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장관계 튜브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위장관계 튜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위관영양이란?

Ⅱ. 위관영양 공급의 목적

Ⅲ. 위관영양의 준비물

Ⅳ. 위관영양 공급의 방법

Ⅴ. 위장관 tube

Ⅵ. 위장관 tube 관리

Ⅶ. 위장관 tube 위치 확인



► 참고문헌

본문내용

Miller-Abbott tube
⇒ 3m, 내관이 2개(12~18F).
- 한쪽 관강은 수은이나 공기를 주입.
- 다른 한쪽 관강은 흡인.
Ⅵ. 위장관 tube 관리
- 처음 삽입했거나 간헐적 영양을 시작하기 전에 비위관 튜브의 위치를 확인한다.
- 영양용액과 기구는 감염을 예방하기 위하여 2주마다 교환한다.
- L-tube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해 약물주입 전후에 세척을 한다.
- 구강간호를 자주하여(하루3~4회 정도) 구강조직의 건조를 예방하고 갈증을 감소시켜야
하며, 입술에는 윤활제를 발라준다.
- 튜브로 인한 인두의 국소적 자극을 경감시키기 위해 진정제나 국소 마취제를 뿌려 주면 효과적이다.
- 비위관을 사용할 때는 역류와 폐합병증을 줄이기 위해 반좌위를 취해줌.
- 비장관으로 주입할 때는 대상자의 머리를 적어도 30도 정도 올려야 함.
- 대상자의 느낌을 말하도록 한다.
Ⅶ. 위장관 tube 위치 확인
- 위 내용물을 주사기로 흡인해본다.
- 주사기로 5cc의 공기를 주입하고 청진기를 검상돌기 끝부분에 갖다대고 소리를 듣는다. (‘쉿’ 또는 ‘휙’ 소리가 나는데 위관이 폐에 있으면 소리가 들리지 않는다.)
- 관 끝을 물컵 속에 넣어 대상자가 호기시 기포가 발생하는지 관찰한다.
- 대상자에게 말을 시키거나 콧노래를 부르게 한다.
- X선 촬영을 한다.
(가장 정확한 방법이나 대상자가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경제적 부담이 있다.)
참고문헌
조영희 외(2007), 기본간호학 상, 신광출판사, pp. 414~422
유해영 외(2011), Nursing+ 기본간호학, 현문사, pp. 178~181
  • 가격3,3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10.30
  • 저작시기201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37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