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사역을 예수 그리스도를 증거하고 그분과 우리를 연결시켜 주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그런 성경적 관점에서 성령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서론
서론에서 저자는 강력한 성령의 역사에 대해서 이야기 한다. 현대의 교회들이 많이 변질되어 있고, 그로 인해 많은 질타를 받고 있다. 하지만아합시대에 엘리야 외에 바알에게 무릎 꿇지 않는 칠천명을 남겨두신 하나님의 역사가 지금도 성령을 통해서 하나님의 교회 가운데 나타나고 있다. 저자는 이 성령의 역사가 지금도 개인과 교회에 나타나고 있다고 이야기 한다.
1장 : 성령 제대로 보기
저자는 칼뱅의 비유를 인용하면서 근시를 가진 사람이 어떻게 눈에 초점을 맞출 수 있는지를 이야기 한다. 그것은 안경을 통해서 가능하다. 저자는 우리가 성령을 아는 지식에서 성경이 이 안경과 같은 작용을 한다고 말한다. 죄로 인해 왜곡되고 자기 중심적인 시각을 가진 인간은 성경을 통해서만 바르게 삼위일체 하나님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우리가 비록 성경에서 이야기 하는 성령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할 때에도 성령은 우리에게 역사하신다. 예수님의 제자들이 예수님에 대해서 잘 알지 못했지만 예수님은 그 제자들을 만나주시고, 그들에게 기적을 베풀어 주셨다. 마찬가지로 우리가 성령에 대해서 성경적으로 정립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성령은 우리를 만나주시며 우리에게 은혜를 베풀어 주신다. 그 후 성령은 성경을 통하여 우리의 잘못된 생각을 바로 잡아 주신다. 저자는 성령을 보는 측면들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그것의 장점과 단점을 지적한다.
능력
사람들이 성령을 보는 첫번째 견해는 능력이다. 성령이 능력을 주신다는 것에 대해서 부정적인 견해가 많지만 저자는 이것이 성령의 올바른 이해라고 말한다. 저자는 성경의 여러 구절을 인용하면서 기독교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하나님이 주시는 초자연적인 능력으로 하나님의 일을 감당하는 종교라고 말한다. 그리고 그 능력을 주시는 분을 성령이라고 이야기 한다.
\"내게 능력 주시는 자 안에서 내가 모든 것을 할 수 있는니라(빌4:13)\"
복음주의가 이런 성령의 능력에 대해 부정적인 경향을 가지게 된 것은 감리교의 영향이 강하다. 감리교의 창시자 웨슬리는 성령이 우리는 성결케 하며, 그 성결은 이 땅에서 완전히 이루어질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대해 복음주의는 이 땅에서의 완전한 성결을 부정하면서 성령의 능력을 제한 하게 되었다.
이에 반대해 복음주의 내에서도 케직운동들을 통해 성령의 능력에 대해 강조하는 경향이 일어났다. 저자는 성령의 능력에 대해서는 긍적으로 받아들이지만 케직운동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경향을 가진다. 그것은 케직교리가 마치 꼭지를 돌리면 물이 나오도 수도꼭지처럼 우리가 성령과 수도관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처럼 설명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저자는 그리스도인의 삶의 핵심으니 죄된 육신과의 끊임없는 싸움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죄된 육체와의 싸움이 빠지거나 이것을 소홀히 하면 복음의 가장 중요한 부분을 망각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저자는 현대에도 예수님만 믿으면 자신의 삶을 제어하고 통제할 특?
서론
서론에서 저자는 강력한 성령의 역사에 대해서 이야기 한다. 현대의 교회들이 많이 변질되어 있고, 그로 인해 많은 질타를 받고 있다. 하지만아합시대에 엘리야 외에 바알에게 무릎 꿇지 않는 칠천명을 남겨두신 하나님의 역사가 지금도 성령을 통해서 하나님의 교회 가운데 나타나고 있다. 저자는 이 성령의 역사가 지금도 개인과 교회에 나타나고 있다고 이야기 한다.
1장 : 성령 제대로 보기
저자는 칼뱅의 비유를 인용하면서 근시를 가진 사람이 어떻게 눈에 초점을 맞출 수 있는지를 이야기 한다. 그것은 안경을 통해서 가능하다. 저자는 우리가 성령을 아는 지식에서 성경이 이 안경과 같은 작용을 한다고 말한다. 죄로 인해 왜곡되고 자기 중심적인 시각을 가진 인간은 성경을 통해서만 바르게 삼위일체 하나님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우리가 비록 성경에서 이야기 하는 성령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할 때에도 성령은 우리에게 역사하신다. 예수님의 제자들이 예수님에 대해서 잘 알지 못했지만 예수님은 그 제자들을 만나주시고, 그들에게 기적을 베풀어 주셨다. 마찬가지로 우리가 성령에 대해서 성경적으로 정립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성령은 우리를 만나주시며 우리에게 은혜를 베풀어 주신다. 그 후 성령은 성경을 통하여 우리의 잘못된 생각을 바로 잡아 주신다. 저자는 성령을 보는 측면들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그것의 장점과 단점을 지적한다.
능력
사람들이 성령을 보는 첫번째 견해는 능력이다. 성령이 능력을 주신다는 것에 대해서 부정적인 견해가 많지만 저자는 이것이 성령의 올바른 이해라고 말한다. 저자는 성경의 여러 구절을 인용하면서 기독교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하나님이 주시는 초자연적인 능력으로 하나님의 일을 감당하는 종교라고 말한다. 그리고 그 능력을 주시는 분을 성령이라고 이야기 한다.
\"내게 능력 주시는 자 안에서 내가 모든 것을 할 수 있는니라(빌4:13)\"
복음주의가 이런 성령의 능력에 대해 부정적인 경향을 가지게 된 것은 감리교의 영향이 강하다. 감리교의 창시자 웨슬리는 성령이 우리는 성결케 하며, 그 성결은 이 땅에서 완전히 이루어질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대해 복음주의는 이 땅에서의 완전한 성결을 부정하면서 성령의 능력을 제한 하게 되었다.
이에 반대해 복음주의 내에서도 케직운동들을 통해 성령의 능력에 대해 강조하는 경향이 일어났다. 저자는 성령의 능력에 대해서는 긍적으로 받아들이지만 케직운동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경향을 가진다. 그것은 케직교리가 마치 꼭지를 돌리면 물이 나오도 수도꼭지처럼 우리가 성령과 수도관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처럼 설명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저자는 그리스도인의 삶의 핵심으니 죄된 육신과의 끊임없는 싸움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죄된 육체와의 싸움이 빠지거나 이것을 소홀히 하면 복음의 가장 중요한 부분을 망각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저자는 현대에도 예수님만 믿으면 자신의 삶을 제어하고 통제할 특?
추천자료
[과학혁명의 구조][토마스 쿤][독후감][독서감상문][서평]과학혁명의 구조를 읽고(토마스 쿤)...
[경영학원론]기업의 경쟁력강화를 위한 지식경영 사례분석
[대학교육]한국사회 지식인의 제 문제와 대학의 진단
[ 독서 감상문 ] Knowledge Driver 지식 드라이버
철학의 이해 요약 [제1장 철학이란 무엇인가, 제2장 진리란 무엇인가, 제3장 세계란 무엇인가...
유가 사상의 현대적 의미와 지식정보사회 이데올로기
건강가정사가 담당해야 하는 역할은 무엇이며 이를 적절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어떤 지식이 요...
자유와 평등을 향한 식민지 지식인의 갈등 - 『아시아의 고아』를 읽고 _ 우줘류(우줘어류) 저
(사회복지조사론) 과학적 지식 추출방법과 조사연구
제 2장 모형중심의 체육수업에 필요한 교사 지식
성과 성 역할,남성과 여성의 콤플렉스,성지식 테스트,남녀의 성,인공임신중절,피임의 종류와 ...
세종대학교 서양고전강독 시험범위 강의 내용 정리 노트 필기 정리(지식의 쇠퇴 파에드로스 ...
사회복지조사론)과학과 사회과학 중 일상적 지식 형성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오류를 정리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