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스포츠의 유형과 개념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스포츠의 유형과 개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으로 보고, 그 장점을 도시에 사는 이들에게 접목한 방법
#특징
1.서 있을 때뿐 아니라 걸을 때도 목과 허리.다리가 꼿꼿하다.
머리의 중앙을 통과한 중심선은 어깨.척추 그리고 다리의 가운데를 지난다.
반면 현대인은 머리가 앞쪽으로 기울어 중심선이 앞에 위치한다.
2. 모든 다리 근육을 골고루 사용한다는 점이다.
몸의 중심선이 가운데에 위치하기 때문에 다리 앞쪽뿐 아니라
걸을 때 뒤쪽 근육도 함께 단련된다.
하지만 현대인은 몸이 앞으로 기울어 앞쪽 허벅지 근육만 사용한다.
3.많이 걷는다는 것이다.
하루 2만보 이상 걷는 마사이족의 심장이 튼튼하지 않을 수 없다.
마사이 워킹은 발뒤꿈치부터 착지해 발 중앙부(외측 가장자리)에서
발가락 뿌리 쪽으로 무게중심을 이동한다.
일반적인 걸음걸이의 이동순서와 다를 바 없다.
하지만 몸의 중심선을 중앙에 위치한 채 발을 차듯 내딛기 때문에
몸무게가 앞으로 쏠리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4. 발목.골반.어깨가 많이 회전한다는 것이다.
바닥이 딱딱한 신발은 뒤꿈치와 앞꿈치에만 힘이 들어가기 때문에
발목관절을 충분히 사용하지 못한다.
또 허벅지 앞쪽에 힘이 들어가 골반회전도 작다.
허리가 구부정하니 어깨도 거의 고정된 채 걷는다.
★파워라이저
#파워라이저란? 한국의 파워라이저(주)가 2001년 2월 스프링을 자체 개발해 만든 레저스포츠 기구이다. 힘을 뜻하는 \'파워(power)\'와 뛰어오르는 사람을 뜻하는 \'라이저(riser)\'의 합성어이다.
힘과 스피드를 즐기려는 스포츠 마니아들에게 고공점프의 스릴과 재미를 제공할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특수 제작된 스프링이 사용자의 체중으로 인해 둥글게 구부러지면서 변형되었다가, 그 힘이 사라지는 순간 스프링이 원래의 상태로 펴지면서 수직 에너지를 발생시켜 사용자를 공중으로 솟아오르게 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최고 2.5m까지 뛰어오를 수 있는데, 넘어질 경우 위험하기 때문에 헬멧과 손목·팔꿈치·무릎 보호대를 착용해야 한다. 또 울퉁불퉁한 곳에서는 위험하고, 공원과 같이 넓고 평평한 곳에서 타야 안전하다. 양쪽 발에 똑같이 생긴 특수 신발을 신고 하는 레저스포츠로, 인라인스케이팅처럼 걷거나 뛸 수도 있다.
#동호회 및 동호인 수
현재 다음 까페(cafe.daum.net/poweriser)에서 2천여 명의 회원이 활동하고 있다.
★무빙바스킷볼
#무빙바스킷볼이란? 지름 30센티미터의 원 안에 한 선수를 골대 대신 세워 놓고 하는 농구. 골대를 대신하는 선수는 움직일 수 있다.
#장비
1.공
무빙 바스켓은 배구공이나 비치발리볼을 사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참가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탱탱볼, 비치볼, 축구공 혹은 농구공으로 대체하여 난 이도를 조절할 수 있다.
2.바스켓
무빙바스켓 전용으로 만들어진 것으로서 어린이용 자전거 바퀴에 농구골 망을 달아서 공 을 손쉽게 받을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규칙
● 선수의 수와 선수 교체
- 한팀은 골대1명을 포함하여 총 5명으로 구성한다.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동이 가능하며 최소 4명에서 7명까지 경기할 수 있다. 인원수 에 따라서 코트의 규격을 달리한다.
- 교체는 수시로 할 수 있으며 반드시 심판에게 의사를 전달한 뒤 심판의 지시에 따라 득 점이나, 반칙 등으로 인한 게임의 교체된다.교체 선수의 수를 지명하는 것은 그 경기의 관할권을 가진 주최측 권리이다.
● 선수의 복장
- 선수의 복장은 움직임에 방해받지 않으며 상대 팀에게 신체적 상해를 가할 위험이 없는 것이면 가능하다.
- 상대 팀과 쉽게 구분을 할 수 있도록 비슷한 색의 복장으로 한다.
● 반칙
소극적인 플레이에 의한 반칙
- 기존의 농구에서 시행하는 30초룰, 5초룰, 10초룰을 동일하게 적용한다. (단3초룰-공격지역 안에서의 3초간 멈춤-은 허용하지 않는다.)
* 5초 룰 : 수비 선수가 공을 가지고 있는 공격측 선수에게 접근하여 방어하고 있을 때 패스,슛,굴리기, 드리블 중 어느 것도 하지 않고 5초를 넘었을 경우에는 공격권을 상실한다.
* 10초 룰 : 백코트에서 시작된 볼이 10초 이내에 상대팀의 진영으로 넘어가지 못하면 공격권을 상실한다.
* 30초 룰 : 공격을 시작한 팀이 30초 이내에 슛을 하지 않았을 경우 공격권을 상실한다.
수비측의 반칙으로 스로인 되는 경우에는 다시 30초를 센다.
<위와 같은 반칙을 했을 경우 센터서클에서 상대팀의 패스로 경기가 재개된다>
- 기타 다른 조항들은 기존의 농구와 유사하다.
기타반칙
- 라인 파울, 푸싱, 차징, 진로방해, 비신사적 행위 등 기존의 농구규칙에 있는 규칙을 동일하게 적용하도록 한다.
● 심판과 부심
(1) 주심 한명과 부심두명으로 구성되며 그 역할은 아래와 같다.
- 주심 : 경기 진행의 전반적인 결정을 내리고 선수의 입장과 퇴장과 반칙 등의 결정을한다.
경기 중의 심판의 말은 절대적인 힘을 갖는다. 심판은 일단 내려진 결정을 번복할 수 없으며 경기에 대한 의견수렴은 오직 부심을 통해서만 할 수 있다.
- 부심 : 주심의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라인파울이나, 푸싱, 차징, 비신사적 행위등 다른 사항들을 즉각적인 모션으로 주심에게 보여야 한다.
#용어해설
● 무빙존
무빙존 : 인간 골대가 골대로 공을 받아서 득점으로 인정될 수 있는 공간으로, 무빙존의 지름은 30cm이다.
● 공격라인
무빙존을 둘러싸고 반지름 5m의 원형라인으로 공격자, 수비자는 들어갈 수 없고 각 팀의 인간골대 한명만이 들어갈 수 있다.
● 바스켓
무빙바스켓 전용으로 만들어진 반지름 20m 가량의 바스켓으로, 공을 손쉽게 받을 수 있도 록 제작된 전용 골대이다. 어린이용 자전거 바퀴를 이용하여 어렵지 않게 만들 수 있다.
● 인간골대
인간 골대 : 공격 라인 안쪽에 위치한 각 팀의 득점을 담당하는 선수로서, 이 선수는 바스 켓을 손에 들고 무빙존 위에서 같은 팀이 던진 공을 받는 역할을 한다.
★페당크
#게임방법
출발선에서 너무 가깝지도 멀지도 않게 구슬을 세운다(타깃이 되는 구슬이므로 이름표를 붙이거나 색을 달리하는 것이 좋다).각자 혹은 팀을 나눠서 돌아가며 한번씩 구슬을 던져 타깃에 가장 가까이 보내면 승리하는 게임이다
#장비
구슬 6~12개
  • 가격3,0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86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