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놀이전통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통놀이전통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전 경험이나 각자의 생각을 교환함으로써 자신의 대인 능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타인과의 대화에서 시행착오와 탈중심화가 되는 교육적인 효과를 가져온다.
셋째, 전통놀이 프로그램은 유아들의 또래관계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
전통놀이 과정에서 유아는 놀이상대로서 또래를 인식하게 되고 또래의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실험에 참여한 유아수가 적고, 기간이 30일 이었으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대상을 전체집단을 대표할 수 있으며 장기적인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전통놀이를 5가지로 국한되어 실시되었다. 따라서 전통놀이를 보다 체계적으로 세분화하고 다양한 놀이의 진행과정을 분석하는 연구를 통해 단원에 맞게 확대 개발하고 수정, 보완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는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대해서만 살펴보았으므로 앞으로 유아의 모든 영역의 발달과 관련해 전통놀이의 중요성을 검증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교육부(1993). 유아 전통놀이 교육활동 지도자료. 서울특별시 교육청.
교육부(1993). 전통놀이 프로그램. 서울특별시 교육청.
김유희(1999). "전통놀이 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인식정도와 활용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교육부(1993). 유아전통놀이 교육활동 지도자료(유치원교사용지도서:이론편).
고대민족문화연구소(1980). 한국 민속대관. 서울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강문희(1996). 놀이와 아동. 교육과학사.
고문숙이혜주임영심황정숙공저(2001). 어린이 놀이지도. 정민사.
김광언(1982). 민속놀이. 서울 : 대원사.
김경희(1992). "전통놀이 프로그램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미애류경화(1997). 놀이지도. 동문사.
김완섭(1995). 개정유아교육과정. 창지사.
김정선(2000). "유아 놀이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태도에 관한 연구". 경기대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정혜(1993). "전통놀이의 5세 유아를 위한 적용방안".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종만(1998). 아이들 민속놀이 백가지. 우리교육.
김춘일김성혜(1998). 유아놀이 프로그램. 교육과학사.
곽노의외(2000). 유아교육과정. 문음사.
류경화(1999). 유아를 위한 전통놀이 교육. 창지사.
박재환(1999). 유아교육 과정론. 형설출판사.
오장현박진주심우성(1976). 민속놀이 지도자료. 서울 : 삼일각.
온영란(1996). "유아교육프로그램의 전통놀이에 관한 조사 연구".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경실(1997). "유아의 놀이성과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 사학위.
이기현(1997). "전통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정서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대균(1995). 전통놀이 교육활동. 양서원
이대균(1998). 3,4,5세 유아를 위한 전통놀이 교육프로그램. 양서원.
이상금(1987). 한국 유아교육의 현황과 개선방향(유아교육세미나). 한국어린이육영회.
이원형(1989). 부모교육론. 교문사.
이윤옥(1998). 유아를 위한 인성교육프로그램. 창지사.
이은화,김영옥(2001). 유아사회교육. 양서원.
이정환(1993). 유아교육의 교수학습방법. 교문사.
이은화(1990). "전통놀이의 현장 적용을 위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숙재(1992). 유아를 위한 놀이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유안진(1981). 한국 고유의 아동놀이. 정민사.
조금미(2001). "전통놀이가 유아의 사회정서적 발달에 미치는 효과". 대구가톨릭대. 석사학위논문
장은정(2000).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놀이성과의 관계". 숙명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선철(2000). 유아사회교육 . 동문사.
지성애(1994). 유아놀이지도 . 정민사.
전풍자(1981). 놀이교육론. 유아교육연구 제3집. p51-64.
정금자(1999). 유아놀이 지도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최문희(1999). "전통놀이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교육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최상수(1985). 한국 민속놀이의 연구. 성문각.
Barnet, L. A. (1991). The Playful Child : Measurement of a disposition to play.
Bruner, J. S. (1966). On cognitive growth. In J. S. Bruner, R. R. Olver, & P. M. Greenfield(Eds.).
DeVries, R, & Zan, B.(1994). Moral classroom, moral children : creating a construtivist atmosphere in the early education NY : Teachers Colleage Press.
Hurlock, E. B.(1972). Child Development. Koquabusha : McGrow-Hill, Ltd.
Kamii. C. & deVries, R.(1980). Group games in the early education : Implication of Piaget's theory. Washington, D. C. : NAEYC.
Levy, J. (1978). Play Behavior. N. Y. : John Wiley & Sons.
Piaget, J. (1962). Play, Dream and Immitation in Childhood. New York : John Wileyand Sons.
Parten, M. B.(1932). "Social Participation among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Schwartzman, H. B. (1978). Transformations: The anthropology of children's play. New York: Plenum.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33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909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