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도서관 개념에 대한 이해 및 개선방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작은 도서관 개념에 대한 이해 및 개선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작은 도서관 개념에 대한 이해 및 개선방안

본문내용

발전되어 왔으며, 그 명칭사용이 확산되어 현재로서는 작은도서관의 개념을 한 가지로 정의하기에는 모호해 어려운 점이 많다. 초기에 작은도서관 사업이 운동가나 시민단체들에 의해 시작되었고, 관에서도 이 사업을 추진해 왔다. 그런데 여러 가지 모습으로 변화하면서도 공통적으로 흐르는 어떤 정신이 유지되어 왔음을 볼 수 있다.
그것은 작은도서관은 지역사회공동체 형성, 지역문화의 발전, 지식 평등화를 통한 계층양극화의 완화 등, 단순히 시설이나 형태 이전에 어떤 이념성을 반영하고 있는 점이다. 따라서 작은도서관은 도서관이나 문고 같은 ‘시설’ 개념이 아닌 ‘운동’ 개념으로 보는 것이 적합하다. 즉 작은도서관이란 ‘작은도서관 운동’이며 이러한 운동의 취지에 따르는 다양한 형태의 시설들은 공사립문고, 주민자치센터, 복지시설, 어린이도서관, 심지어는 소규모의 공공도서관이나 분관 등 명칭 구분과 관계없이 작은도서관이며, 이 운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정의는 앞서 말한 개념정의에서 고려해야 할 여러 가지 사항들을 충족시킬 수 있다. 즉 현행법상 유사명칭 사용금지 조항에도 위배되지 않을 뿐 아니라 별도의 법률적 규정이나 절차도 필요치 않게 되고, 또 일정한 수혜계층에 한정될 필요도 없는 것이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미래지향적인 생명력을 가지고 발전해 나갈 수 있는 것이다.
작은도서관 운영자들을 만나보면서 내내 느꼈던 점은 그들은 단순히 운영자이기 이전에 운동가들이었으며, 작은 도서관을 ‘운동’ 개념으로 보는 것이 실제 ‘작은도서관’의 모습에 더 가깝다는 생각이었다.
이상의 내용들을 토대로 결론을 정리한다면, ‘작은도서관’은 ‘작은도서관 운동’을 의미하며, 특별한 형식으로 규정되는 것이 아니다. 단지 민간에서는 자발적으로, 그리고 정부나 지자체 등에서는 일정한 취지에 따라 추진되는 프로젝트명(사업명)이라고 할 수 있다.
결어
다소 서술에 무리가 있기는 하지만, 작은도서관 활성화를 위해서는 작은도서관의 개념정립과 향후 점진적인 사업발전 방향을 연구해 나가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앞으로 작은도서관 사업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이 「도서관계」지면을 통하여 심층적으로 논의의 장을 만들어나가고, 특히 직접 작은도서관을 운영하고 성공시켜 온 열성 운동가 여러분들이 많이 참여하여 성공적인 발전의 틀을 만들어나갈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참고 - 김준 국립중앙도서관 정책과 “작은 도서관의 개념에 대한 이해”

키워드

작은,   도서관,   운영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937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