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지장이 없는 시설을 갖춘 의료기관을 말한다.(의료법 제3조 제7항)
우리 의료법에 의한 병원의 정의는 의료인의 진료기능만 강조한 경향이 있어, 병원의 또 다른 기능인 연구 및 의료서비스에 대한 내용도 포함하여 병원의 사회적 중요성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1. 건강증진의 정의
\' 건강 \' 을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 Health is a dynamic state of complete physical, mental, social and spiritual well-being and not merely the absence of disease or infirmity.\"
건강이란 완전한 신체적 · 정신적 · 사회적 · 영적으로 안녕한 역동적 상태이고 단순히 질병이 없거나 허약하지 않은 것이 아니다. 라고 정의하였다.
여기서 well-being이라는 말을 사전적으로 본다면 행복, 안녕, 복지 등으로 단순히 경제적으로 잘 먹고 잘 사는 것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육체적 · 심리적 · 정신적 · 영적으로 건강하고 풍요롭고 또한 문화적인 생활을 영위하는 삶의 질(quality of life, QOL)을 강조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Magilvy, 1985).
\' 건강증진\' 을 1986년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ealth Promotion의 Ottawa Charter에서는 \" Health promotion is the process of enabling people to increase control over, and to improve, their health.\"
건강증진은 사람들이 자신의 건강을 제어하고 개선할 수 있게 하는 과정이다. 라고 정의하였다.
Breslow(1993)는 건강증진은 질적 · 양적으로 삶의 가능성을 충분히 향상시키는 모든 수단들로서 특정 질환에 대한 예방 이상의 의미를 갖고 있는 것, 즉 신체적 · 정신적 기능을 유지 및 증대시키고 건강에 해로운 요인에 대한 저항력을 기르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고 하였다.
\' 건강증진 \' 의 의미를 WHO의 \' 건강 \' 의 정의와 연결시켜 생각해 보면, 정신적 · 신체적 · 사회적 · 영적 건강상태를 최상의 상태로 유지 · 개선하기 위한 모든 과정을 말하며, 생활방식 · 생활습관의 행동수정과 자연치유 등의 건강증진행위에 의한 구체적 건강증진과
최상의 건강상태를 유지하는 궁극적 건강증진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우리 의료법에 의한 병원의 정의는 의료인의 진료기능만 강조한 경향이 있어, 병원의 또 다른 기능인 연구 및 의료서비스에 대한 내용도 포함하여 병원의 사회적 중요성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1. 건강증진의 정의
\' 건강 \' 을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 Health is a dynamic state of complete physical, mental, social and spiritual well-being and not merely the absence of disease or infirmity.\"
건강이란 완전한 신체적 · 정신적 · 사회적 · 영적으로 안녕한 역동적 상태이고 단순히 질병이 없거나 허약하지 않은 것이 아니다. 라고 정의하였다.
여기서 well-being이라는 말을 사전적으로 본다면 행복, 안녕, 복지 등으로 단순히 경제적으로 잘 먹고 잘 사는 것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육체적 · 심리적 · 정신적 · 영적으로 건강하고 풍요롭고 또한 문화적인 생활을 영위하는 삶의 질(quality of life, QOL)을 강조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Magilvy, 1985).
\' 건강증진\' 을 1986년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ealth Promotion의 Ottawa Charter에서는 \" Health promotion is the process of enabling people to increase control over, and to improve, their health.\"
건강증진은 사람들이 자신의 건강을 제어하고 개선할 수 있게 하는 과정이다. 라고 정의하였다.
Breslow(1993)는 건강증진은 질적 · 양적으로 삶의 가능성을 충분히 향상시키는 모든 수단들로서 특정 질환에 대한 예방 이상의 의미를 갖고 있는 것, 즉 신체적 · 정신적 기능을 유지 및 증대시키고 건강에 해로운 요인에 대한 저항력을 기르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고 하였다.
\' 건강증진 \' 의 의미를 WHO의 \' 건강 \' 의 정의와 연결시켜 생각해 보면, 정신적 · 신체적 · 사회적 · 영적 건강상태를 최상의 상태로 유지 · 개선하기 위한 모든 과정을 말하며, 생활방식 · 생활습관의 행동수정과 자연치유 등의 건강증진행위에 의한 구체적 건강증진과
최상의 건강상태를 유지하는 궁극적 건강증진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추천자료
정보화 사회의 순기능과 역기능
간호 관리학 (제 3장 인사기능과 간호적용제 4장 지휘기능과 간호적용)
갑상선 기능항진증과 기능저하증
약선음식의 이해(당뇨,고혈압,간질환,변비,성기능,배뇨기능)
[가족복지]가족의 기능, 현대가족의 성격, 현대사회와 가족문제, 가족복지의 개념, 가족복지...
[간호지도자론E]민츠버그가 제시한 ‘관리자의 10가지 기능’에 근거하여, 자신이 속해 있는 조...
ES,OBGY질환 조사 (단순 갑상샘종,갑상샘 기능 항진증,갑상샘 기능 저하증/유방암/자궁근종,...
성기능 성주체성장애 섭식장애 적응장애 인격 장애
(간호지도자론A형)민츠버그가 제시한 '관리자의 10가지 기능'에 근거하여, 자신이 속해 있는 ...
[갑상선][갑상샘][갑상선호르몬][갑상선기능장애][갑상선암]갑상선(갑상샘)의 정의, 갑상선(...
동간호학 뒷부분 정리 - 두개내 감염, 발작장애, 뇌기형 & 내분비 기능장애 아동 (췌장 ...
정신보건사회 사업의 기능과 나아갈 방향 제언 (정신보건사회복지 개념, 정신보건사회복지의 ...
[교육사회학]교육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대립된 시각(기능이론, 갈등이론)을 비교하고, 각 주...
정신보건사회복지의 기능과 역할(정신보건사회복지의 실천영역 기능 정신보건전문요원 정신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