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종교개혁 The Reformation
자유주의 신학과 신정통주의 신학
바르트의 성서관
자유주의 신학과 신정통주의 신학
바르트의 성서관
본문내용
킨타이어: 유명한 반공주이자)에 의해
*암스텔담에서 ICC (International Council christan df church: 국제 기독교 협의회)를
만듬. : 신근본주의 세력 규합, 빌리그래함, 신복음주의자들도 정죄.
* Buswell을 중심으로 세인트 루이스에 신학교인 Covenent ~ 설립. “복음장로교회” 교단 이라 칭함
▽ 근본주의라는 개념이 안좋은 인식을 가지게 되자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서는 자신들을
개혁주의라 함 -- 극단적, 보수적으로 흐르는 개혁주의임.(김명용 교수曰)
신근본주의를 개혁주의로 규정, 신정통주의를 인정하지 않는 우를 범함.
ㅇ. 복음주의←어찌보면 근본주의의 후예라고 볼 수 있으나 근본주의를 비판하여 자신을 구별
* 근본주의를 떠난 보수주의자들중 상당수는 신정통주의에 가담.
예) 미국- 니버: 대표적 신정통주의자
*근본주의와도 신정통주의자와도 자기를 일치시키지 못하는 사람들에의해 1947년 Fuller
신학교가 개교됨 - Ockenga, Herry. Harrison. Ramm.
*이들중 Ockenga가 자신들의 운동을 “신복음주의 운동”이라 규정
K. henry는 크리스쳔 투데이 잡지를 편집, 출간하여 신복음주의를 선전 -빌리그래함도
여기에 속함, 독일의 신학자 P. Bayerhaus도 여기에 가담(그와 몰트만은 둘다 튀빙겐
출신이면서 라이벌 관계이다.)
* 19세기 말 ~ 20세기 초, 미국에 R.A.Torry(대천덕 신부 친할아버지)라는 부흥사에 의해
복음주의 운동 있었다. 이시기 운동과의 혼란을 피하기 위해 부흥운동의 연장선에서
있었던 운동.
Ockenga는 신복음주의 운동이라 명명. 지금은 그냥 ‘복음주의’라고 함.
* WCC는 1968년 웁살라 대회 -“하나님의 선교” 개념 제시
W.C.C의 급진화(, 1973. 방콕대회) 운동 강화, 자신의 세력 결집.
* 1974년, 로잔 세계복음화 대회 개최. (wcc에 대항해서)
* 신복음주의라는 용어가 신정통주의의 신신학 이미지와 비슷할 것 같아 그냥 복음주의라
는 용어 사용
1974년 로잔 세계 복음화 대회 문서에 그들의 사상 잘 나타남, 그러나 새로운 보수신앙
으로 강한 힘을 가진 곳이 이 운동임. 신정통주의는 WCC에 포함됨 WCC안에서
가장 보수적 그룹으로 존재. WCC의 양면성: 보수성(신정통주의자)과 급진성(자유주의자)
* WCC의 에큐메니칼 운동에 대항하는 새로운 보수주의 운동이 복음주의 운동임
ACTS : 복음주의
감신 : 자유주의
합동(총신): 근본주의
한신: 역사참여←김재준 목사 영향(신정통주의:전경연, 박봉랑) +(안병무, 서남동)
장신: 근본주의 + 복음주의 + 신정통주의
성서적 복음주의(이종성) - 성경을 중심으로 신학을 함 (복음주의적 에큐메니칼 신학)
*복음주의의 특징
ㄱ. 근본주의 비판(역사성 결여, 문서운동 결여, 분리정책), 협력적 전도로 나아감 :
협력정책 --예수 그리스도의 선교를 위해 어지간하면 협력하자. -세상속에서의 선교,
세상을 변화시키는 선교 주장.
ㄴ. 성경무오의 신앙 - 성경의 비평 인정하지 않음, 성경비평학 거부.
최근에는 low criticism은 받아들이지만 high ~은 거부한다.
ㄷ. 과학과 성경의조화를 위해 노력 - 6일 창조설을 6시대 창조설로 바꿈(6시대 구분
<근본주의의 약점>
1) 너무 축자영감에 빠져있음
2) 문자주의에 빠져있음
3) 관용심이 결여됨 - 다른 시각을 가진 사람과는 “식탁에 같이 앉지도 않는다”
한국 장로교단이 이토록 나눠지는 이유는 근본주의 때문이다.
4) 사회적 관심이 희박하다. -흑백문제, 기아문제 등등의 사회적 책임에 관심이 없다.
5) 타계적 신앙에 집중되어있다.
역사는 갈수록 나빠진다고 본다. 역사 비관주의를 가지고 있다.
이런 역사인식은 근본주의와 세대주의의 공통적 내용이며 미국 부흥운동 속에서도
발견된다. 이세상을 장망성(장차망할 성)이라고 본다.
<근본주의의 장점>
1)성경을 사랑하는 열정이 높다.
2) 중요한 교리를 지킴
3) 기독교의 초자연적인 요소를 지킴.
* 김재준 목사는 신정통주의자다.
그는 역사책임적 신학을 전개하여 한국 진보신학의 아버지가 되었다.
그의 그 성향도 바르트의 바르멘 선언등 등에 영향을 받았다고 본다.
에 의해 창조됨) 첫째날 : 한시기, 기간으로 생각.
근본주의자들의 비난받음 → 하나님의 시간으로서의 하루는 24시간 아님.
(과학에 아첨하는 자라고) 과학과 성경을 모두 살림
▲ 과학과 성경의 무리한 조화로 인해 생겨난 문제점 해결 :
창 5장의 족보 : 주전 4000년에 창조가 있었다는 결론이 나옴. -간격이론 만듬: 아담→
창 5장→ 셋 →에노스 : 에노스가 셋의 친아들이 아닌 후손임을 애기하는 것임. 섯,
에노스 사이에 간격 있음, 필요한 사람만 기록.
노아홍수 : 방주 안에 들어간 모든 생물, 모두 들어갈 수 있었을까? 부극곰, 펭귄,
고릴라를 어떻게 이동할 수 있었을까? Ramm 이 온 땅을 덮었다는 “온”을 전셰계아닌
메소포타미아 지역으로 규정 - 전세계 홍수설이 아닌 지역 홍수설 주장.
* 정치적 중립 : 당파성 싫어함, 정치적 문제에 중립지킴
* 선교에 우선권 가짐
바르트의 성서관
1.. 하나님의 말씀의 삼중양태
1) 예수 그리스도 - 계시된 말씀
2) 성서 - 기록된 말씀
3) 설교 - 선포된 말씀
바르트가 히틀러와 싸우고 있을 때에는 세 가지 양태만, 후기 바르트에 가서 는 세 가지만에서 ‘만’자가 사라진다.
가장 근원적인 하나님의 말씀은 예수 그리스도, 성경은 이차적인 의미에서의 말씀. 그러므로 성서는 비평할 수 있다고 봄. 예수 그리스도의 정신과 맞지 안을 때는 성경도 비판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두 번째 권위는 성경.
세 번째 권위인 설교는 성경에 일치해야. 그렇지 않으면 성경에 의해 비판을 받아야.
성경과 교회의 선포 사이에 신학의 자리가 있다: 교회의 설교는 신학적으로 비판을 받아야 한다. 그것은 곧, 성경과 일치하는가의 비판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
2. 하나님의 말씀이면서 인간적 증언인 성서
바르트는 성서가 두 가지 특징이 있다고 봄. 성경은 첫째로는 하나님의 말씀이고, 둘
*암스텔담에서 ICC (International Council christan df church: 국제 기독교 협의회)를
만듬. : 신근본주의 세력 규합, 빌리그래함, 신복음주의자들도 정죄.
* Buswell을 중심으로 세인트 루이스에 신학교인 Covenent ~ 설립. “복음장로교회” 교단 이라 칭함
▽ 근본주의라는 개념이 안좋은 인식을 가지게 되자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서는 자신들을
개혁주의라 함 -- 극단적, 보수적으로 흐르는 개혁주의임.(김명용 교수曰)
신근본주의를 개혁주의로 규정, 신정통주의를 인정하지 않는 우를 범함.
ㅇ. 복음주의←어찌보면 근본주의의 후예라고 볼 수 있으나 근본주의를 비판하여 자신을 구별
* 근본주의를 떠난 보수주의자들중 상당수는 신정통주의에 가담.
예) 미국- 니버: 대표적 신정통주의자
*근본주의와도 신정통주의자와도 자기를 일치시키지 못하는 사람들에의해 1947년 Fuller
신학교가 개교됨 - Ockenga, Herry. Harrison. Ramm.
*이들중 Ockenga가 자신들의 운동을 “신복음주의 운동”이라 규정
K. henry는 크리스쳔 투데이 잡지를 편집, 출간하여 신복음주의를 선전 -빌리그래함도
여기에 속함, 독일의 신학자 P. Bayerhaus도 여기에 가담(그와 몰트만은 둘다 튀빙겐
출신이면서 라이벌 관계이다.)
* 19세기 말 ~ 20세기 초, 미국에 R.A.Torry(대천덕 신부 친할아버지)라는 부흥사에 의해
복음주의 운동 있었다. 이시기 운동과의 혼란을 피하기 위해 부흥운동의 연장선에서
있었던 운동.
Ockenga는 신복음주의 운동이라 명명. 지금은 그냥 ‘복음주의’라고 함.
* WCC는 1968년 웁살라 대회 -“하나님의 선교” 개념 제시
W.C.C의 급진화(, 1973. 방콕대회) 운동 강화, 자신의 세력 결집.
* 1974년, 로잔 세계복음화 대회 개최. (wcc에 대항해서)
* 신복음주의라는 용어가 신정통주의의 신신학 이미지와 비슷할 것 같아 그냥 복음주의라
는 용어 사용
1974년 로잔 세계 복음화 대회 문서에 그들의 사상 잘 나타남, 그러나 새로운 보수신앙
으로 강한 힘을 가진 곳이 이 운동임. 신정통주의는 WCC에 포함됨 WCC안에서
가장 보수적 그룹으로 존재. WCC의 양면성: 보수성(신정통주의자)과 급진성(자유주의자)
* WCC의 에큐메니칼 운동에 대항하는 새로운 보수주의 운동이 복음주의 운동임
ACTS : 복음주의
감신 : 자유주의
합동(총신): 근본주의
한신: 역사참여←김재준 목사 영향(신정통주의:전경연, 박봉랑) +(안병무, 서남동)
장신: 근본주의 + 복음주의 + 신정통주의
성서적 복음주의(이종성) - 성경을 중심으로 신학을 함 (복음주의적 에큐메니칼 신학)
*복음주의의 특징
ㄱ. 근본주의 비판(역사성 결여, 문서운동 결여, 분리정책), 협력적 전도로 나아감 :
협력정책 --예수 그리스도의 선교를 위해 어지간하면 협력하자. -세상속에서의 선교,
세상을 변화시키는 선교 주장.
ㄴ. 성경무오의 신앙 - 성경의 비평 인정하지 않음, 성경비평학 거부.
최근에는 low criticism은 받아들이지만 high ~은 거부한다.
ㄷ. 과학과 성경의조화를 위해 노력 - 6일 창조설을 6시대 창조설로 바꿈(6시대 구분
<근본주의의 약점>
1) 너무 축자영감에 빠져있음
2) 문자주의에 빠져있음
3) 관용심이 결여됨 - 다른 시각을 가진 사람과는 “식탁에 같이 앉지도 않는다”
한국 장로교단이 이토록 나눠지는 이유는 근본주의 때문이다.
4) 사회적 관심이 희박하다. -흑백문제, 기아문제 등등의 사회적 책임에 관심이 없다.
5) 타계적 신앙에 집중되어있다.
역사는 갈수록 나빠진다고 본다. 역사 비관주의를 가지고 있다.
이런 역사인식은 근본주의와 세대주의의 공통적 내용이며 미국 부흥운동 속에서도
발견된다. 이세상을 장망성(장차망할 성)이라고 본다.
<근본주의의 장점>
1)성경을 사랑하는 열정이 높다.
2) 중요한 교리를 지킴
3) 기독교의 초자연적인 요소를 지킴.
* 김재준 목사는 신정통주의자다.
그는 역사책임적 신학을 전개하여 한국 진보신학의 아버지가 되었다.
그의 그 성향도 바르트의 바르멘 선언등 등에 영향을 받았다고 본다.
에 의해 창조됨) 첫째날 : 한시기, 기간으로 생각.
근본주의자들의 비난받음 → 하나님의 시간으로서의 하루는 24시간 아님.
(과학에 아첨하는 자라고) 과학과 성경을 모두 살림
▲ 과학과 성경의 무리한 조화로 인해 생겨난 문제점 해결 :
창 5장의 족보 : 주전 4000년에 창조가 있었다는 결론이 나옴. -간격이론 만듬: 아담→
창 5장→ 셋 →에노스 : 에노스가 셋의 친아들이 아닌 후손임을 애기하는 것임. 섯,
에노스 사이에 간격 있음, 필요한 사람만 기록.
노아홍수 : 방주 안에 들어간 모든 생물, 모두 들어갈 수 있었을까? 부극곰, 펭귄,
고릴라를 어떻게 이동할 수 있었을까? Ramm 이 온 땅을 덮었다는 “온”을 전셰계아닌
메소포타미아 지역으로 규정 - 전세계 홍수설이 아닌 지역 홍수설 주장.
* 정치적 중립 : 당파성 싫어함, 정치적 문제에 중립지킴
* 선교에 우선권 가짐
바르트의 성서관
1.. 하나님의 말씀의 삼중양태
1) 예수 그리스도 - 계시된 말씀
2) 성서 - 기록된 말씀
3) 설교 - 선포된 말씀
바르트가 히틀러와 싸우고 있을 때에는 세 가지 양태만, 후기 바르트에 가서 는 세 가지만에서 ‘만’자가 사라진다.
가장 근원적인 하나님의 말씀은 예수 그리스도, 성경은 이차적인 의미에서의 말씀. 그러므로 성서는 비평할 수 있다고 봄. 예수 그리스도의 정신과 맞지 안을 때는 성경도 비판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두 번째 권위는 성경.
세 번째 권위인 설교는 성경에 일치해야. 그렇지 않으면 성경에 의해 비판을 받아야.
성경과 교회의 선포 사이에 신학의 자리가 있다: 교회의 설교는 신학적으로 비판을 받아야 한다. 그것은 곧, 성경과 일치하는가의 비판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
2. 하나님의 말씀이면서 인간적 증언인 성서
바르트는 성서가 두 가지 특징이 있다고 봄. 성경은 첫째로는 하나님의 말씀이고, 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