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미술 이론 정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미술 이론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추상표현주의 (Abstract Expressionism)

2. 팝 아트 (Pop-Art)

3. 미니멀리즘 (minimalism)

4. 개념미술 (conceptual art)

5. 대지미술 (Land Art)

6. 행위미술

본문내용

작품의 소재나 경향·방법 등이 작가마다 매우 다르다. 사막·산악 ·해변·설원(雪原) 등의 넓은 땅을 파헤치거나 거기에 선을 새기고 사진에 수록하여 작품으로 삼기도 하고, 잔디 등의 자연물을 그릇에 담거나 직접 화랑에 운반하여 전시하기도 한다. 이런 현상은 모두 예술의 일시적 성격, 재료 또는 재질로서의 자연의 재인식, 자연환경의 창조적 응용 등을 강조한 수법이다. 대표작가는 A.스타키, R.스미드슨, M.하이저 등이다.
6. 행위미술
(헤프닝, 퍼포먼스, 신체미술 등)
행위 미술은 행위의 연약하고 하루살이 같은 차원을 예술로 받아들이면서 60, 70년대 세대들에게 새로운 예술적 공리를 세운다.
① 헤프닝 Happening
1958년 잡지 기사에서 Allan Kaprow에 의해 근본적으로 정의된다. 그는 예술 작품에 있어 솜씨와 항구성을 비판한다. 그는 그때부터 하루살이 예술형태를 품는다. 그후 1971년 "활동 Activites"에 대신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음악과 같이 시간과 장소를 가지는 사건이나 진행을 갖는 예술을 설명하는 J. Cage 이론으로부터 나온다. 이것이 조형적으로 발전한다. 그래서 일종의 대사 없는 연극이다
작품의 조건으로 관객(대중)을 작품에 참여하도록 하는 목적과 형식을 갖는데 헤프닝은 관객이 참여하는 사건이 된다. 그리고 진행을 결과보다 더 중요시한다. 우연과 실험적 행위에 의미를 둔다. 각본 없이 은밀함을 박탈하고 의도적인 연극이 된다.
헤프닝은 도덕, 사회, 예술, 등의 구속과 억압으로부터 자유로운 표현으로 비판적이고 도전적이고 유머적이고 행위적이다. 그러나 "회화성"을 포기하지 않는다. 사실상 회화적 조각적 언어의 확장이다
그 결과 너무 지나친 확장으로 개념적으로 애매하게 된다. 그러나 화가, 무용가, 연극가들을 유혹해 시각예술의 탈 장르화를 시도한다.
대표적인 작가로는 유럽에서 Fluxus와 J. Beuys가 있는데 사회적 비평의 특징을 갖고 특히 일본 오사카 Gutai 그룹은 1955년부터 헤프닝을 시작했다.
② 퍼포먼스 Perfomance
헤프닝과 거의 같은 개념으로 이해된다. 퍼포먼스는 보다 구체적 용어이다.
1970년도에 이용된 용어로 헤프닝과 마찬가지로 영어의 "Action"을 전문 용어로 개칭한 것이다. 오늘날 행위예술의 용어에서 헤프닝보다 퍼포먼스를 더 선호한다.
그렇지만 헤프닝과 다른점은 다소 정확한 시나리오에 의거하고 예술가의 출현과 자치권을 신체적 사실에 둔다. 방법적으로는 악세사리의 이용이 빈번하다.
Fluxus, J. Beuys, 비엔느 행동파(Actionniste viennoise), Y. Klein 등이 대표적인 작가이다.
③ 신체 미술 (퍼포먼스) Bady Art
신체를 매개로 하는 퍼포먼스를 말한다. 60년대 말-70년대 큰 미술운동으로 재현적 대상으로서가 아닌 행위의 지탱(도구)으로서 직접적으로 거기에 중재하는 것은 작가의 신체이다.
신체예술은 개념미술의 "냉정함"에 관해 권태를 말해 주는데 일반적으로 관객을 출현시키고 그 관객과 함께 작가는 각본에 의해 물리적인 즉각적 "교감"을 세운다. 그때 신체는 언어로서가 아닌 물리적 도구로서 이용된다.
의미적으로 신체는 사회적 문화적 틀 밖에서 천연적이고 자연적인 상태(은유적 의미)의 일종의 오브제가 되고 그때 강열한 표현적 대상이 된다.
신체미술의 방법으로는 신체를 측정도구나 기구로서 사용하고 고통의 극한까지 체험하는 방법이 있으며, 연극적 짧은 행위에서 신체를 공격하거나 물어뜯어 상처를 내어 신체를 변형시키는 조롱적 방법 등 이 모든 경우는 신체에 자국을 남긴다.
행위 자체가 작품으로서 유일한 증거는 사진과 비디오 뿐 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7.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76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