몬테소리 교육방법의 개별화 학습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몬테소리 교육방법의 개별화 학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창의성교육 유의점
문제 파악
학습 문제 인식
자료 수집 및 관찰
해결 방법 구상
대집단학습
개인
학습
대집단
학습
전시 학습상기
학습 장면
설정 및 동기유발
학습문제 확인
◎ 길이를 재어 본 생활 경험 말하기
옷 살 때, 핫도그 살 때, 키 비교할 때
◎ 녹화 테이프에서 수준별 학습문제 만들기
(수준별 학습 문제 만들기의 개별화)
(멀티화면에 생각 그물을 만들어 보여준다)
♣ 생활 속에서 창의적인 학습문제를
구성한다,
장면1-비이커의 물의 높이 비교하기
쌓기 나무의 높이 비교하기
장면2-깡통의 둘레 비교하기
장면3-연필의 길이의 비교,
색 테이프의 길이 비교하기
◎ 공통점 말하기(출발점확인)
길이,높이,둘레,두께들의 길이 비교하기
◎ 학습 문제 찾기
두 물체의 길이를 비교하여 어느 것이 더 큰지 말해보자.
※학습문제 두 부분으로 나누어 알아보기
①물체의 길이를 비교하기
②어느 것이 큰지 알아보기
◎ 수준별 학습 목표의 개별화
1단계: 학용품의 길이 비교하기(기본 학습)
2단계 : 친구의 키 비교하기(높이)-(발전 학습)
3단계 :움직일 수 없는 물체의 크기 비 교하기(심화 학습)
교실의 운동장의 나무 둘레 비교,
◎ 수준별 학습 방법의 개별화
1단계 : 눈으로, 손으로 비교하기
2단계 : 기준이 되는 물건으로 간접 비교하기
(종이, 연필, 노끈, 실 )
3단계 : 보편적인 길이 재는 도구로 비 교하기(자의 필요성)
◎ 학습 절차의 개별화
소집단별 자리 선택하기
해결 방법 예상하기(개인)
모둠별 해결방법 말해보기(집단)
5′
5'
※실생활 주변의
모습에서 찾아본다
□ 실생활 장면과 관련된 비디오 테입 자료
(시각적 학습문제 상황 제시)
□ 프로잭션 TV,
비디오 테입
※ 출발점 확인 결과에 따라 수준별 그룹을 선택하게 한다.
※ 학습 목표의
세분화
※ 핵심 지도요소는 가 급적 활동 과제로 한다.
※ 직접 조작하여 비 교하거나 기준 물건 으로 간접 비교하여 알아본다.
단 계
학습요항
교 수·학 습 활 동
시간
□자료 및
※인성교육 유의점
문제 해결
(관찰 및 조작
활동)
추측 및 잠정적 일반화
검증
일반화
학습정리
적용
소집단학습
개인학습
대집단
학습
개인학습
학습문제 토의
해결내용 검토
개념의
정리
실생활과 관련 짓기
차시예고
◎ 소집단 활동 전개
활동1 : 학용품의 길이 비교하기
· 자료 상자에서 학습물 선택하기
· 직접 비교하여 순서 정하기
· 길이의 순서 정하기
활동2 : 친구의 키 비교하기(높이)
·짝과 비교하여 누가 더 크나 알아보기
·두 사람을 정하여 비교하기
·비슷한 크기의 친구 찾아서 비교하기
·키 큰 순서 정하기
활동3 : 움직일 수 없는 물체의 크기 비 교하기(매개물을 이용하기)
·교실 창문과 책상의 가로의 길이 비교하기
·창문의 가로 세로의 길이 비교하기
·보다 크다, 작다로 나타내기
◎ 소집단 토의 학습하기
학습한 내용 발표로 학습 내용 다지기
모둠의 발표왕 뽑기로 토의 학습 정착
교과서에서 학습 결과 확인하기
자기 평가의 개별화
◎ 학습 원리 발견
① 직접 비교하여 길이를 비교한다
②직접 비교할 수 없는 것은 다른 물체 를 이용하여 비교한다.
◎ 개별, 선택 학습지 하기
보충 학습지
수학(71쪽), 수학 익힘책 (76쪽)
◎ 선택 학습
다른 코너의 자료 조작하기
선택학습지
창의성 학습지
◎ 학습 정리 확인 및 반성
공부한 소감 말하기
(칭찬 릴레이)로 토의학습의 실천
♣생활 속에서 길이를 비교하여 본 경험 을 실천하여 수학의 생활화를 실천한다.
바지를 살 때 실로 길이를 재어 간다.
자료 정리 정돈 및 수업 반성
학습 재확인 및 과제 제시
·공통된 기준이 되는 물체 알아보기
5′
10′
5′
5′
5′
□ 학습 상자 12조
□ 몽당연필, 자, 색 테이프, 종이테이 프, 노끈, 지우개
※ 조작 활동을 통 해 길이의 개념이 정리되도록 충분한 시간을 준다.
※ 학습 평가의
개별화
※ 검증 자료에서
학습 원리를 비교한 다.
※ 미통과자는 보충 학습지 및 대면 치료로 해결 한다.
□ 선택, 창의성
학습지
※모둠별 발표를 잘한 아동을 칭찬하면서 릴레이식으로 이어간다.
※실생활에서 수학과 관련된 부분을 수학 일기 쓰기로 연관 시켜 창의적 사고 기능을 향상 시킨다.
※ 참고문헌
1. 서울특별시교육연구원, '학습개별화의 원리와 실제', 교원연수도서 16, 1989.
2. 김문빈·박종원 편저, '열린교육 첫걸음', 서울 : 지성의 샘, 1994.
3. 서울특별시교육연구원, '서울교육', 통권 141호('95 가을호), 1995.
4. 한형식, '수업개혁', 서울 : 교육과학사, 1995.
5. 전국열린교실연구응용학회편, '열린수업모형탐구', 경기, 도서출판 열린교실, 1996.
6. 김문빈, '개별화 교육과 수업개혁', 수업기술 나누어갖기 캠페인 자료, 1997.
7. 서울특별시성동교육청, '개별화 학습 이렇게 했습니다', '97수업개선 연구교사 수업사례집, 1997.
8. 서울특별시교육과학연구원, '3학년의 개별화 학습', 1999.
9. 김경희, 열린사회를 위한 자기주도적 학습, 교육월보 9월호, 1998.
10. 박도희, 초등학교의 학습자중심 교육운영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997.
11. 서인석, 열린교육에서의 개별화 교수 모형이 아동의 자기표현 능력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998.
12. 장동선, 수준별 교육과정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여건 조성 방안, 1997.
13. 정진곤, 교육활동에서 개인차 존중의 중요성, 교육월보, 1997.
14. 김천호, 열린학습 교수의 설계와 지도, 충북학습지도연구회편, 1998.
15. 김천호, 교단선진화를 통한 열린학습교수전략, 교단선진화연구회, 1998.
16. 김천호, 국어과 열린학습 교수전략, 초등국어교과교육연구회, 1998.
17. 김천호, 자연과 열린학습 교수전략, 초등자연교과교육연구회, 1998.
18. 충청북도교육청, 열린교실 열린학습, 협신사, 열린교육교과연구회, 1997.
19. 충청북도교육청, 열린교실 열린수업, 협신사, 열린교육교과연구회, 1998.
20. 교육부, 교육월보, 171호, 1996.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64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