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사시대별 특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선사시대별 특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의 지배층은 대거 고려에 흡수되었다. 발해의 멸망으로 드넓은 만주 지역이 우리 민족의 역사 속에서 사라지게 되었다.
3. 발해의 문화
(1)
불상, 석등, 연꽃무늬 벽돌 등 남겨진 유물들로 보아 불교가 번창하였음을 알 수 있다.
(2)
웅장한 고구려의 성격을 가지면서도 훨씬 부드럽고 세련된 느낌을 보여 주는데, 이는 고구려의 문화 위에 당나라의 문화를 더했기 때문이다.
(3)
불교와 함께 유교 문화도 발달하여 지금의 국립 대학과 같은 주자감을 설치하여 유학을 공부하게 하였으며 당나라에 유학생을 보내어 당나라의 관리가 된 사람들도 있었다.
(4)
5경 부근의 유적에서 고구려 후기의 양식을 이어 받은 무덤과 기와, 벽돌 등이 발견되었다.
선사시대별 주요특징
1) 구석기(뗀석기) : 돌멩이를 두들겨 떼어내어 도구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 한반도에서 가장 오래된 구석기 유적지 - 단양 도담리 금굴
★ 한반도에서 가장 먼저 발견된 구석기 유적지 - 종성 동광진
▷ 어로, 수렵, 채집 등 무리(이동)생활을 하였다. ← (주술적 예술작품 : 물고기를 새긴 조각품)
동물의 번성을 기원하는 주술적 의미의 예술작품
▷ 동굴이나 강가막집을 짓고 살았다.
▷ 모든 사람이 평등한 공동체적 생활을 하였다.
▷ 무리가운데 경험이 많고 지혜로운 사람이 지도자가 되었다.
2) 신석기(간석기) : 돌을 갈아서 필요한 생활도구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 오늘날 한민족의 모체가 이때에 형성되었다.
★ 신석기 후기에 농경이 처음 시작되었다.
▷ 어로, 수렵, 농경이 시작되었다. ← (봉산 지탑리 유적지에서 돌보습, 돌도끼 등 농경도구 발견)
→ 농경시작으로 곡식저장을 위해 토기 제작
▷ 움집을 짓고 살았다.(가운데 화덕자리, 저장구덩)
▷ 혈연중심으로 한 평등한사회로 폐쇄적인 독립사회였다.
▷ 씨족을 바탕으로한 부족사회로 족외혼
3) 청동기시대(비파형동검, 고인돌) : 지배, 피지배 관계가 등장한 군장국가시대
★ 벼농사가 시작되었다.
★ 여전히 석기와 목기 농기구가 사용되었다.
▷ 벼농사 시작으로 잉여생산물 증가 (이삭추수용-반달돌칼)
→ 빈부격차 → 계급발생
▷ 움집에서 지상가옥으로 발전(모서리에 화덕자리)
▷ 사유재산개념과 계급사회
▷ 선민사상을 가지고 약한부족을 통합, 정복 → 군장 국가 출현
▷ 거푸집(청동기 제작)
4) 초기 철기시대(세형동검:한국식 동검) : 연맹체 초기 국가 형태
★ 붓발견(창원 다호리 유적)으로 한자사용을 알수있음
▷ 농경을 위해 저수지를 많이 만들어 벼농사 발달
선사시대(문자의 사용여부로 선사역사시대 구분)
역사시대

구석기시대
신석기시대
청동기시대
초기철기시대
사회
평등한 무리사회
경험많고 지혜로운자가 지도자
씨족을 바탕으로한
평등한 부족사회
지배피지배관계가등장한
군장국가(예:고조선)
연맹체초기국가성립
(예:부여)
경제
생활
무리생활, 이동생활
어로,수렵,채집생활

농경시작(봉산 지탑리)
돌보습,돌도끼 등 발견
조,피,수수
벼농사시작
청동농기구는 발견되지않음
구릉지대생활,본격적농경
농경을 위해저수지
를 많이 축조함

유물
★ 뗀석기, 불사용, 뼈도구
사냥도구-주먹도끼,찍개,찌르개
요리도구-긁개, 밀개
공작도구-새기개

★ 간석기, 의복, 그물사용
어로-돌로만든그물추,작살
사냥-돌로만든 화살촉,창
농경-돌괭이,돌보습,돌낫
생활-가락바퀴,뼈바늘꾸미개
★ 반달돌칼(이삭추수)
★ 비파형동검, 거친무늬 거울



★거푸집
★세형동검
잔무늬거울


토기



평남 상원 검은모루동글(긁개)
연천 전곡리(유럽아슐리안계)
공주 석장리(전,중,후기걸쳐)
→ 긁개,밀개,화덕자리
청원 두루봉동굴
(어린이뼈, 홍수아이인)
이른민무늬토기
덧무늬토기(=융기문토기)
빗살무늬토기(=즐문토기)
물결무늬,번개무늬 토기
▷ 서울암사동,부산동삼동

민무늬 토기
미송리식 토기
붉은 간토기



민무늬토기 다양화
덧띠토기
★붓발견(한자사용)
(창원 다호리 유적)



동굴이나 강가 막집


움집(가운데 화덕자리)
원형,정방형 둥근네모꼴로
남쪽 출입문
움집(모서리 화덕자리)
장방형 →지상가옥 발전
배산임수

무덤

구덩무덤

고인돌(지배층)송화강,요야
돌무지무덤, 돌널무덤
독무덤, 널무덤

신앙
예술
고래,물고기를 새긴 조각품
(동물 번성을기원하는
주술적의미의 예술작품)
흙으로

키워드

선사,   시대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911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