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기초
1.1 의사결정의 중요성
우리는 매순간 선택의 갈림길에 놓여짐에 따라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요구된다.
의사결정시 한 가지 기준을 가지고 명쾌하게 선택 할 수 없는 경우, 과학적 합리성 이외의
방법을 활용
1.2 의사결정의 과정
정의 : 의사결정자가 문제를 인식하여 이를 체계화하고 문제해결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편집하여 최종 대안을 찾아내는 일련의 과정
그림 11-1 (의사결정과정)
1) 문제인식 및 진단
- 문제란 자신의 현재상태와 원하는 상태가 차이가 날 때 발생한다
- 문제인식 단계에서 조기인식과 의사결정자와 결정관련자들간의 \'인식의 차이\' 가 중요하다.
- 문제를 인식하는 과정에서의 오류
1> 정보오류 : 여러 정보가 의사결정자에게 도달되는 과정에서 왜곡되거나 제거 또는 첨가되었을 때 발생하는 오류
2> 지각오류 : 의사결정자의 지각 능력의 한계로 말미암아 생격나게 되는 오류
2) 대안의 개발/발견
- 정보수집 및 조직화 단계
3) 대안의 평가와 선택
- 의사결정에 드는 비용, 각 대안의 장단점, 그리고 해결책 실천의 문제를 생각하는 단계
1> 경제적 합리성 모델 : 경제적이며 합리주위적인 인간을 가정한다.
2> Simon의 제한적 합리주의 모델 : 대안 선택의 합리주의 모델 으로서 문제 해결에 있어 객관적으로 최선책을 발견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주어진 정보와 능력 안에서 소정의 기준을 세워 이를 통과하는 첫번째 대안을 선택하게 된다는 방법
3> 정치적 선택모델 : 자산이나 자기편의 이익만을 충족시키려는 입장에서 대안을 선택하는 경우로 권력이 강한 내외부 이해관계자들의 목적을
추구하기 위해 사용된다.
4) 선택된 대안의 실행
- 대한의 선택이 적절히 이루어지고 또한 선택된 대안의 핵심이 실행단계에서 충실히 실현되었을 때 효과적인 문제해결이 가능.
5) 유지 및 조정
- 의사결정자는 어떤 문제에 대한 성공적 의사결정방법을 기억이나 잠재의식 속에 쌓아두게 되고, 이후 유사한 문제발생시 저장된 의사결정방법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1.3 의사결정 후의 갈등
- 의사 결정 후의 갈등에 대해서 의사결정자들은 다음과 같은 반응을 보인다
1> 결정의 철회 : 자신의 판단에 잘못이 있었음을 인정하고 새로운 길을 모색하는방법
2> 실행의 축소 : 실행규모를 축소하든가 지연하는방법
3> 결정의 재확인 : 자신이 내린 결정에 대하여 갈등이 생겼다할지라도 그 결정에 대해 긍정적인 면을 더욱 강조함으로써 자신의 결정이 잘된것이라는
확신을가지려 하는 방법
1.4 몰입상승현상
- 분명히 잘못된 결정이나 실패할 것이 확실한 일에 고집스럽게 집착하는 심리를 말한다.
- 원인으로는 의사결정자의 자기합리화, 독박꾼의 착각, 지각결함, 그리고 함몰비용에 대한 미련등이 있다
의사결정시 한 가지 기준을 가지고 명쾌하게 선택 할 수 없는경우, 과학적 합리성 이외의
방법을 활용
제 2절 의사결정의 수준
그림 11-2 삽입
2.1 개인의사결정
- 개인의사결정은 개인이 혼자서 판단, 선
1.1 의사결정의 중요성
우리는 매순간 선택의 갈림길에 놓여짐에 따라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요구된다.
의사결정시 한 가지 기준을 가지고 명쾌하게 선택 할 수 없는 경우, 과학적 합리성 이외의
방법을 활용
1.2 의사결정의 과정
정의 : 의사결정자가 문제를 인식하여 이를 체계화하고 문제해결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편집하여 최종 대안을 찾아내는 일련의 과정
그림 11-1 (의사결정과정)
1) 문제인식 및 진단
- 문제란 자신의 현재상태와 원하는 상태가 차이가 날 때 발생한다
- 문제인식 단계에서 조기인식과 의사결정자와 결정관련자들간의 \'인식의 차이\' 가 중요하다.
- 문제를 인식하는 과정에서의 오류
1> 정보오류 : 여러 정보가 의사결정자에게 도달되는 과정에서 왜곡되거나 제거 또는 첨가되었을 때 발생하는 오류
2> 지각오류 : 의사결정자의 지각 능력의 한계로 말미암아 생격나게 되는 오류
2) 대안의 개발/발견
- 정보수집 및 조직화 단계
3) 대안의 평가와 선택
- 의사결정에 드는 비용, 각 대안의 장단점, 그리고 해결책 실천의 문제를 생각하는 단계
1> 경제적 합리성 모델 : 경제적이며 합리주위적인 인간을 가정한다.
2> Simon의 제한적 합리주의 모델 : 대안 선택의 합리주의 모델 으로서 문제 해결에 있어 객관적으로 최선책을 발견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주어진 정보와 능력 안에서 소정의 기준을 세워 이를 통과하는 첫번째 대안을 선택하게 된다는 방법
3> 정치적 선택모델 : 자산이나 자기편의 이익만을 충족시키려는 입장에서 대안을 선택하는 경우로 권력이 강한 내외부 이해관계자들의 목적을
추구하기 위해 사용된다.
4) 선택된 대안의 실행
- 대한의 선택이 적절히 이루어지고 또한 선택된 대안의 핵심이 실행단계에서 충실히 실현되었을 때 효과적인 문제해결이 가능.
5) 유지 및 조정
- 의사결정자는 어떤 문제에 대한 성공적 의사결정방법을 기억이나 잠재의식 속에 쌓아두게 되고, 이후 유사한 문제발생시 저장된 의사결정방법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1.3 의사결정 후의 갈등
- 의사 결정 후의 갈등에 대해서 의사결정자들은 다음과 같은 반응을 보인다
1> 결정의 철회 : 자신의 판단에 잘못이 있었음을 인정하고 새로운 길을 모색하는방법
2> 실행의 축소 : 실행규모를 축소하든가 지연하는방법
3> 결정의 재확인 : 자신이 내린 결정에 대하여 갈등이 생겼다할지라도 그 결정에 대해 긍정적인 면을 더욱 강조함으로써 자신의 결정이 잘된것이라는
확신을가지려 하는 방법
1.4 몰입상승현상
- 분명히 잘못된 결정이나 실패할 것이 확실한 일에 고집스럽게 집착하는 심리를 말한다.
- 원인으로는 의사결정자의 자기합리화, 독박꾼의 착각, 지각결함, 그리고 함몰비용에 대한 미련등이 있다
의사결정시 한 가지 기준을 가지고 명쾌하게 선택 할 수 없는경우, 과학적 합리성 이외의
방법을 활용
제 2절 의사결정의 수준
그림 11-2 삽입
2.1 개인의사결정
- 개인의사결정은 개인이 혼자서 판단, 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