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일반적 특성
우호적이나 적대적 환경에 대한 비상한 감수성을 보임
지적 활동이나 수지 훈련 등에 반응이 늦음
주의집중 시간이 짧고 흥미 범위가 협소함
어휘력 등 언어의 제약성을 보이며 상상력이 부족함
어떤 일을 해결하는데 있어 계획성이 부족함
경계의식의 부재
선악의 구별이 안 됨
정서안정이 안되고 강한 고집성이 있음
2. 정신지체아동에 따른 학습특성
정신지체아의 학습능력은 정신지체의 정도에 따라 학습 가능성의 차이가 있다.
가. 교육가능 (IQ 70 ~ 75이하)
초등학교 6학년까지는 초등 1-3학년 정도이고, 고등학교를 마칠 때까지는 초등 3-5학년 정도의 능력을 갖는다.
나. 훈련가능 (IQ 40 ~ 55이하)
초등학교 6학년까지는 의사소통능력은 기를 수 있고, 고등학교를 마칠 때까지 초등학교 1-2학년 정도의 학습능력을 가질 수 있다.
다. 요보호 (IQ 40 미만)
일상생활과 사회생활이 혼자서는 곤란하여 타인의 보호가 필요하며 학습이 불가능하다.
정신지체아는 전체 인구의 약 2%~3%의 범위에 걸쳐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다. 정신지체의 원인을 정확하게 밝힐 수는 없지만, AAMR(미국정신지체협회)은 정신지체의 원인을 분류하는데 다음과 같이 9개의 일반적 범주로 명시하고 있다.
1. 출산 전 이상
가. 산모의 감염과 중독
풍진, 매독, 독물, 약, 담배, 알콜, 공해 등
나. 염색체 이상
21번 염색체이상 (다운 증후군 등), 산모의 나이가 35세 이상일 때 더 많이 발생
다. 신진대사와 영양장애
1) 페닐케토뇨증(PKU): 페닐알라닌을 타이로신 으로 대사하지 못하는 증상으로 축적된 페닐알라닌이 뇌를 손상시킴 페닐알라닌의 일부가 오줌(尿)으로 배출 됨.
2) 갈라토우스미아: 젖당을 포도당과 갈락토우스로 분해하는 락타아제가 결핍 됨.
라. 태아의 이상
소두증, 무뇌증, 간질, 산모와 태아의 혈액부적합(Rh음성, 양성), 황달
2. 출산중 원인
급성태반부전증, 뇌수종, 저산소증, 난산
3. 생 후 원인
가. 머리 손상
뇌진탕, 뇌염, 뇌막염 등
나. 감염
고열, 기생충 감염 등
다. 환경
영양실조, 소아학대, 부적절한 양육, 만성적 사회, 감각 자극 박탈 등
1. 지능검사
가. 아동용 웩슬러 지능검사(K-WISC-Ⅲ)
일반적인 지적 능력에 대한 척도로서 WISC-Ⅲ는 여러 가지 목적에 적합하며 유용하다. 검사는 동작성 소검사와 언어성 소검사로 구성되어 있다. 동작성 소검사와 언어성 소검사의 점수가 합해져서 전체 IQ점수를 산출한다. 교육적인 계획과 배치를 위한 심리교육평가, 학령기 아동의 특수성 진단, 임상적·신경심리학적 평가 및 연구 등이 있다.
* 적용범위 : 6세에서 16세 11개월까지의 아동의 지능을 임상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개별지능검사이다.
나. 고대-비네지능검사(Kodae-Binet Scale)
K-BINET검사는 지능검사의 시조인 Alfred Binet가 1905년에 처음 시도한 지능검사법을 바탕을 한 스탠포드 비네검사를 한국판으로 표준화한 지능검사도구이다.
피험자의 성격적인 면, 대인행동의 태도, 말솜씨 등을 관찰함으로서 피험자의 어디에 결함이 있는지, 어떤 면이 탁월한지를 알아 낼 수 있는 개인지능 검사이다.
이 검사의 피험자 연령은 만 4세 이상 만15세 미만을 대상으로 한다. 그러나 정신지체와 같은 장애아동은 성인이라도 실제 연령을 불문하고 만14세를 간주하여 해당 환산표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 카이제-코스 정신발달검사(KISE-KHOS: KISE-Kohs Block Design Test)
S C Kohs에 의해 개발된 Kohs Block Design검사와 일본의 대협식 정박아용 지능검사를 참고로 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수정·보완된 유아 및 정신지체아 공용의 지능검사이다. 4개의 입방체를 가지고 아동이 제시된 도판과 같은 모양으로 직접 배열하도록 하는 일종의 수행검사(performance test)로서 언어적 요인의 영향을 제거하기 위한 비언어적 지능검사 도구이며 개별적으로 혹은 다른 검사의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
* 적용범위 : 일반 아동일 경우 3세부터 5세 11개월까지 적용되며, 정신지체아동일 경우 연령에 관계없이 시행할 수 있다.
2. 사회성숙도검사
가. 사회성숙도검사
사회성숙도 검사는 미국의 Edgar Doll이 제작하여 세계 여러 나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적응행동척도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김승국, 김옥기(1977, 1985)가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수정하고 3개의 문항을 새로 만들어 모두 120개 문항으로 제작하였다. 검사의 구성은 자조능력(일반적 자조능력, 식사 자조능력, 옷입기 벗기 및
우호적이나 적대적 환경에 대한 비상한 감수성을 보임
지적 활동이나 수지 훈련 등에 반응이 늦음
주의집중 시간이 짧고 흥미 범위가 협소함
어휘력 등 언어의 제약성을 보이며 상상력이 부족함
어떤 일을 해결하는데 있어 계획성이 부족함
경계의식의 부재
선악의 구별이 안 됨
정서안정이 안되고 강한 고집성이 있음
2. 정신지체아동에 따른 학습특성
정신지체아의 학습능력은 정신지체의 정도에 따라 학습 가능성의 차이가 있다.
가. 교육가능 (IQ 70 ~ 75이하)
초등학교 6학년까지는 초등 1-3학년 정도이고, 고등학교를 마칠 때까지는 초등 3-5학년 정도의 능력을 갖는다.
나. 훈련가능 (IQ 40 ~ 55이하)
초등학교 6학년까지는 의사소통능력은 기를 수 있고, 고등학교를 마칠 때까지 초등학교 1-2학년 정도의 학습능력을 가질 수 있다.
다. 요보호 (IQ 40 미만)
일상생활과 사회생활이 혼자서는 곤란하여 타인의 보호가 필요하며 학습이 불가능하다.
정신지체아는 전체 인구의 약 2%~3%의 범위에 걸쳐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다. 정신지체의 원인을 정확하게 밝힐 수는 없지만, AAMR(미국정신지체협회)은 정신지체의 원인을 분류하는데 다음과 같이 9개의 일반적 범주로 명시하고 있다.
1. 출산 전 이상
가. 산모의 감염과 중독
풍진, 매독, 독물, 약, 담배, 알콜, 공해 등
나. 염색체 이상
21번 염색체이상 (다운 증후군 등), 산모의 나이가 35세 이상일 때 더 많이 발생
다. 신진대사와 영양장애
1) 페닐케토뇨증(PKU): 페닐알라닌을 타이로신 으로 대사하지 못하는 증상으로 축적된 페닐알라닌이 뇌를 손상시킴 페닐알라닌의 일부가 오줌(尿)으로 배출 됨.
2) 갈라토우스미아: 젖당을 포도당과 갈락토우스로 분해하는 락타아제가 결핍 됨.
라. 태아의 이상
소두증, 무뇌증, 간질, 산모와 태아의 혈액부적합(Rh음성, 양성), 황달
2. 출산중 원인
급성태반부전증, 뇌수종, 저산소증, 난산
3. 생 후 원인
가. 머리 손상
뇌진탕, 뇌염, 뇌막염 등
나. 감염
고열, 기생충 감염 등
다. 환경
영양실조, 소아학대, 부적절한 양육, 만성적 사회, 감각 자극 박탈 등
1. 지능검사
가. 아동용 웩슬러 지능검사(K-WISC-Ⅲ)
일반적인 지적 능력에 대한 척도로서 WISC-Ⅲ는 여러 가지 목적에 적합하며 유용하다. 검사는 동작성 소검사와 언어성 소검사로 구성되어 있다. 동작성 소검사와 언어성 소검사의 점수가 합해져서 전체 IQ점수를 산출한다. 교육적인 계획과 배치를 위한 심리교육평가, 학령기 아동의 특수성 진단, 임상적·신경심리학적 평가 및 연구 등이 있다.
* 적용범위 : 6세에서 16세 11개월까지의 아동의 지능을 임상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개별지능검사이다.
나. 고대-비네지능검사(Kodae-Binet Scale)
K-BINET검사는 지능검사의 시조인 Alfred Binet가 1905년에 처음 시도한 지능검사법을 바탕을 한 스탠포드 비네검사를 한국판으로 표준화한 지능검사도구이다.
피험자의 성격적인 면, 대인행동의 태도, 말솜씨 등을 관찰함으로서 피험자의 어디에 결함이 있는지, 어떤 면이 탁월한지를 알아 낼 수 있는 개인지능 검사이다.
이 검사의 피험자 연령은 만 4세 이상 만15세 미만을 대상으로 한다. 그러나 정신지체와 같은 장애아동은 성인이라도 실제 연령을 불문하고 만14세를 간주하여 해당 환산표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 카이제-코스 정신발달검사(KISE-KHOS: KISE-Kohs Block Design Test)
S C Kohs에 의해 개발된 Kohs Block Design검사와 일본의 대협식 정박아용 지능검사를 참고로 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수정·보완된 유아 및 정신지체아 공용의 지능검사이다. 4개의 입방체를 가지고 아동이 제시된 도판과 같은 모양으로 직접 배열하도록 하는 일종의 수행검사(performance test)로서 언어적 요인의 영향을 제거하기 위한 비언어적 지능검사 도구이며 개별적으로 혹은 다른 검사의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
* 적용범위 : 일반 아동일 경우 3세부터 5세 11개월까지 적용되며, 정신지체아동일 경우 연령에 관계없이 시행할 수 있다.
2. 사회성숙도검사
가. 사회성숙도검사
사회성숙도 검사는 미국의 Edgar Doll이 제작하여 세계 여러 나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적응행동척도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김승국, 김옥기(1977, 1985)가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수정하고 3개의 문항을 새로 만들어 모두 120개 문항으로 제작하였다. 검사의 구성은 자조능력(일반적 자조능력, 식사 자조능력, 옷입기 벗기 및
추천자료
정신지체(Mental Disorder)
정신지체자의 프로그램
[정신건강] 정신지체
이상심리학, 불안 및 정신지체적 장애, 정동장애와 정신분열증, 사회적 및 대인관계적 장애
[간호학 case study]정신과NP 정신지체
[의사소통][청각장애아][정신지체아][중도장애아][자폐아]청각장애아(청각장애아동)의 의사소...
[지적장애아동 부모교육]정신지체아 부모교육, 정신지체아동 부모교육, 지적장애아동 부모교...
[뇌척수손상환자가족]뇌척수손상환자가족, 뇌졸중환자가족의 부양부담, 노인만성질환자가족의...
[정신간호 케이스] 정신지체 <지적장애(정신지체) MR (Mental Retardation), Psychosis>
[정신건강론 精神健康論] 정신지체(Mental Retardation) - 정신지체 이해하기(정신지체 확인...
[아동정신건강론 兒童精神健康論] 정신지체 (Mentally Retarded) - 정신지체의 정의와 분류 ...
[아동정신건강론 兒童精神健康論] 정신지체(Mentally Retarded)의 특성 - 행동과 신체 및 운...
[아동청소년이상심리 兒童靑少年異常心理] 정신지체(지적장애) - 정신지체 원인, 정신지체 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