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선교사역 영역과 관련된 것들로써 선교전문 파송단체와 의논하여 할 수 있는 영역이지만, 직접 할 수 있는 것은 선교사 가족들의 생일, 성탄절 및 새해 또는 교회적으로 기념할만한 날에 선물, 카드, 편지(E-mail 포함), 그리고 현지방문 등이다. 선교사를 위한 관심은 선교사에게 큰 격려가 된다. 선교사가 고국사역(안식년) 동안에는 선교전문 파송기관과 의논하여 거주할 수 있는 쉼터를 제공하고, 부모, 친척, 친지들과 교회 성도들과의 교제의 기회를 제공하고, 교회에서는 장년, 청년, 학생, 주일학교 등에 선교보고회를 갖도록 배려해 준다. 또한 선교사의 영적, 지적, 재충전을 위하여 지원합니다. 선교사가족 건강종합진단은 선교전문 파송 기관의 정책에 맡겨서 해도 된다. ⑥ 선교사자녀(MK)들의 한국적 교육을 돕기 위하여 한국책을 보내주는 일, 긴 방학동안에 MK를 한국에 초청하여 같은 연배의 학생들과 교제하고, 한국어를 습득하도록 도와주며, 한국의 역사적 유물들을 답신시켜 한국인의 긍지를 심어주는 일들이다(강승삼 1998:48). MK는 훌륭한 선교사 2세의 자원이다. ⑦ 교회의 중직들이나 뜻이 있는 성도들이 가능하면 1~2년에 한 번씩 선교지를 방문하여 격려하는 일과, 젊은이들의 단기선교 비전여행 등을 통해서 선교를 몸소 체험케 하고 돌아와서 교회 앞에 생생한 간증을 통해 서로가 선교적 도전을 받을 수 있다. ⑧ 지역교회 당회는 담임 목회자를 1년에 한 두 차례(1개월 정도) 선교현장에 파송하여 선교현지의 선교사들의 영성을 돕게 하고 새로운 문화적 경험과 정보를 수집하므로 목회의 강단이 새로워지고 뜨겁게 되는 경험을 권장한다. 이미 이러한 사례들을 서양교회들과 한국교회들에서 적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⑨ 지역교회는 주한 외국인근로자들과 유학생들을 돌아보아 그들의 필요를 제공하고 그들을 위한 선교교육과 제자훈련을 강화하여 그들이 귀국하면 그 종족교회의 지도자가 되도록 양육해야 한다.
3. 한국 교회는 선교현지의 선교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한다. 첫째로, 선교 현지의 비젼과 목표는 ① 미전도종족에 복음을 전하여 ② 교회공동체를 세워 신앙의 교제를 나누고 ③ 그리스도의 형상대로 변화되도록 돕고 ④ 하나님 말씀대로 순종하는 예수님의 제자들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둘째로, 선교 비전과 목표를 이루기 위하여 선교전략 또는 행동단계(Action Steps)가 필요하다. 신학교의 비젼을 전략화 할 때 건물이나 도서관 증축이나 도서 수집은 전략이 아니라 전략적 수단이다. 전략은 신학생들 안에 그리스도를 닮은 성품으로 변화와, 교회와 사회에 영적 영향을 미칠 방법과 프로그램을 비젼에 맞추어 계발하는 것이다. 셋째로, 선교리더십의 정신이 섬기고 조정하는 팀 리더십이 되어야 한다. 리더가 비전 제시, 팀웍 형성, 팀원의 개발과 동기 부여의 임무를 할 때 공동 협력효과(Synergy)가 나타난다. 넷째로, 선교 현지의 전도와 교회개척에 있어서 미전도종족 지역을 지향하여 제자 양육과 교회성장의 패러다임을 현지인들의 주도하에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다섯째로, 선교 현장의 신학교육의 패러다임이 변해야 한다. 성경과 신학을 가르친다는 것은 수단이지 목적이 아니다. 신학교육의 목적은 신학도들로 하여금 성경에서 바른 길을 찾고, 영적 전쟁에 승리할 수 있는 영적 자원을 발견하고, 삶의 궁극적인 목표(the Ultimate goal)의 비젼을 갖게 하는 것이다. 신학교의 교과과정은 신학도들이 그리스도의 제자의 삶을 배우면서 그리스도께서 명령하신 모든 말씀을 복종하는 사랑의 교회 공동체를 개척 발전시켜 나갈 수 있도록 만들어져야 한다. 한국의 신학대학(원)의 커리큘럼을 타문화적 상황에 적용하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교수는 지혜의 진주를 학생의 머리에 넣어 주는 도사(Grue)가 아니라 신학도들로 하여금 개혁주의 성경 신학을 기초로 그 선교 지역의 상황에 알맞는 성경 해석을 할 수 있는 제자와 목회자를 배출할 책임이 있다. 선교지에서 신학교육을 실시하기 전에 심사숙고해야 할 사항 몇 가지를 제안한다. ① 신학교 설립의 치밀한 계획을 세울 다섯 가지 중요 요소다. 신학교육의 궁극적 목적, 신학교육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요소들과신학교육의 성격, 신학교육의 목표, 신학교육의 목적과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방법론, 신학교육을 통해서 어떤 인물들이 배출되어 그리스도의 제자공동체 교회를 세우고 사회를 변화시켜 나갈 수 있겠는가 이다.
② 신학교육의 토착화를 위해서 시작부터 교수급 신학도를 엄선하여 별도로 투자 계획을 세워야 한다. 알맞는 시기에 리더쉽의토착화(현지교수 60%이상)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③ 신학교 졸업생들의 사역 현장을 매년 점검하여 교육방법론에 평가 반영하여야 할 것이다.
④ 교육방법론에 있어서 공식교육(Formal Education), 비공식교육(Nonformal Education), 비형식교육(Informal Education)을다 사용하여 교육의 효율성을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여섯째로, 선교 현장의 사회봉사 선교의 패러다임이 변해야 한다. 한국 선교사들이 사회봉사사역에 19.9%가 참여하고 있다. 한국 선교사들의 총체적 선교사역을 약간은 등한시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선교사는 성령의 인도하심 가운데서 영혼 구원에 역점을 두면서도 사랑과 친절과 정의가 필요한 곳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사람 중심의 개발(People-oriented Development)의 총체적 선교 방법은 처음부터 조심스럽게 도와가면서 그들 스스로 더 가난한 자들을 돕도록 교회들과 목회자들을 돕는 프로그램이다. 물질공세나 무조건 돕는 것은 그 사회를 약화시키는 지름길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가난했던 시절 한국교회의 성미제도는 성도들의 교회와 교역자 사랑을 배우고 자립 교회가 되는데 크게 공헌하였다. 일곱 번째로, 선교 현장의 선교사 배치 전략의 패러다임이 변해야 한다. 자유선교지역(Free Access Nation), 창의적 접근지역(Limited Access Nation), 닫힌 지역(Closed or Creative Access Nation)으로 나누어서 배치 전략을 세우되 선임선교사가 팀장이 되어 팀
3. 한국 교회는 선교현지의 선교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한다. 첫째로, 선교 현지의 비젼과 목표는 ① 미전도종족에 복음을 전하여 ② 교회공동체를 세워 신앙의 교제를 나누고 ③ 그리스도의 형상대로 변화되도록 돕고 ④ 하나님 말씀대로 순종하는 예수님의 제자들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둘째로, 선교 비전과 목표를 이루기 위하여 선교전략 또는 행동단계(Action Steps)가 필요하다. 신학교의 비젼을 전략화 할 때 건물이나 도서관 증축이나 도서 수집은 전략이 아니라 전략적 수단이다. 전략은 신학생들 안에 그리스도를 닮은 성품으로 변화와, 교회와 사회에 영적 영향을 미칠 방법과 프로그램을 비젼에 맞추어 계발하는 것이다. 셋째로, 선교리더십의 정신이 섬기고 조정하는 팀 리더십이 되어야 한다. 리더가 비전 제시, 팀웍 형성, 팀원의 개발과 동기 부여의 임무를 할 때 공동 협력효과(Synergy)가 나타난다. 넷째로, 선교 현지의 전도와 교회개척에 있어서 미전도종족 지역을 지향하여 제자 양육과 교회성장의 패러다임을 현지인들의 주도하에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다섯째로, 선교 현장의 신학교육의 패러다임이 변해야 한다. 성경과 신학을 가르친다는 것은 수단이지 목적이 아니다. 신학교육의 목적은 신학도들로 하여금 성경에서 바른 길을 찾고, 영적 전쟁에 승리할 수 있는 영적 자원을 발견하고, 삶의 궁극적인 목표(the Ultimate goal)의 비젼을 갖게 하는 것이다. 신학교의 교과과정은 신학도들이 그리스도의 제자의 삶을 배우면서 그리스도께서 명령하신 모든 말씀을 복종하는 사랑의 교회 공동체를 개척 발전시켜 나갈 수 있도록 만들어져야 한다. 한국의 신학대학(원)의 커리큘럼을 타문화적 상황에 적용하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교수는 지혜의 진주를 학생의 머리에 넣어 주는 도사(Grue)가 아니라 신학도들로 하여금 개혁주의 성경 신학을 기초로 그 선교 지역의 상황에 알맞는 성경 해석을 할 수 있는 제자와 목회자를 배출할 책임이 있다. 선교지에서 신학교육을 실시하기 전에 심사숙고해야 할 사항 몇 가지를 제안한다. ① 신학교 설립의 치밀한 계획을 세울 다섯 가지 중요 요소다. 신학교육의 궁극적 목적, 신학교육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요소들과신학교육의 성격, 신학교육의 목표, 신학교육의 목적과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방법론, 신학교육을 통해서 어떤 인물들이 배출되어 그리스도의 제자공동체 교회를 세우고 사회를 변화시켜 나갈 수 있겠는가 이다.
② 신학교육의 토착화를 위해서 시작부터 교수급 신학도를 엄선하여 별도로 투자 계획을 세워야 한다. 알맞는 시기에 리더쉽의토착화(현지교수 60%이상)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③ 신학교 졸업생들의 사역 현장을 매년 점검하여 교육방법론에 평가 반영하여야 할 것이다.
④ 교육방법론에 있어서 공식교육(Formal Education), 비공식교육(Nonformal Education), 비형식교육(Informal Education)을다 사용하여 교육의 효율성을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여섯째로, 선교 현장의 사회봉사 선교의 패러다임이 변해야 한다. 한국 선교사들이 사회봉사사역에 19.9%가 참여하고 있다. 한국 선교사들의 총체적 선교사역을 약간은 등한시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선교사는 성령의 인도하심 가운데서 영혼 구원에 역점을 두면서도 사랑과 친절과 정의가 필요한 곳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사람 중심의 개발(People-oriented Development)의 총체적 선교 방법은 처음부터 조심스럽게 도와가면서 그들 스스로 더 가난한 자들을 돕도록 교회들과 목회자들을 돕는 프로그램이다. 물질공세나 무조건 돕는 것은 그 사회를 약화시키는 지름길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가난했던 시절 한국교회의 성미제도는 성도들의 교회와 교역자 사랑을 배우고 자립 교회가 되는데 크게 공헌하였다. 일곱 번째로, 선교 현장의 선교사 배치 전략의 패러다임이 변해야 한다. 자유선교지역(Free Access Nation), 창의적 접근지역(Limited Access Nation), 닫힌 지역(Closed or Creative Access Nation)으로 나누어서 배치 전략을 세우되 선임선교사가 팀장이 되어 팀
추천자료
한국브랜드의 세계화
웰빙의 진정한 가치와 한국적 웰빙의 세계화
한국 경제위기의 인식과 노동운동위기 및 대안세계화의 과제
[교회][예배][세례][죄][인간 구원][교회개혁][사회개혁][한국교회]교회란 무엇인가, 교회의 ...
초등학교교육 범교과학습, 초등학교(초등교육)범교과학습 정보윤리교육과 한국문화정체성교육...
세계화와 한국 청소년문화
세계화시대의 한국인과 한국문화
(조선대학교)보장자료세계화와 한국의 대응전략 족보
세계화 시대의 한국
[생물과학] 누가 우리의 밥상을 지배하는가?를 일고 세계화 시대에 맞설 한국 농업의 현재를 ...
[한국경제의 시사점] 우리나라 경제의 시사점-세계화의 영향과 정책시사점
[한국 전통 술문화] 한국의 막걸리에 대한 이해와 세계화 방안
세계화의 의의(개념정의)와 배경, 우리나라(한국)에서 세계화의 전개과정, 세계화시대의 국가...
[영어레포트/영어에세이/영어발표/영작] 한국음식의 세계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