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프로그램을 활성화하여 지역아동센터와 지역사회와의 연계성을 강화해야 한다.
한편, 지역사회 지원체계망의 통합과 관련하여 유념해야 할 것은 일원적 방식의 성급한 확대를 지양하고 다양한 접근방식과 실험을 통해 성공모델을 창출해야 한다는 점이다. 통합지원체계가 현실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관련자들이 지역 아동의 욕구를 적절하게 충족시켜줄 수 있는 지역자원을 개발, 기능적으로 연계하는 총체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2) 지속성의 원리
아동이 지역아동센터에서 서비스를 받는 동시에 또 다른 욕구나 문제의 해결을 위해 다른 기관의 서비스를 쉽게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지속성의 원리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사례관리(case management) 접근이 필요하다. 사례관리자는 기관의 서비스 범위를 넘어 지역사회의 다양한 기관에 접근하여 아동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도록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하고 점검하는 활동을 수행해야 한다. 특히 지역아동센터가 개별 아동복지기관 뿐만 아니라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 학교, 기업, 언론 등과의 네트워킹을 통해 종합적인 관리자로서의 기능을 담당하기 위해서는 센터 내 전문 사례관리자를 상당수 배치해야 한다.
3) 접근용이성의 원리
지역사회 지원체계망을 구성할 때 적용되는 접근용이성의 원리가 지켜지려면 아동이면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 내에 가깝게 위치하여야 한다. 그러나 현재는 공공 이용시설 뿐만 아니라 민간 이용시설들의 경우도 절대수의 부족으로 지역별 균형배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지역사회 단위별 시설현황 및 아동의 욕구를 파악하여 부족한 지역아동센터 시설부터 확충하도록 해야 한다. 이 경우 지역사회 단위 종합계획이 우선되어야 한다.
신규로 시설을 확충할 경우에도 지역별 시설분포 현황 및 대상자 특성에 따라 일반적보편적 서비스 제공시설을 세울 것인지, 아니면 전문적, 특화된 서비스 제공시설을 세울 것인지, 또는 지역 특성으로 보아 포괄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종합화된 시설을 세울 것인지 등을 고려해야 한다. 아울러 이들 시설설립에 따른 재원이나 인력확보 문제 등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는데, 무엇보다도 지방자치단체의 행정적재정적 지원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또한, 접근용이성의 원리를 달성하려면 정보공유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정부 및 다양한 아동복지 관련 기관시설 간 정보공유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정보의 수집단계에서부터 공동으로 계획을 수립시행할 필요가 있다. 정보수집관리를 위한 공동계획은 종합지원센터에서 수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 기관시설간의 역할을 분담할 필요가 있다. 공동의 팀을 구성할 수 없는 경우에는 각기 별도로 정보를 수집하되 통일된 포맷에 따라 정보를 수집하여 종합지원센터에 송부하면 센터 사무국이 이를 취합관리한다.
이러한 정보수집활동과 아울러 정보첨병(information sentinel post)으로서 아동이나 자원봉사자들을 모니터(monitor)요원으로 활용하여 수시로 수집된 정보를 관련기관이나 센터 사무국으로 전달하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지역 내에서 수집관리활용해야 할 정보의 내용은 크게 다음과 같이 구분해 볼 수 있다. ① 대상지역의 사회적인구학적지리적경제적 특성 ② 특성별 아동 규모 및 분포 현황 ③ 지역 내 각종 아동복지 지원 기관시설 현황 ④ 자원봉사자 현황 등 민간자원 관련 정보 등이 그것이다.
4) 책임성의 원리
지역사회 지원체계망을 구성할 때 적용되는 책임성의 원리는 아동을 수동적 존재로 보는 것이 아니라 문제해결의 주체로 보는 것에서 출발한다. 기존의 지원체계는 아동에 대한 정보 부족, 권위자에 대한 불신 등으로 인해 실제 지원이 필요한 아동의 관심과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없었던 점을 수정, 보완하는 것이다.
그리고 일반 아동이 위기에 빠지지 않도록 유익한 정보를 적극 제공하는 아동정보문화사업에 정부가 보다 역점을 두어야 한다. 위기아동에게는 쉼터, 지원센터, 수련관과 같은 시설이나 아동복지전문가의 정보보다는 ‘맞춤형 정보’가 필요할 경우도 많다. 따라서 정부는 모든 아동들에게 꼭 필요한 정보를 보다 체계적으로 제공하는 아동정보문화사업을 실시해야 한다.
<참 고 문 헌>
강명순(2006). “지역아동센터의 현황과 과제”. 『한국 빈곤아동과 지역복지력 구축 심포지엄 자료집』. 부스러기사랑나눔회일본기비국제대학사회복지대학원무꼬가와여자대학사회복지학과.
박인선(2004). “공부방의 현황과 지역아동센터의 과제”. 『지역아동센터 현황과 과제 자료집』.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정익중(2004). “지역아동센터의 향후 과제”. 『지역아동센터 현황과 과제 자료집』.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조흥식 외 (2000). 『청소년보호체계 구축을 위한 지역사회조직 전략』. 청소년보호위원회.
허인영(2002). “지역아동센터로서의 공부방: 왜 지역아동센터인가”. 『사랑나눔으로 부스러기만나기』(2002년 나눔기관 실무자 교육자료집). 부스러기사랑나눔회.
Fellin, P. (1995). The Community and the Social Worker. Itasca, IL: F. E. Peacock.
Gilbert, N., Specht, M. & Terrell, P. (1993). Dimensions of Social Welfare Policy. Englewood Cliffs: Prentice-Hall.
Homan, M. S. (1994). Promoting Community Change. Brooks/Cole Publishing Company.
Kramer, R. M., (1981). Voluntary Agencies in the Welfare Stat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Martin, P. Y. and O'Connor, G. G. (1989). The Social Environment. New York & London: Longman Inc.
OECD (1996). Integrating Services for Children at Risk. Centre for Educational Research and Innovation.
한편, 지역사회 지원체계망의 통합과 관련하여 유념해야 할 것은 일원적 방식의 성급한 확대를 지양하고 다양한 접근방식과 실험을 통해 성공모델을 창출해야 한다는 점이다. 통합지원체계가 현실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관련자들이 지역 아동의 욕구를 적절하게 충족시켜줄 수 있는 지역자원을 개발, 기능적으로 연계하는 총체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2) 지속성의 원리
아동이 지역아동센터에서 서비스를 받는 동시에 또 다른 욕구나 문제의 해결을 위해 다른 기관의 서비스를 쉽게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지속성의 원리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사례관리(case management) 접근이 필요하다. 사례관리자는 기관의 서비스 범위를 넘어 지역사회의 다양한 기관에 접근하여 아동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도록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하고 점검하는 활동을 수행해야 한다. 특히 지역아동센터가 개별 아동복지기관 뿐만 아니라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 학교, 기업, 언론 등과의 네트워킹을 통해 종합적인 관리자로서의 기능을 담당하기 위해서는 센터 내 전문 사례관리자를 상당수 배치해야 한다.
3) 접근용이성의 원리
지역사회 지원체계망을 구성할 때 적용되는 접근용이성의 원리가 지켜지려면 아동이면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 내에 가깝게 위치하여야 한다. 그러나 현재는 공공 이용시설 뿐만 아니라 민간 이용시설들의 경우도 절대수의 부족으로 지역별 균형배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지역사회 단위별 시설현황 및 아동의 욕구를 파악하여 부족한 지역아동센터 시설부터 확충하도록 해야 한다. 이 경우 지역사회 단위 종합계획이 우선되어야 한다.
신규로 시설을 확충할 경우에도 지역별 시설분포 현황 및 대상자 특성에 따라 일반적보편적 서비스 제공시설을 세울 것인지, 아니면 전문적, 특화된 서비스 제공시설을 세울 것인지, 또는 지역 특성으로 보아 포괄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종합화된 시설을 세울 것인지 등을 고려해야 한다. 아울러 이들 시설설립에 따른 재원이나 인력확보 문제 등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는데, 무엇보다도 지방자치단체의 행정적재정적 지원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또한, 접근용이성의 원리를 달성하려면 정보공유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정부 및 다양한 아동복지 관련 기관시설 간 정보공유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정보의 수집단계에서부터 공동으로 계획을 수립시행할 필요가 있다. 정보수집관리를 위한 공동계획은 종합지원센터에서 수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 기관시설간의 역할을 분담할 필요가 있다. 공동의 팀을 구성할 수 없는 경우에는 각기 별도로 정보를 수집하되 통일된 포맷에 따라 정보를 수집하여 종합지원센터에 송부하면 센터 사무국이 이를 취합관리한다.
이러한 정보수집활동과 아울러 정보첨병(information sentinel post)으로서 아동이나 자원봉사자들을 모니터(monitor)요원으로 활용하여 수시로 수집된 정보를 관련기관이나 센터 사무국으로 전달하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지역 내에서 수집관리활용해야 할 정보의 내용은 크게 다음과 같이 구분해 볼 수 있다. ① 대상지역의 사회적인구학적지리적경제적 특성 ② 특성별 아동 규모 및 분포 현황 ③ 지역 내 각종 아동복지 지원 기관시설 현황 ④ 자원봉사자 현황 등 민간자원 관련 정보 등이 그것이다.
4) 책임성의 원리
지역사회 지원체계망을 구성할 때 적용되는 책임성의 원리는 아동을 수동적 존재로 보는 것이 아니라 문제해결의 주체로 보는 것에서 출발한다. 기존의 지원체계는 아동에 대한 정보 부족, 권위자에 대한 불신 등으로 인해 실제 지원이 필요한 아동의 관심과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없었던 점을 수정, 보완하는 것이다.
그리고 일반 아동이 위기에 빠지지 않도록 유익한 정보를 적극 제공하는 아동정보문화사업에 정부가 보다 역점을 두어야 한다. 위기아동에게는 쉼터, 지원센터, 수련관과 같은 시설이나 아동복지전문가의 정보보다는 ‘맞춤형 정보’가 필요할 경우도 많다. 따라서 정부는 모든 아동들에게 꼭 필요한 정보를 보다 체계적으로 제공하는 아동정보문화사업을 실시해야 한다.
<참 고 문 헌>
강명순(2006). “지역아동센터의 현황과 과제”. 『한국 빈곤아동과 지역복지력 구축 심포지엄 자료집』. 부스러기사랑나눔회일본기비국제대학사회복지대학원무꼬가와여자대학사회복지학과.
박인선(2004). “공부방의 현황과 지역아동센터의 과제”. 『지역아동센터 현황과 과제 자료집』.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정익중(2004). “지역아동센터의 향후 과제”. 『지역아동센터 현황과 과제 자료집』.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조흥식 외 (2000). 『청소년보호체계 구축을 위한 지역사회조직 전략』. 청소년보호위원회.
허인영(2002). “지역아동센터로서의 공부방: 왜 지역아동센터인가”. 『사랑나눔으로 부스러기만나기』(2002년 나눔기관 실무자 교육자료집). 부스러기사랑나눔회.
Fellin, P. (1995). The Community and the Social Worker. Itasca, IL: F. E. Peacock.
Gilbert, N., Specht, M. & Terrell, P. (1993). Dimensions of Social Welfare Policy. Englewood Cliffs: Prentice-Hall.
Homan, M. S. (1994). Promoting Community Change. Brooks/Cole Publishing Company.
Kramer, R. M., (1981). Voluntary Agencies in the Welfare Stat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Martin, P. Y. and O'Connor, G. G. (1989). The Social Environment. New York & London: Longman Inc.
OECD (1996). Integrating Services for Children at Risk. Centre for Educational Research and Innovation.
추천자료
아동영역의 지역복지계획
지역사회 아동 청소년 사업 실천 사례와 앞으로의 과제
(예 보육시설, 지역아동센터) 시설을 방문하여 자유화에 대해서 서술하시오
아동복지서비스의 전문화 방향을 가족과 지역사회 중심에서 논하시오
[지역문화복지시설][치매노인복지시설][보훈대상자노후복지시설][아동복지시설][장애인복지시...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현장에서의 사례관리 사례(사회복지현장-복지관, 지역아동센터, 생...
아동발달환경과 지역사회
우리지역의 아동복지시설에 대하여 조사하고 아동복지시설의 기능과 역할에 대하여 알아보시...
아동청소년사회복지정책(아동청소년제도, 현황, 문제점, 드림스타트사업, 디딤씨앗통장, 방과...
아람 청소년 지역 아동센터 기관 방문보고서
우리나라의 아동복지시설(아동복지관, 어린이집, 지역 아동센터 등) 중 하나를 골라 활동 프...
[지역사회복지] 한부모 빈곤가정의 아동을 위한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 중에서 한 가지를 선...
우리나라의 아동복지시설(아동복지관, 어린이집, 지역 아동센터)&#160;하나를 선택하여&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