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정신건강론 兒童精神健康論] 정신지체(Mentally Retarded)의 특성 - 행동과 신체 및 운동특성, 인지적 특성, 언어적 특성, 사회적 특성, 정신지체의 지도방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정신건강론 兒童精神健康論] 정신지체(Mentally Retarded)의 특성 - 행동과 신체 및 운동특성, 인지적 특성, 언어적 특성, 사회적 특성, 정신지체의 지도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행동과 신체 및 운동특성
2. 인지적 특성
3. 언어적 특성
4. 사회적 특성
5. 정신지체의 지도방법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 인한 아동 개인적 욕구를 배려하면서 집단지도와 아울러 개별적 지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효과적인 학습을 위한 구체적인 지도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적인 자조훈련에 초점을 맞추어 바람직한 생활습관을 익히기: 자조기능이란 식습관, 대소변 훈련, 청결관리, 옷 입고 벗기 등 일상생활에 꼭 필요한 기술을 말한다. 이 자조기능의 긍극적인 목적은 아동이 스스로 자신의 주변 일들을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훈련시킴으로써 한 사람을 가치 있는 인간으로 독립시킬 수 있도록 키우는 데 있다.
둘째, 개인 놀이를 통한 소집단활동: 정신지체아의 교육은 원칙적으로 집단을 통해 이루어져야 하나, 집단의 크기가 너무 크면 소외되는 아동이 생기게 되므로 7~10명의 소집단이 이상적이다. 소집단활동을 통해 아동은 또래 내에서의 자연스러운 활동을 하게 되고, 또한 또래를 통해 바람직한 모방학습도 가능하다.
셋째, 학습량과 내용의 세분화 체계화 조직화: 정신지체 아동들은 한꺼번에 많은 양의 학습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교육 프로그램이 단계적으로 성취하기 쉽도록 나뉘어서 제시되어야 한다. 단계형성이 합리적이고 체계적 일수록 쉽게 성취할 수 있다. 또한 학습된 프로그램과 다음 단계의 프로그램 사이에 공통된 면을 가지고 있으면 학습전이가 쉽게 이루어지므로 모든 프로그램 간의 연관성이 있어야한다.
참고문헌
김혜금, 송영주 외 저, 정신건강론, 정민사 2015
박상희, 김지영 외 저, 아동정신건강, 양서원 2014
황현주, 유은정 외 저, 교사를 위한 아동정신건강, 파란마음 2013
오미경 저, 아동건강교육, 공동체, 2015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5.07.21
  • 저작시기2015.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72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