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결혼 준비 교육
2. 건강한 가족의 특성
3. 부부관계향상교육
2. 건강한 가족의 특성
3. 부부관계향상교육
본문내용
과 원치 않는 자녀를 조절하는 피임방법의 개발, 경기침체로 인한 일시적인 결혼의 지연, 결혼경사도 현상으로 인한 결혼 대상자 부족
결혼의 의미변화
-1970년 : 혼인제도가 제도적 결혼에서 우애적 혼인의 의미로 변화
-2000년 : 개인의 성장, 자아실현 등 개인의 중심적인 가치를 중시하는 방향, 즉 관계를 통한 자아실현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화됨.
현대적 관점에서의 결혼
: 일상생활에서의 민주성과 평등성이 가장 중요한 가치이고 서로에 대한 신뢰와 평등적 권리와 의무 관계, 서로에 대한 존중과 민주적인 원리에 기반을 둔 부부관계가 중요하다.
☞ 파트너의 성장과 관계, 서로를 이해할 수 있는 의사소통의 의미, 창조적인 변화를 자극하기 위해 갈등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 친밀감을 유지하고 창조하는 능력과 같은 필요성을 강조하였는데(Powell과 Cassidy 2002), 이는 곧 부부관계 향상교육이 필요한 이유
2) 부부관계 향상교육의 효과
Guerney와 Maxson(1990) : 관계기술훈련이 결혼만족도를 높이고, 장기적으로 이혼율을 줄이는데 효과적이라고 함.
특히 훈련기간이 길고, 프로그램이 기술을 더 강조하고, 적절한 감독 하에 실습이 더 많이 행해질수록 프로그램은 더 효과적.
3) 부부관계 향상교육의 교과과정
인간생태학적 관점, 체계적 관점, 발달적 관점, 건강가족적 관점 및 가족학 분야의 연구를 종합해 볼 때 우리 나라의 가족생활교육 중 ‘부부관계’ 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내용은
(1) 부부관계의 이해
(2) 성공적인 부부관계
(3) 발달단계에 따른 부부관계
(4) 부부관계의 위기
(5) 다양한 가족의 부부관계
4. 전체 가족 대상의 관계향상교육
1) Branch(1976)의 가족캠프 : 가족향상을 위한 확대된 경험
2) Russel 과 Wilson(1976) : 가족향상 주말
참고문헌
건강가정론 조희금, 김경신 외 3명 저 | 신정 |
가족복지론 이영실, 윤대중 외 3명 저 | 양서원 |
건강가정론 윤경자, 김정옥 외 3명 저 | 공동체 |
다문화가족복지론 최현미, 이혜경 외 3명 저 | 양서원 |
사회복지학개론 원리와 실제 강욱모(교수), 김성천 외 3명 저 | 학지사 |
가정학원론 유영주(교수) 저 | 신광출판사 |
건강가정론 이기숙(교수), 도미향 외 3명 저 | 신정 |
건강가정론 김익균(교수) 저 | 파워북 |
건강가정론 김윤재, 김은희 외 1명 저 | 동문사 |
결혼의 의미변화
-1970년 : 혼인제도가 제도적 결혼에서 우애적 혼인의 의미로 변화
-2000년 : 개인의 성장, 자아실현 등 개인의 중심적인 가치를 중시하는 방향, 즉 관계를 통한 자아실현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화됨.
현대적 관점에서의 결혼
: 일상생활에서의 민주성과 평등성이 가장 중요한 가치이고 서로에 대한 신뢰와 평등적 권리와 의무 관계, 서로에 대한 존중과 민주적인 원리에 기반을 둔 부부관계가 중요하다.
☞ 파트너의 성장과 관계, 서로를 이해할 수 있는 의사소통의 의미, 창조적인 변화를 자극하기 위해 갈등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 친밀감을 유지하고 창조하는 능력과 같은 필요성을 강조하였는데(Powell과 Cassidy 2002), 이는 곧 부부관계 향상교육이 필요한 이유
2) 부부관계 향상교육의 효과
Guerney와 Maxson(1990) : 관계기술훈련이 결혼만족도를 높이고, 장기적으로 이혼율을 줄이는데 효과적이라고 함.
특히 훈련기간이 길고, 프로그램이 기술을 더 강조하고, 적절한 감독 하에 실습이 더 많이 행해질수록 프로그램은 더 효과적.
3) 부부관계 향상교육의 교과과정
인간생태학적 관점, 체계적 관점, 발달적 관점, 건강가족적 관점 및 가족학 분야의 연구를 종합해 볼 때 우리 나라의 가족생활교육 중 ‘부부관계’ 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내용은
(1) 부부관계의 이해
(2) 성공적인 부부관계
(3) 발달단계에 따른 부부관계
(4) 부부관계의 위기
(5) 다양한 가족의 부부관계
4. 전체 가족 대상의 관계향상교육
1) Branch(1976)의 가족캠프 : 가족향상을 위한 확대된 경험
2) Russel 과 Wilson(1976) : 가족향상 주말
참고문헌
건강가정론 조희금, 김경신 외 3명 저 | 신정 |
가족복지론 이영실, 윤대중 외 3명 저 | 양서원 |
건강가정론 윤경자, 김정옥 외 3명 저 | 공동체 |
다문화가족복지론 최현미, 이혜경 외 3명 저 | 양서원 |
사회복지학개론 원리와 실제 강욱모(교수), 김성천 외 3명 저 | 학지사 |
가정학원론 유영주(교수) 저 | 신광출판사 |
건강가정론 이기숙(교수), 도미향 외 3명 저 | 신정 |
건강가정론 김익균(교수) 저 | 파워북 |
건강가정론 김윤재, 김은희 외 1명 저 | 동문사 |
추천자료
평등한 부부관계의 걸림돌-가정폭력
독해능력․쓰기능력 향상을 위한 교과교육 이론의 실제적 적용
결혼예비학교(평생교육프로그램)
체육과교육 표현활동수업(표현활동학습) 정의와 요소, 체육과교육 표현활동수업(표현활동학습...
통합교육 또래지도학습(또래교수활동)의 의의와 특성, 통합교육 또래지도학습(또래교수활동)...
다문화 가정의 여성교육PPT(결혼이주여성을 중심으로)
다문화 교육 - 결혼이주여성
신문, 잡지, 인터넷, 칼럼 등에서 최근 거론되고 있는 가족관계의 문제들을 3가지 이상 골라 ...
[통일 준비 방안] 학교 통일교육의 현황 및 문제점, 외국의 통일교육 사례, 시사점 및 향후 ...
[가족생활교육] 맞벌이부부 - 맞벌이 부부의 장점과 단점(문제점) 및 해결 방안 - 맞벌이 부...
아동미술 교육과 창의성의 관계
[생활지도와 상담] 학부모상담과 학부모교육을 위한 준비로써 필요한 사항
[한국어 교육론] 여성결혼이민자교재의 현황 분석 및 개선 - 문법 발음 어휘의 측면에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