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제 1차 박해기간(A.D.64-96)
1. 네로황제 이전
2. 네로 황제 박해
3. 도미티안 황제 박해
Ⅱ. 2차 박해 기간 (A.D 98-249)
1. 트라얀 황제치하의 박해
2. 하드리안 통치의 박해
3.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치하의 박해
Ⅲ. 3차 박해기간 (A.D.249-313)
1. 데시우스 칙령과 전국적인 박해
2. 디오클레티안 황제 박해
3. 갈레리우스 황제 박해
Ⅳ. 콘스탄틴 황제와 기독교 공인
Ⅴ. 요약 : 교회 생활의 변화
Ⅵ. 내가 배운 점
1. 네로황제 이전
2. 네로 황제 박해
3. 도미티안 황제 박해
Ⅱ. 2차 박해 기간 (A.D 98-249)
1. 트라얀 황제치하의 박해
2. 하드리안 통치의 박해
3.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치하의 박해
Ⅲ. 3차 박해기간 (A.D.249-313)
1. 데시우스 칙령과 전국적인 박해
2. 디오클레티안 황제 박해
3. 갈레리우스 황제 박해
Ⅳ. 콘스탄틴 황제와 기독교 공인
Ⅴ. 요약 : 교회 생활의 변화
Ⅵ. 내가 배운 점
본문내용
르쿠스 아우레릴우스 황제치하에 폴리갑이 서머나에서 순교하였다. 그의 순교의 기사는 다음과 같다. \" 총독은 그에게 \' 맹세하시오. 그러면 당신풀어 주겠소. 그리스도를 비난하시오.\'라고 재촉했다. 폴리갑은 이렇게 대답했다. \' 나는 86년동안 그분을 섬겨왔는데 그동안 그분은 한번도 나를 부당하게 대우하신 적이 없습니다. 그런데 내가 어찌 이제까지 섬겨온 나의왕 그리스도를 모독할 수 있겠습니까? ..........이윽고 화형을 위해 마련된 도구들이 그에게 정착되었다. 그들은 그를 큰 못으로 말뚝에 고정시키려 했다. 그러나 그는 \'나를 이대로 두시오. 나에게 화형을 견뎌낼 힘을 주실 분께서는 당신들이 못을 박지 않아도 장작더미 위에서 움직이지 않고 견딜 능력을 주실 것입니다\'라고 말했다.....하니님이시여! 당신께서 오늘 이 시간 나로 하여금 순교자의 반열에 , 그리고 그리스도의 잔에 참여하게 하시어 내 몸과 영혼이 성령의 썩지않는 축복속에서 영생의 부활을 얻기에 합당하다고 여기 어 주님께 감사드립니다. 오늘 나는 신실하고 참되신 하나님이신 당신께서 예비하시고 계시하시고 이루신 풍성하고 가납될 만한 제물로서 당신이 보시는 앞에서 받아들여지기를 바랍니다. 나는 이 모든 일을 인하여 당신의 사랑하는 독생자 영원한 대제사장을 통하여 당신을 찬양하고 감사드리며 영광을 돌리나이다. 성부 성자 성령께 이제부터 영원히 영광이 있을지어다. 아멘.\" 폴리갑에 이어 165년 대표적인 변증가 저스틴도 순교의 대열에 합류했다. 아우렐리우스 황제의 통치기간인 177년 심한 박해가 고울지방에서 일어았으며 이후 250년까지 박해가 간헐적으로 계속되었다. 그후 막시미누스 통치 3년후에 간헐적으로 진행된 박해이후 평화가 잠시 도래하였다. 박해가 중단된 기간은 복음전파를 위한 절호의 기회가 되었다 . 3세기 50년동안 수천명의 사람들이 교회로 몰려들었고 공동체는 성장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250년에 데시우스 황제가 들어서면서 3차박해가 시작되었다.
Ⅲ. 3차 박해기간 (A.D.249-313)
제 3차 박해기간 동안에는 부분적으로 일어난 2차 박해와는 달리 제국 전역에서 진행되었다. 전국적인 박해가 발생한 것은 여러 가지 원인에서 비롯되었지만 그 중에서 주요한 원인 5가지를 든다면 (1)기독교의 급속한 성장 (2) 제국의 경제 및 도덕의 쇠퇴 (3) 로마제국 창립 1000주년의 임박 (4) 교회는 국가내에 국가이며, 따라서 로마제국의 위협적 존재라는 로마 지도자들의 견해 (5) 로마의 쇠퇴가 로마신들이 기독교의 성장을 싫어했기 때문에 내린벌이라는 견해를 들수 있다.
1. 데시우스 칙령과 전국적인 박해
250년부터 251년 사이 데시우스 황제 아래서 기독교가 그 때까지 직면했던 박해 가운데 가장 혹독한 박해가 일어났다. 250년 데시우스 황제는 지방관료와 행정관들에게 정해진 날에 필요한 장소에서 제사를 총괄하도록 명령을 내렸고, 제사를 드린 사람들에게 제사 증명서인 리벨루스를 발급하였다. 데시우스의 명령앞에 교인들은 순응, 타협, 거부, 도피 중 하나를 택해야 했다. 이
Ⅲ. 3차 박해기간 (A.D.249-313)
제 3차 박해기간 동안에는 부분적으로 일어난 2차 박해와는 달리 제국 전역에서 진행되었다. 전국적인 박해가 발생한 것은 여러 가지 원인에서 비롯되었지만 그 중에서 주요한 원인 5가지를 든다면 (1)기독교의 급속한 성장 (2) 제국의 경제 및 도덕의 쇠퇴 (3) 로마제국 창립 1000주년의 임박 (4) 교회는 국가내에 국가이며, 따라서 로마제국의 위협적 존재라는 로마 지도자들의 견해 (5) 로마의 쇠퇴가 로마신들이 기독교의 성장을 싫어했기 때문에 내린벌이라는 견해를 들수 있다.
1. 데시우스 칙령과 전국적인 박해
250년부터 251년 사이 데시우스 황제 아래서 기독교가 그 때까지 직면했던 박해 가운데 가장 혹독한 박해가 일어났다. 250년 데시우스 황제는 지방관료와 행정관들에게 정해진 날에 필요한 장소에서 제사를 총괄하도록 명령을 내렸고, 제사를 드린 사람들에게 제사 증명서인 리벨루스를 발급하였다. 데시우스의 명령앞에 교인들은 순응, 타협, 거부, 도피 중 하나를 택해야 했다. 이
추천자료
중세의 교회
이한수교수님의 로마서 주석요약
페르디난드 크리스천 바우르(Ferdinand Christian Baur : 1792-1860)
세계교회협의회 기원과 형성
복음과 율법의 관계
21세기를 향한 한국교회의 영성
평양대부흥운동을 읽고....
한국장로교사상사 시험문제
그리스도의 교회 환원운동의 의미, 그리스도의 교회 환원운동의 목적, 그리스도의 교회 환원...
영적 전쟁에 대한 신학적 구조연구
종말론 리포트
유대인바로보기 독후감과 간단한 자기의 생각
<평양 대부흥운동> 요약 및 서평 (원산부흥운동, 평양대부흥운동, 백만인 구령운동)
『개혁주의 성경관』 시험대비 핵심요약본
소개글