 과장해서 만들었다. 코린티안 오더는로마인이 많이 애용하였으며 각 부분의 취급이 그리스와 같았으나 변화가 많게 되었다. 주신이 순백색돌일때는 연마하고 담색일
  • 가격4,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10.26
  • 저작시기201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33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