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와 조선의 연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려와 조선의 연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고려와 조선의 연표

본문내용

88. 졸(卒)
후임자 추천(推薦)
윤여필
윤 임(大尹 장경왕후) 인종
(趙昌遠)
자의대비 조대비(趙大妃) 상복(喪服) 3년과 1년, 기년과 대공복(장열왕후)
윤지임
윤원형(小尹 문정왕후) 명종
(趙 )
귀비(貴妃) (숭선군 낙선군)
1338
73.
03.
68
(足利) Asikaga (室町幕府) Muromazi Bkuhu
(德川幕府) Togukawa Bkuhu (德川家康)
(明治)Meiji
67
(織田信長)
68
03.
전국시대(戰國 時代) (O-da Nobunga Toyotomi Hideyosi)
(江戶幕府) Edoho Bkuhu
43
Daimyo(大名)
Tanekasima(種子島)
총포술(銃砲) 전래
參勤交代(Sankinkodai)
(蘭學) Netherlands 학문
1185~1333
42.
16.
Minamoto Yoritomo(源賴朝) (鎌倉幕府) Gamakura Bkuhu
Togukawa Yiyeyas (德川家康)
36.
98.08.
94. 숙종이 남인의 행동을 미워하여 민암(賜死), 권대운, 목내선, 김덕원(이상 남인) 유배.
Toyotomi Hideyosi (豊臣秀吉)
소론 김춘택, 한중혁이 민비 복위 운동을 일으키자 남인 민암이 소론 일파를 제거하려다가 실패한 사건.
1521~1574
1532~1590
1545~1594
1544~1589
1546~1618
소론 남구만, 박세채, 윤지완 등용. 장희빈(張禧嬪 昭儀), 송시열, 김수항에게 작위를 줌.
이조(吏曹) 전랑직(銓郞職)
동인(東人)※
吳 健 §
(金 孝元)※
沈 忠謙 §
(李 潑)※
白 維咸 §
서인(西人) §
1400
1500
1600
1700
1800
1900
68.04.
02.02.
24.08.
35.01.
49.09.
57.01.
64.01.
87.08.
05.05.
21.03.
66.12
72.06.
16.01.
26.06.
43.08.
61.01.
즉위(卽位)
22.11.
35.08.
96.01.01.
20.07.
50.01.
61.07.
74.12.
08.10.(卒)
태조
성조
인종
영종
대종
영종
헌종
효종
무종
세종
목종
신종
태조
태종
세조
성조
세종
고종
인종
선종
문종
목종
덕종
선통
(즉위)
98.01.
25.05.
16
27
44
62
23.
36
96
21
51
62
75
08.11. (卽位)
혜제
선종
天命
天聰
順治
康熙
雍正
乾隆
嘉慶
道光
咸豊
同治
光緖
선통
(원년)
99
25
36
57.
65
88
06
22
67
36.04.
62
23
36
96
21
51
62
75
09.
洪武
建文
鴻熙
正統
天順
成化
洪治
正德
嘉靖
隆慶
崇德
강희
옹정
건융
가경
도광
함풍
동치
광서
宣統
03
26
50
73.
21
36.04.
永樂
宣德
景泰
萬曆
天啓
청(淸)
명(明)청(淸)은 연호(年號)를 유년법(踰年法)을 채택하였으며, 유월법(踰月法)도 있다.
1371
05
34
45
출생(出生)
정화(鄭和 원정
弘光
?
21
46
홍 경주(洪景舟)
중종의 후궁 희빈 홍씨의 부(父)
紹武
01.
70
75.
10
69
80
1811.12.18~12.04.19.
이 황(李滉) (退溪)
도산서원(陶山書院)
윤선거(尹宣擧 美村)
홍경래(洪景來)
평남 용강 출생, 서출(庶出) 우군칙을 가산에서 만남, 이희저(부농(富農)을 포섭
91.
53
73.
?
14
1811.12.20. 거사하기로 하였으나 사전 탄로남.
이언적(李彦迪) 회재(晦齋)
옥산서원(玉山書院) 사액(賜額)
윤 증(尹拯)
가산, 다복동 부호 이희저, 운산 촛대봉에서 광산 개발, 김재찬(재상 출신) 포섭
36.
84
97.
이 이(李珥) 율곡(栗谷)
문회서원(文會書院)
평서 대원수, 서북인 차별 대우, 안동 김씨 타도, 신인 정씨 출현 참임금 통치 사회 건설
82
1499. 희천(熙川)에 유배 중인 김굉필레게서 소학(小學 수신철학서(修身哲學書))을 배움. 동방(東方) 도학(道學)의 연원(淵源), 1518. 현량과(賢良科) 120명 추천(推薦), 1519.04. 중종 친선(中宗親選) 장령(掌令) 김식(金湜) 등 28名
부제학 시 소격서(昭格署) 폐지, 유학 정치 구현
대사헌(大司憲) 겸 (世子副賓客)
조광조 어천(魚川) 찰방(察訪) 趙元綱의 子
1510 진사시(進士試) 장원(壯元)
1515 음서(蔭敍)로 조지서(造紙署) 사지(司紙) 알성시(謁聖試) 급제(及第)
전적(典籍), 정언(正言), 홍문관(弘文館) 수찬(修撰), 교리(敎理), 응교(應敎), 승지(承旨)
부제학(副提學)
1400
1500
1600
1700
1800
1900
92.07
00.11.
18.08.
50
55.06.
69.11.
94.12.
06.09.
45.07.
67.06.
08.02.
23.03.12.밤
49.05
59.05.
74.08.18
20.
24.08.
76.03.
00.07.
34.11.
49.06.06
63.12.08
07.07
10.08.
태조
태종
세종

세조
성종
연산
중종
명종
선조
광해
인조
효종
현종
숙종

영조
정조
순조
헌종
철종
고종
순종
총독(總督)
(太祖)
(太宗)
(世宗)
文宗
(世祖)
(成宗)
(燕山)
(中宗)
(明宗)
(宣祖)
(光海)
(仁祖)
孝宗
(顯宗)
(肅宗)

(英祖)
(正祖)
(純祖)
(憲宗)
(哲宗)
(高宗)
(純宗)
동인(東人) 우세(優勢)
서인(西人) 우세 남인 참여
노론(老論) 집권(변질)
사도세자
時派
시파 우세
05.
53
01
70
75.07.
91
23.03.12.인조반정
80.
20.06.
62.+05.13 05.20.
김종서(金宗瑞 節齋)
이 황(李滉 退溪)
東人
남인
유성룡
主理論
경신환국
경종

벽파
3 C (England)
동인(東人) 향촌사회에서 영향력 발휘함
신축년과 임인년
Cairo, Cape Town, Calcutta
1340
00
41.
68.10.
01
72
91.
89 94
21~22
Chaucer
남 이(南怡)
반역죄
조 식(曺植) (南冥)
북인
곽재우
정인홍 의병장, 절의 중시
기사환국
신임사화
3 B (German)
이산해
갑술환국
소론⇔노론
Berlin, Byzantium, Baghdad
1377
17
36
84
1607
1689.06.
충청도 지방 노론 율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49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00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